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최근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기기의 교육적 활용은 이점뿐만 아니라 문제점도 있으며, 이점과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최근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기기의 교육적 활용은 이점뿐만 아니라 문제점도 있으며, 이점과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목적 최근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기기의 교육적 활용은 이점뿐만 아니라 문제점도 있으며, 이점과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태블릿 평가와 지면 평가에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6학년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 학급은 태블릿 평가를, 다른 한 학급은 지면 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PDF 파일을 출력매체만 달리하여 진행하였으며, 국어와 수학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 및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성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어 평가에서는 태블릿 평가보다 지면 평가 성취도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수학 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국어 평가에서 서술형 문제가 비서술형 문제보다 평가 매체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가 매체에 따른 점수 편차가 더 컸다.
결론 읽기 평가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 자체가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회상이 중요한 평가에서는 학습 매체와 평가 매체의 일치가 필요하다. 또한 쓰기 평가에서는 여학생이 디지털 기기 활용 평가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장애인 교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요구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원의 교권과 교사핵심역량, 직업정체성, 전직의도의 구조적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