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영국기후변화법의 분석을 통한 한국 기후변화대응법제 마련에 대한 시사점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조약인 파리협정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외에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부각ꞏ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효과적으...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조약인 파리협정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외에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부각ꞏ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효과적으로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추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한 보완 입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대응법안이 국회에 발의된 상황이며,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영국 기후변화법은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입법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주목할 내용은 영국 기후변화법상의 정기적인 국가 보고서의 작성 및 이에 대한 평가, 관계부처들 간의 유기적인 정보교환과 협력, 기후변화위원회의 조언과 민간의 의견 수렴, 국가 보고서 등의 공표를 통한 투명성 제고,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정책의 추구 등이다.
      그런데,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은 국가별, 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기후변화 적응은 국가단위와 지역단위의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특히 기후변화에 있어 취약한 지방정부의 적응역량을 강화하고 필요시에는 중앙정부에서 지원도 가능한 법적 근거가 있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현재의 기후변화대응법안은 제11조에서 기초지자체의 장에게 국가종합계획과 광역종합계획에 따라 매년 기후변화대응 시행계획을 수립ꞏ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기초지자체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모두 공감한다. 그러나 이 법안이 국가종합계획(법안 제8조)과 중앙시행계획(법안 제9조), 광역종합계획과 광역시행계획(법안 제10조)을 수립ꞏ시행하도록 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기초지자체에게도 시행계획을 수립ꞏ시행하도록 의무를 부여하는 것은 재정 등의 여건이 상이한 현 상황에서는 다소 과도한 행정부담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의점을 반영한 기후변화대응법의 제정으로 합리적이고 실효적인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수립되어 실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기후변화에 대한 감축 또는 완화 외에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 제고, 적응 관련 예산의 확대를 통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보다 충실한 법적 기초의 마련 및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ris Convention, an international treaty on climate change,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addition to reducing GHG emissions worldwide. However, since the Low-carbon Green Growth Basic Law is not effective in prom...

      The Paris Convention, an international treaty on climate change,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addition to reducing GHG emissions worldwide. However, since the Low-carbon Green Growth Basic Law is not effective in promot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in Korea, complementary legislation is needed.
      As mentioned above, the UK Climate Change Act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Korea"s climate change adaptation legislation. In particular, Korea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eriodical national reports, organic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related ministries, advice from the Committee on Climate Change, public comments, increase transparency through publication of national reports and the pursuit of adaptive policies for systematic and substantial climate change under the UK Climate Change Act.
      However, since the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varies by country and region,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national and regional efforts. It would be ideal, especially if there is a legitimate basis for strengthening the adaptiv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that a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nd, if necessary, supporting the central government. The current draft Climate Change Response Act requires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and implement an annual climate change response implementation plan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hensive National and Regional Comprehensive Pla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ll agree that basic local governments should also work to counter climate chang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bill requires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the comprehensive national plan(Article 8), the Central Implementation Plan(Article 9), the Comprehensive Plan and the Metropolitan City Plan(Article 10), the obligation to establish and enforce the implementation plan is likely to be a somewhat excessive administrative burden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conditions such as finance are different. However, it is expected that reasonable and effectiv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will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the enactment of the Climate Change Response Act reflecting these considerations.
      Above all, in addition to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nd respond to a deeper legal basis for climate change through raising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expanding adaptation budge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언
      • Ⅱ. 영국의 기후변화법제에 관한 분석
      • Ⅲ. 한국의 기후변화대응법제 마련에 대한 시사점
      • Ⅳ. 결언
      • 국문초록
      • Ⅰ. 서언
      • Ⅱ. 영국의 기후변화법제에 관한 분석
      • Ⅲ. 한국의 기후변화대응법제 마련에 대한 시사점
      • Ⅳ. 결언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철, "환경정의의 실현과 관련된 기후기술 협력 사례 연구"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1) : 212-, 2018

      2 박균성, "환경법" 박영사 53-, 2006

      3 홍준형, "환경법" 박영사 100-101, 2005

      4 박덕영, "탄소 관련 국경조정과 WTO 법" 박영사 7-8, 2016

      5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지속가능발전법 전부개정법률안 및 기후변화대응법안 검토보고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57-59, 2017

      6 김두수, "영국의 기후변화대응법의 분석과 시사점" 17 (17): 9-13, 2018

      7 박병도, "신기후변화체제의 국제법적 쟁점 - 준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62 (62): 37-61, 2017

      8 사득환, "선진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정책적 함의" 11 (11): 50-, 2013

      9 김홍균,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기후변화적응법의 제정" 한국법제연구원 (48) : 179-206, 2015

      10 "기후변화대응법안"

      1 김민철, "환경정의의 실현과 관련된 기후기술 협력 사례 연구"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1) : 212-, 2018

      2 박균성, "환경법" 박영사 53-, 2006

      3 홍준형, "환경법" 박영사 100-101, 2005

      4 박덕영, "탄소 관련 국경조정과 WTO 법" 박영사 7-8, 2016

      5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지속가능발전법 전부개정법률안 및 기후변화대응법안 검토보고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57-59, 2017

      6 김두수, "영국의 기후변화대응법의 분석과 시사점" 17 (17): 9-13, 2018

      7 박병도, "신기후변화체제의 국제법적 쟁점 - 준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62 (62): 37-61, 2017

      8 사득환, "선진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정책적 함의" 11 (11): 50-, 2013

      9 김홍균,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기후변화적응법의 제정" 한국법제연구원 (48) : 179-206, 2015

      10 "기후변화대응법안"

      11 한국환경정책ꞏ평가연구원, "기후변화 적응 법령안 마련 및 법제화 지원" 2016

      12 Philippe Sands, "Principl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Manchester Univ. Press 208-209, 1995

      13 Konstanze Schönthaler, "National level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United Kingdom" OECD 9-, 2013

      14 Elli Louka,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Cambridge Univ. Press 50-51, 2006

      15 Jan H. Jans, "European Environmental Law" Europa Law Publishing 22-, 2012

      16 Stuart Bell, "Environmental La" Oxford Univ. Press 70-73, 2006

      17 Felicity Deane, "Emissions Trading and WTO Law" Edward Elgar Publishing 1-, 2015

      18 김두수, "EU 환경법" 한국학술정보 2012

      19 "Climate Change Act 2008(c.2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0.86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