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는 좌업생활을 하는 노인 집단과 신체활동을 하는 노인 집단의 생리학적 떨림과 악력, 인지기능 및 기능 체력을 비교하고, 생리학적 떨림과 인지 기능 및 악력과 인지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92651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22. 2
2022
한국어
서울
56 p ; 26 cm
지도교수: 박종훈
I804:11009-0000002571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좌업생활을 하는 노인 집단과 신체활동을 하는 노인 집단의 생리학적 떨림과 악력, 인지기능 및 기능 체력을 비교하고, 생리학적 떨림과 인지 기능 및 악력과 인지 기...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좌업생활을 하는 노인 집단과 신체활동을 하는 노인 집단의 생리학적 떨림과 악력, 인지기능 및 기능 체력을 비교하고, 생리학적 떨림과 인지 기능 및 악력과 인지 기능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65세 이상의 노인 24명을 대조군(Sedentary) 집단 12명과 신체활동이 활발한 노인(Physically Active) 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각 집단은 인지 능력 평가 설문지(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를 작성하였으며, 생리학적 떨림(physiological tremor)측정 방법은 가속도계를 양손 모두 안정 시, 1000g 아령을 측정할 손바닥 위에 올려 둔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시간은 안정 시, 1000g 아령 모두 1분 동안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체력 요인을 측정하였다. 체력요인에는 악력(grip strength), SPPB((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6분 걷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Physically Active 집단은 Sedentary 집단보다 안정 시 및 1000g 좌, 우측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3, P=.001, P=.002, P=.001). 악력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Physically Active 집단이 Sedentary 집단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인지 능력 평가는 Physically Active 집단이 Sedentary 집단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더 높았다. 인지 능력과 좌, 우측 악력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나(r=.117, r=.23; P=.585, P=.279), 좌, 우측 안정 시 및 1000g 아령 손목 생리학적 떨림 모두 인지 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524; r=-.508; r=-.505; r=-.458; P=.009, P=.011; P=.012; P=.025). 좌측 악력과 좌, 우측 안정 시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고(r=-.113; r=-.147; P=.599; P=.492), 좌측 악력과 1000g 아령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102; r=-.213; P=.635; P=.317). 오른쪽 악력과 좌, 우측 안정 시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고(r=-.067; r=-.164; P=.756; P=.443), 오른쪽 악력과 1000g 아령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137; r=-.334; P=.525; P=.111).
[결론] Physically Active 집단은 Sedentary 집단보다 안정 시 및 1000g 좌, 우측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이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인지 평가 점수에서도 Physically Active 집단이 Sedentary 집단보다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인지 능력 평가와 안정 시 및 1000g 좌, 우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생리학적 떨림과 인지기능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고하였고, 생리학적 떨림은 추후 노인의 인지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용어: 노인, 신체활동, 생리학적 떨림, 악력, 인지 기능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