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 COVID-19 시대에서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이 감성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 Study of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Worker’s Communication Ability on their Emotional Capital in the Post-COVID-19 Era: Mediation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2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s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who working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on emotional capital in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 the basic job education and in-depth education for them, and they were asked to report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emotional capital,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mselv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through June, 2022, and the responses of 633 social worker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and the research results drawn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emotional capital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of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Second, it turned out that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communication ability and emotional capita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for promoting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emotional capital in the post-COVID-19 era, presented practical measures for education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oposed practic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forming a supporting system in the organiz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s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who working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on emotional capital in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study, a surv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s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who working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on emotional capital in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 the basic job education and in-depth education for them, and they were asked to report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emotional capital,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mselv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through June, 2022, and the responses of 633 social worker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and the research results drawn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emotional capital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of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Second, it turned out that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communication ability and emotional capita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for promoting military alternative social workers’ emotional capital in the post-COVID-19 era, presented practical measures for education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oposed practic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forming a supporting system in the organ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COVID-19 시대에서 보건복지분야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이 감성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해결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기본직무교육․심화직무교육에 참여하는 사회복무요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의사소통능력, 감성자본, 문제해결능력을 묻는 설문지에 자가보고 하도록 하였다. 조사는 2022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하였고, 최종 분석에 633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무요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감성자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과 감성자본 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COVID-19 시대에서 사회복무요원의 감성자본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 방안 제시, 조직 내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실천적․제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COVID-19 시대에서 보건복지분야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이 감성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해결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기본직무...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COVID-19 시대에서 보건복지분야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이 감성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해결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기본직무교육․심화직무교육에 참여하는 사회복무요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의사소통능력, 감성자본, 문제해결능력을 묻는 설문지에 자가보고 하도록 하였다. 조사는 2022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하였고, 최종 분석에 633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무요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감성자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과 감성자본 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COVID-19 시대에서 사회복무요원의 감성자본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 방안 제시, 조직 내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실천적․제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회 ; 고장완, "협동학습 맥락에서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교육발전연구소 26 (26): 169-192, 2016

      2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3 이인정 ; 이영선 ; 장수미 ; 임정원 ; 최경애, "코로나 19 이후 의료사회복지사의직무 변화와 대응 실태" 한국사회복지학회 73 (73): 57-85, 2021

      4 이경란,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3 : 97-109, 2007

      5 양야기 ; 양야기,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25 (25): 99-108, 2018

      6 원주연 ; 성귀복,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신입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24 (24): 399-410, 2020

      7 박진아 ; 홍지연,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69-786, 2017

      8 표갑수 ; 김현진,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직무수행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69-92, 2009

      9 신영일 ; 최종진 ; 정의식, "사회복무제도의 시대적 변천사와 사회복지시설 사회복무요원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49 (49): 65-87, 2020

      10 김선재 ; 김태완 ; 이교일, "사회복무요원의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8 (8): 5-36, 2015

      1 박지회 ; 고장완, "협동학습 맥락에서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교육발전연구소 26 (26): 169-192, 2016

      2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3 이인정 ; 이영선 ; 장수미 ; 임정원 ; 최경애, "코로나 19 이후 의료사회복지사의직무 변화와 대응 실태" 한국사회복지학회 73 (73): 57-85, 2021

      4 이경란,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3 : 97-109, 2007

      5 양야기 ; 양야기,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25 (25): 99-108, 2018

      6 원주연 ; 성귀복,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신입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24 (24): 399-410, 2020

      7 박진아 ; 홍지연,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69-786, 2017

      8 표갑수 ; 김현진,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직무수행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69-92, 2009

      9 신영일 ; 최종진 ; 정의식, "사회복무제도의 시대적 변천사와 사회복지시설 사회복무요원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49 (49): 65-87, 2020

      10 김선재 ; 김태완 ; 이교일, "사회복무요원의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8 (8): 5-36, 2015

      11 김대삼, "사회복무요원의 조직문화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부하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한국군사회복지학회 6 (6): 35-65, 2013

      12 손영은,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21

      13 김명희 ; 박현정,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에서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만족 요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249-1272, 2021

      14 손영은,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 핵심역량 도출및 직무교육 과정 고도화 연구" 한국보건복지인재원 2022

      15 김병조, "보건계열 대학생의 지역사회중심 자원봉사 활동이 자아 존중감, 사회 문제해결력 및 참여의식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9 (9): 1275-1288, 2018

      16 "병무청 사회복무연수센터"

      17 박현욱 ; 이종호, "디자인공모전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미래엔이 주최한 교과서 표지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5) : 251-260, 2018

      18 이현아, "대학에서의 학습자 중심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강의모델 다양화’ 사업의 효과 분석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93-916, 2020

      19 이광재,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체험이 비영리기관과 후원기업의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학회 11 (11): 123-160, 2012

      20 김수영, "공모전 속성이 공모전에 대한 태도 및 기업 이미지, 기업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6 (6): 99-124, 2012

      21 윤관호, "감성자본의 발전에 관한 고찰 -커뮤니케이션과의 복합개념을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11 (11): 151-169, 2020

      22 손호중, "감성자본의 관리가 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달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177-202, 2007

      23 김흥길 ; 박용한, "감성자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항공우주산업을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2 (12): 43-64, 2005

      24 강미경 ; 김인경,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COVID-19로 인한 수업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39-152, 2022

      25 양진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5 (15): 217-228, 2020

      26 김미영 ; 강은희 ; 박효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83-294, 2021

      27 조인희 ; 박미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정도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비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97-404, 2017

      28 한영인 ; 양영옥,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제해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148-159, 2021

      29 Cottingham, M. D, "Theorizing emotional capital" 45 : 451-470, 2016

      30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31 Froyum, C,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ies through emotional capital: the case of socializing low-income black girls" 33 : 37-54, 2010

      32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33 Heppner, P. P,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 of 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30 : 537-540, 1982

      34 Seligman, M. E. P, "Learned potimism" Knopf 1990

      35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2013

      36 Canfield, J, "Heart at work: Stories and strategies for Self-Esteen and rewakening the soul at work" McGraw-Hill Book Co 1998

      37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1986

      38 Barlow, J, "Emotional value: Creating strong bonds with your customers" Berrett-Koehler Publishers 2000

      39 케빈 톰슨, "Emotional Capital" 새로운 제안 2000

      40 최지원, "COVID-19 상황에서 주변인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위반 행위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친밀함을 조절 변수로" 한국소통학회 21 (21): 7-31, 2022

      41 MacKinnon, D. P,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7 (7): 83-104, 2002

      42 김동홍, "2017 글로벌 산학협력 포럼, “4차 산업혁명 시대, 문제해결능력이 핵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