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광의 심리적 체험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on Tourist Satisfaction in Jeju Tour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0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general, pre-existing studies on tourist experience tend to focus on the psychological stages of tourist place selection, and from such a perspective, divide tourists' psychology into tour motive, that is the psychological stage of selecting tourist places, field experience and tourist satisfaction, which is the estimation stage after the tour. Focusing on the field experience stag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nd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An empir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in June of tourists who finished their trip and were about to go back, and 179 of the total observation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ympathy with nature, emotional adjustment and kindness among psychological experiences, have influ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s for the influence on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the satisfaction which the tourist feel during tourism turn out to have influence. Here,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show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ge. This results provides such suggestions as follow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ose who visit Jeju island and also will serve as an basic material to be used to induce proper tourist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made of measures for psychological experiences, providing comparison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by tourist place. Thus,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basic material for differentiation of tourist places or diagnosis of tourist place differentiation. From this result, one may think that the natural tourist resources in Jeju will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hus, it suggests that Jeju is required to develop its tourist resources while preserve its natural resources in order to gain competitiveness in the tourist industry.
      번역하기

      In general, pre-existing studies on tourist experience tend to focus on the psychological stages of tourist place selection, and from such a perspective, divide tourists' psychology into tour motive, that is the psychological stage of selecting touris...

      In general, pre-existing studies on tourist experience tend to focus on the psychological stages of tourist place selection, and from such a perspective, divide tourists' psychology into tour motive, that is the psychological stage of selecting tourist places, field experience and tourist satisfaction, which is the estimation stage after the tour. Focusing on the field experience stag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nd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An empir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in June of tourists who finished their trip and were about to go back, and 179 of the total observation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ympathy with nature, emotional adjustment and kindness among psychological experiences, have influ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s for the influence on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the satisfaction which the tourist feel during tourism turn out to have influence. Here, the intension to revisit the tourist place show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ge. This results provides such suggestions as follow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ose who visit Jeju island and also will serve as an basic material to be used to induce proper tourist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made of measures for psychological experiences, providing comparison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by tourist place. Thus,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basic material for differentiation of tourist places or diagnosis of tourist place differentiation. From this result, one may think that the natural tourist resources in Jeju will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hus, it suggests that Jeju is required to develop its tourist resources while preserve its natural resources in order to gain competitiveness in the tourist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관광체험연구는 행동중심으로 기존 연구들이 관광자의 심리적 과정을 관광지 선택단계인 관광동기에서부터 관광지 현지체험, 그리고 관광 후 평가단계인 관광만족도로 세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지 현지체험 단계에서의 심리적 체험이 관광 후 평가단계인 관광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을 참고한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타당성 구축과 이에 근거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변수들 간의 가설 설정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체험'으로 자연과의 교감, 감정정리, 친절성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 만족도'에 대해서는 관광을 체험하는 동안 느끼는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방문 의도'에서는 여행경비가 50만원 미만이 59.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관광객들의 경비부담의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5회 이상의 방문자가 21.8%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적인 소득 계층이 제주도를 재방문 하겠다는 의도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바람직한 관광 행동을 유도하거나 관광지 특화를 진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요용어 : 심리적 체험, 관광 만족도, 관광 행동, 관광지 특화.I. 연구목적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물질적인 조건과 함께 정신적인 여유가 필요한데, 이러한 정신적 여유를 즐기는 시간들이 바로 여가생활이며, 하나의 방법으로 관광을 들 수 있다. 오늘날의 관광은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한 개인 생활의 일부로서 사회화된 인간의 제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수단이 되고 있다. 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확대, 생활가치관의 변화로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 접촉과 성취감을 느끼기보다는 점차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 접촉과 성취감을 느끼는 시기가 가속화되고 있다(엄서호, 2001). 그런데 관광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체험이 개인의 사전 기대나 동기와는 별개로 준비가 안 된 새로운 욕구가 발현할 수 있으며,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Iso-Ahola, 1980). 성영신과 정준호의 연구(1996)에서는 심리적 체험이 사회적 물리적 환경요소 뿐 아니라 활동 자체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도 유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이 관광지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체험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며, 또 심리적 체험이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일반적으로 관광체험연구는 행동중심으로 기존 연구들이 관광자의 심리적 과정을 관광지 선택단계인 관광동기에서부터 관광지 현지체험, 그리고 관광 후 평가단계인 관광만족도로 세분화...

