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무신왕신화>의 영웅일대기와 게임 <바람의 나라>의 영웅시스템, 그 서사적 상관성과 신화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게임 <바람의 나라>와 한국 신화인 <대무신왕 신화>와의 상관성을 게임서사의 시스템 차원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영웅ㆍ퀘스트ㆍ미션ㆍ캐릭터ㆍ아이템 등 게임 특유의 서사문법을 게임 <바람의 나라>의 서사원형이 되는 <대무신왕 신화>의 영웅일대기와의 상관성 속에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br/>
      먼저, 2장에서는 <대무신왕 신화>의 신화체계를 영웅의 일대기로 분석하고 <대무신왕 신화>의 영웅일대기를 롤플레잉게임 장르적 서사성으로 구축해놓은 형태가 바로 게임 <바람의 나라>의 영웅육성 시스템이며, 이 영웅육성시스템이 미션과 퀘스트 수행을 통해 신화적 인간으로 레벨업 되는 과정 속에서 통해 완성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퀘스트의 무한반복 과정 자체가 신화적 영웅과업 수행에 해당되며 이를 통해 신화적 불멸성이 구현된다는 사실도 입증해내었다. 결과적으로 게임 <바람의 나라>의 영웅육성 시스템과 영웅퀘스트 수행시스템은 신화적 불멸성을 게임 서사 내부의 영웅캐릭터에게 부여함으로써 한국신화적 인간성 을 구현하게 된다는 사실을 분석해 내었다.<br/>
      3장에서는 한국 게임의 시작이 한국 신화의 영웅일대기에 기반한 <바람의 나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한국 게임의 MMORPG 양식사가 한국고전서사와의 관련성 속에서 전개되어 나갔다는 한국 고전서사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한국 MMORPG 서사체계의 골조는 이처럼 <대무신왕신화>의 신화적 영웅일대기를 게임 서사로 옮긴 <바람의 나라>의 단계적 영웅육성시스템과 퀘스트 수행시스템의 반복ㆍ확장성에 기반한다. 이를 통해 게임 캐릭터인 영웅은 이름 뿐인 영웅이 아니라 신화적인 불멸의 영웅성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처럼 <바람의 나라>에서 구축된 영웅육성시스템과 영웅퀘스트 수행시스템은 후대의 <임진록>ㆍ<거상> 등으로 계승된다는 고전서사문학사적 위치를 부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게임 <바람의 나라>와 한국 신화인 <대무신왕 신화>와의 상관성을 게임서사의 시스템 차원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영웅ㆍ퀘스트ㆍ미션ㆍ캐릭터ㆍ아이템 등 게임 특유의 서사...

      본고는 게임 <바람의 나라>와 한국 신화인 <대무신왕 신화>와의 상관성을 게임서사의 시스템 차원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영웅ㆍ퀘스트ㆍ미션ㆍ캐릭터ㆍ아이템 등 게임 특유의 서사문법을 게임 <바람의 나라>의 서사원형이 되는 <대무신왕 신화>의 영웅일대기와의 상관성 속에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br/>
      먼저, 2장에서는 <대무신왕 신화>의 신화체계를 영웅의 일대기로 분석하고 <대무신왕 신화>의 영웅일대기를 롤플레잉게임 장르적 서사성으로 구축해놓은 형태가 바로 게임 <바람의 나라>의 영웅육성 시스템이며, 이 영웅육성시스템이 미션과 퀘스트 수행을 통해 신화적 인간으로 레벨업 되는 과정 속에서 통해 완성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퀘스트의 무한반복 과정 자체가 신화적 영웅과업 수행에 해당되며 이를 통해 신화적 불멸성이 구현된다는 사실도 입증해내었다. 결과적으로 게임 <바람의 나라>의 영웅육성 시스템과 영웅퀘스트 수행시스템은 신화적 불멸성을 게임 서사 내부의 영웅캐릭터에게 부여함으로써 한국신화적 인간성 을 구현하게 된다는 사실을 분석해 내었다.<br/>
      3장에서는 한국 게임의 시작이 한국 신화의 영웅일대기에 기반한 <바람의 나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한국 게임의 MMORPG 양식사가 한국고전서사와의 관련성 속에서 전개되어 나갔다는 한국 고전서사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한국 MMORPG 서사체계의 골조는 이처럼 <대무신왕신화>의 신화적 영웅일대기를 게임 서사로 옮긴 <바람의 나라>의 단계적 영웅육성시스템과 퀘스트 수행시스템의 반복ㆍ확장성에 기반한다. 이를 통해 게임 캐릭터인 영웅은 이름 뿐인 영웅이 아니라 신화적인 불멸의 영웅성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처럼 <바람의 나라>에서 구축된 영웅육성시스템과 영웅퀘스트 수행시스템은 후대의 <임진록>ㆍ<거상> 등으로 계승된다는 고전서사문학사적 위치를 부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that investigated between Hero’s life story of <Daemusinwang myth> and hero’s system of game <Kingdom of wind> into the narrative corelationship and mythicalness.<br/>
      In the second chapter, to begin with, this paper analized the mythical system of <Daemusinwang myth> as hero's life story. And then, we proved what hero's life story of <Daemusinwang myth> is reconstructed in the narrative of MMORPG genre to be hero's cultivation system of the game <Kingdom of wind>.<br/>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d this hero's cultivation system is completed by mission and qwest in the course of level-up being mythical character. It is that the infinite repetition get to give body to the character of korean myth by giving hero characters of game <Kingdom od wind> a mythical immotality.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study that investigated between Hero’s life story of <Daemusinwang myth> and hero’s system of game <Kingdom of wind> into the narrative corelationship and mythicalness.<br/> In the second chapter, to begin with,...

