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 고시원의 시공간 분포 탐색과 주거 환경 분석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Housing Conditions of a Gosiwon in Seou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ving in non-dwellings violates a right to housing by offering inadequate housing condi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housing of a Gosiwon, which is the most frequent type of non-dwellings in Korea. First, the resul...

      Living in non-dwellings violates a right to housing by offering inadequate housing condi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housing of a Gosiwon, which is the most frequent type of non-dwellings in Korea. First, the result of a spatial kernel density estimation finds four clusters. The spatiotemporal kernel density estimation provides a further evaluation of the clusters, specifically, one relatively recent cluster around Daehak-dong, and older clusters around Yeoksam-dong and Sinchon-dong. Second, a cross type nearest neighbor distance function examine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atial clusters from the Gosiwon to subway stations and universities within 90-940, and 210-730 meters, respectively. Finally, the housing conditions and facilities of the Gosiwon are summarized, which shows the minimum size, and the highest rental fee, and the most inadequate housing conditions in Seo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비주택은 적절한 주택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거주공간으로 주거에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인간의 적절한 주거에대한 권리는 비주택에서 주거할 경우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다. 본 연...

      비주택은 적절한 주택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거주공간으로 주거에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인간의 적절한 주거에대한 권리는 비주택에서 주거할 경우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비주택의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차지하고 있는 고시원의 시공간 분포, 그리고 주거 환경의 지역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커널 밀도 추정을 이용하여서울시의 고시원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 그 결과 대표적인 공간적 군집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시공간 커널 밀도 추정을 통하여, 발견된 대표적 공간적 군집들 중 대학동을 중심으로 한 남서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최근 생성된 군집, 역삼동과 신촌동에서는상대적으로 과거에 생성된 고시원의 군집임을 보였다. 다음으로 교차형 최근린 거리 함수를 이용하여 고시원과 지하철역·대학과의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각각의 시설로부터 90~940m, 그리고 210~730m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고시원의군집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시원넷에 게시된 고시원의 정보를 수집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에 있는 고시원의 주거환경을 지역별로 요약하였다. 특히 서울의 고시원은 수도권 내에서도 가장 작은 방 크기, 가장 높은 단위면적 당 임대료, 그리고가장 열악한 주거환경을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재,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해소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분석 및 개선방안" 전북발전연구원 2010

      2 국토교통부, "주택이외의 거처 주거실태조사" 2018

      3 임세희,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 최저주거기준 하위기준미달, 주거비 과부담, 중복주거빈곤가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31-62, 2017

      4 박미선, "영국의 HMO 주택임대 운영 사례와 시사점" 431 : 85-92, 2017

      5 김의명, "연속수치지도와 유동인구를 이용한 범죄취약 추정지역 추출" 한국지도학회 19 (19): 59-68, 2019

      6 신상영, "서울의 준주택 실태와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7 김용창,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대한지리학회 48 (48): 509-532, 2013

      8 손세린, "서울시 여성운전자 교통사고의 시공간 특성 분석" 한국지도학회 17 (17): 89-98, 2017

      9 "비즈GIS"

      10 이헌석, "비주택거주민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법제개선방안"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55-380, 2011

      1 이성재,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해소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분석 및 개선방안" 전북발전연구원 2010

      2 국토교통부, "주택이외의 거처 주거실태조사" 2018

      3 임세희,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 최저주거기준 하위기준미달, 주거비 과부담, 중복주거빈곤가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31-62, 2017

      4 박미선, "영국의 HMO 주택임대 운영 사례와 시사점" 431 : 85-92, 2017

      5 김의명, "연속수치지도와 유동인구를 이용한 범죄취약 추정지역 추출" 한국지도학회 19 (19): 59-68, 2019

      6 신상영, "서울의 준주택 실태와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7 김용창,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대한지리학회 48 (48): 509-532, 2013

      8 손세린, "서울시 여성운전자 교통사고의 시공간 특성 분석" 한국지도학회 17 (17): 89-98, 2017

      9 "비즈GIS"

      10 이헌석, "비주택거주민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법제개선방안"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55-380, 2011

      11 장유선, "비주택 최저주거기준 외국사례: 영국 HMO, 미국 SRO" 99 : 27-54, 2012

      12 국가인권위원회, "비주택 주거실태 파악 및 제도개선 방안" 2018

      13 구동회, "부산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변화" 국토지리학회 46 (46): 477-487, 2012

      14 조나혜, "로그데이터의 시공간 데이터마이닝 및 시각화 연구동향" 한국지도학회 16 (16): 15-27, 2016

      15 서안나, "대구광역시 주거빈곤가구의 공간적 분포 특성" 247-250, 2013

      16 김준희, "고시원에 거주하는 청년층의 실태" 102 : 35-48, 2013

      17 "고시원넷"

      18 권정현, "고시원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소비자원 2013

      19 Baddeley A, "spatstat: An R package for analyzing spatial point patterns" 12 (12): 1-42, 2005

      20 Delmelle, E., "Visualizing the impact of space-time uncertainties on dengue fever patterns" 28 (28): 1107-1127, 2014

      21 Brunsdon, C., "Visualising space and time in crime patterns: A comparison of methods, Computers" 31 (31): 52-75, 2007

      22 Nakaya, T, "Visualising crime clusters in a space-time cube: an exploratory data-analysis approach using space-time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scan statistics" 14 (14): 223-239, 2010

      23 UN Habitat,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UN 2009

      24 Diggle, P, "Statistical Analysis of Spatial Point Patterns" Arnold 2003

      25 Borruso, G, "Network density estimation: A GIS approach for analysing point patterns in a network space" 12 (12): 377-402, 2008

      26 Scott, D.W, "Multivariate Density Estimation:Theory, Practice, and Visualization" John Wiley and Sons 1992

      27 Ministry of Housing,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Houses in Multiple Occupation and residential property licensing reform: Guidance for Local Housing Authorities"

      28 Chainey, S, "GIS and Crime Mapping" John Wiley & Sons 2005

      29 Berman, M, "Estimating weighted integrals of the second-order intensity of a spatial point proces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51 (51): 81-92, 1989

      30 Silverman, B.W,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Chapman and Hall 1986

      31 최은영, "2011년 신기준에 의한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의 시·공간적 변화 (1995∼2010년)"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171-195,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1 0.9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