      일반적으로 관광체험연구는 행동중심으로 기존 연구들이 관광자의 심리적 과정을 관광지 선택단계인 관광동기에서부터 관광지 현지체험, 그리고 관광 후 평가단계인 관광만족도로 세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지 현지체험 단계에서의 심리적 체험이 관광 후 평가단계인 관광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을 참고한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타당성 구축과 이에 근거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변수들 간의 가설 설정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체험'으로 자연과의 교감, 감정정리, 친절성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 만족도'에 대해서는 관광을 체험하는 동안 느끼는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방문 의도'에서는 여행경비가 50만원 미만이 59.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관광객들의 경비부담의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5회 이상의 방문자가 21.8%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적인 소득 계층이 제주도를 재방문 하겠다는 의도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바람직한 관광 행동을 유도하거나 관광지 특화를 진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요용어 : 심리적 체험, 관광 만족도, 관광 행동, 관광지 특화.I. 연구목적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물질적인 조건과 함께 정신적인 여유가 필요한데, 이러한 정신적 여유를 즐기는 시간들이 바로 여가생활이며, 하나의 방법으로 관광을 들 수 있다. 오늘날의 관광은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한 개인 생활의 일부로서 사회화된 인간의 제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수단이 되고 있다. 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확대, 생활가치관의 변화로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 접촉과 성취감을 느끼기보다는 점차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 접촉과 성취감을 느끼는 시기가 가속화되고 있다(엄서호, 2001). 그런데 관광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체험이 개인의 사전 기대나 동기와는 별개로 준비가 안 된 새로운 욕구가 발현할 수 있으며,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Iso-Ahola, 1980). 성영신과 정준호의 연구(1996)에서는 심리적 체험이 사회적 물리적 환경요소 뿐 아니라 활동 자체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도 유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이 관광지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체험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며, 또 심리적 체험이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정옥, "자동차 서비스의 관계 마케팅 전략을 위한 관계요인과 관계구조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03-1322, 2004

      2 성영신, "여가경험의 심리적 본질 재미란 무엇인가?" 7 (7): 35-57, 1996

      3 이동철, "센텀시티 UEC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083-1096, 2004

      4 고동우, "선행 관광행동 연구의 비판적 고찰" 제22권 (제22권): 1998

      5 진금옥, "보육 서비스의 품질 지각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587-1598, 2004

      6 엄서호, "레저산업론" 학현사 p. 5. -, 2001

      7 박호표, "관광학의 이해" 학현사 1997

      8 박미정, "관광지 매력속성이 관광목적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9 박민혜, "관광자의 가치와 관광에서의 심리적체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10 고동우, "관광의 심리적 체험과 만족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8

      1 허정옥, "자동차 서비스의 관계 마케팅 전략을 위한 관계요인과 관계구조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03-1322, 2004

      2 성영신, "여가경험의 심리적 본질 재미란 무엇인가?" 7 (7): 35-57, 1996

      3 이동철, "센텀시티 UEC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083-1096, 2004

      4 고동우, "선행 관광행동 연구의 비판적 고찰" 제22권 (제22권): 1998

      5 진금옥, "보육 서비스의 품질 지각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587-1598, 2004

      6 엄서호, "레저산업론" 학현사 p. 5. -, 2001

      7 박호표, "관광학의 이해" 학현사 1997

      8 박미정, "관광지 매력속성이 관광목적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9 박민혜, "관광자의 가치와 관광에서의 심리적체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10 고동우, "관광의 심리적 체험과 만족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8

      11 권용우, "관광과 여가" 도서출판 한울 1995

      12 신도길, "관광 속성과 만족도가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과 일본 방한 관광객을 중심으로" 1993

      13 A, "Toward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of Tourism Motiv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82

      14 Edward J, "The Psychology of Leisure Travel" 1981

      15 Fred van Raaij, "Satisfaction with Leisure Time Activ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986

      16 Manfred, "Measuring Leisure MotivationA Meta-Analysis of the Recreation Experience Preference Scale" , Vol. 28 : 188--213, 1996

      17 A, "Duality in Consumer Post-Purchase Attitude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41-164, 1991

      18 Neumann, "Dimension of Tourist Satisfaction with a Destination Area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78

      19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84

      20 Fred van Raaij, "Annal of Tourism Research" 1987

      21 A, "A Test of the Content-Consequences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4-750,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