      This paper is a study that investigated between Hero’s life story of <Daemusinwang myth> and hero’s system of game <Kingdom of wind> into the narrative corelationship and mythicalness.<br/>
      In the second chapter, to begin with, this paper analized the mythical system of <Daemusinwang myth> as hero's life story. And then, we proved what hero's life story of <Daemusinwang myth> is reconstructed in the narrative of MMORPG genre to be hero's cultivation system of the game <Kingdom of wind>.<br/>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d this hero's cultivation system is completed by mission and qwest in the course of level-up being mythical character. It is that the infinite repetition get to give body to the character of korean myth by giving hero characters of game <Kingdom od wind> a mythical immot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설정의 방향
      • 2. <대무신왕 신화>의 신화체계와 게임 <바람의 나라>의 서사적 상관성
      • 3. 게임 <바람의 나라>의 <대무신왕신화> 재생산이 지니는 고전문학사적 의의
      • 4. 나오는 말
      • 국문초록
      • 1. 문제설정의 방향
      • 2. <대무신왕 신화>의 신화체계와 게임 <바람의 나라>의 서사적 상관성
      • 3. 게임 <바람의 나라>의 <대무신왕신화> 재생산이 지니는 고전문학사적 의의
      •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옥, "「마고할미」 설화에 나타난 여성신 관념" 한국민속학회 25 : 1993

      2 "梁書, 高句麗傳"

      3 노성환, "왕권신화에 있어서 여행의 의미:고려의 왕권신화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18 : 2000

      4 최민성, "신화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모델" 국제어문학회 (42) : 493-522, 2008

      5 권도경, "분단 이전 북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과 <이성계 신화>로서의 인식체계" 동양고전연구소 (21) : 107-138, 2011

      6 "바람의 나라"

      7 임병희, "로고스의 영토, 미토스의 지배:판타지 소설과 온라인 게임의 신화구조 분석" 국제어문학회 24 : 2001

      8 권도경, "고전서사문학‧디지털문화콘텐츠의 서사적 상관성과 고전서사원형의 디지털스토리텔링화 가능성" 국학연구원 (155) : 145-176, 2011

      9 신선희, "고전 서사문학과 게임 시나리오" 한국고소설학회 (17) : 75-106, 2004

      10 노창현, "게임스토리에 나타난 영웅의 모험(Hero's Journey)의 12가지 단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6 (6): 104-109, 2006

      1 강진옥, "「마고할미」 설화에 나타난 여성신 관념" 한국민속학회 25 : 1993

      2 "梁書, 高句麗傳"

      3 노성환, "왕권신화에 있어서 여행의 의미:고려의 왕권신화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18 : 2000

      4 최민성, "신화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모델" 국제어문학회 (42) : 493-522, 2008

      5 권도경, "분단 이전 북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과 <이성계 신화>로서의 인식체계" 동양고전연구소 (21) : 107-138, 2011

      6 "바람의 나라"

      7 임병희, "로고스의 영토, 미토스의 지배:판타지 소설과 온라인 게임의 신화구조 분석" 국제어문학회 24 : 2001

      8 권도경, "고전서사문학‧디지털문화콘텐츠의 서사적 상관성과 고전서사원형의 디지털스토리텔링화 가능성" 국학연구원 (155) : 145-176, 2011

      9 신선희, "고전 서사문학과 게임 시나리오" 한국고소설학회 (17) : 75-106, 2004

      10 노창현, "게임스토리에 나타난 영웅의 모험(Hero's Journey)의 12가지 단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6 (6): 104-109, 2006

      11 이귀숙, "高句麗 初期의 王統變化와 朱蒙 始祖認識의 成立" 역사교육학회 (39) : 129-174, 2007

      12 "廣開土大王陵碑文"

      13 "三國史記 卷第十三, 高句麗本紀"

      14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