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DDIE 모형을 활용한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 개발 =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ity Resources Based on The Freinet Pedagogy Using The ADDIE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3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셀레스탱 프레네 교육 기반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DDIE 모형은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를 포함...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셀레스탱 프레네 교육 기반의 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DDIE 모형은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다섯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의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프랑스 프레네 유치원 탐방 및 수업을 관찰하였고,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보육현장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기관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에 적합한 교육활동을 계획 및 설계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기반 영유아교수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작성 및 환경구성, 자료개발을 진행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연구자 및 참여 교사들과의 지속적인 회의와 면담을 통해 프레네 교육의 실천방법, 교육 적용 전과 후의 생각, 의견, 소감, 개선방안 등을 녹음 전사하여 총 82쪽의 기록을 질적 분석하였다. 비구조화된 유아교육과정을 지향하는 프레네 교육은 설계-개발-실행 단계를 분리하여 접근할 수 없어 3단계를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프레네 교육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면에서 어떠한 효과를 보여주는지 살펴보았고, 이를 위해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프레네영유아교수방법과 활동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이 연구는 프레네 영유아교육이 미래인재를 키우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한 사례로 소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ity resources based on the pedagogy of Celestin Freinet using the ADDIE model. The ADDIE model was studied through the five steps of Analysis - Design - 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ivity resources based on the pedagogy of Celestin Freinet using the ADDIE model. The ADDIE model was studied through the five steps of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 and the activity styles of Frein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ceding studies of Freinet Pedagogy were analyzed, a Freinet kindergarten in France was visited in order to observe the classe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aycare facilities was examined in the first step. In the design stag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lanned and designed for the research organizations and teachers.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etails, environment, and resources were developed for the specific method of the Freinet Pedagogy.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Freinet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 ceaseless meetings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a total of 82 pages of recorded transcrip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discuss the thoughts, opinions, review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The Freinet pedagogy, pursuing non-structuraliz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not be accessed with 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 separately, but the three steps were implemented in circulation. In the evaluation stage, it was examined how the Freinet program affects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pre-tests and post-tests. The results were positive and this Freinet Pedagogy could be introduced as a case of competency-centered educational programs for future tal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과정 및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과정 및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희, "현대 프랑스 교육운동의 관점에서 본 '페다고지 프레네'"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조욱현, "프레네의 교사상과 진보주의 교사상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신현화, "프레네(Freinet) 교육론이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4 Dietlinde, B., "프레네 교육학에 기초한 학교 만들기" 내일을 여는 책 2002

      5 황성원, "프레네 교육학 : 표현 소통 협력의 교육" 창지사 2016

      6 임소연, "프레네 교육이 초등교육에 주는 함의" 23 (23): 79-104, 2016

      7 이한순, "프레네 교육과 자유표현: 프레네 교육의 현장적용을 통한 살아있는 학급경영"

      8 황성원, "표현과 소통의 교육, 셀레스탱 프레네 : 프랑스의 새로운 교육" 창지사 2010

      9 박찬영, "페다고지를 위하여 : 프레네의 페다고지 불변요소 읽기" 살림터 2017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2

      1 김세희, "현대 프랑스 교육운동의 관점에서 본 '페다고지 프레네'"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 조욱현, "프레네의 교사상과 진보주의 교사상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신현화, "프레네(Freinet) 교육론이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4 Dietlinde, B., "프레네 교육학에 기초한 학교 만들기" 내일을 여는 책 2002

      5 황성원, "프레네 교육학 : 표현 소통 협력의 교육" 창지사 2016

      6 임소연, "프레네 교육이 초등교육에 주는 함의" 23 (23): 79-104, 2016

      7 이한순, "프레네 교육과 자유표현: 프레네 교육의 현장적용을 통한 살아있는 학급경영"

      8 황성원, "표현과 소통의 교육, 셀레스탱 프레네 : 프랑스의 새로운 교육" 창지사 2010

      9 박찬영, "페다고지를 위하여 : 프레네의 페다고지 불변요소 읽기" 살림터 2017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2

      11 정훈, "자발성과 협력의 프레네 교육학" 내일을 여는 책 2009

      12 양옥승, "예측 불가능한 미래사회와 유아교육과정" 1-32, 2018

      13 Edwards, C.,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정민사 2012

      14 송순재, "셀레스탱 프레네와 프레네 교육학" 우리교육 2011

      15 정훈, "셀레스땡 프레네의 일을 통한 학교교육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6 오인탁, "새로운 학교교육문화운동 : 대안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학지사 2006

      17 Castles, S., "사회주의 교육의 이론과 실천" 푸른나무 1990

      18 조여울, "미술활동 중심의 STEAM(융합인재)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19 이명란, "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김지영, "다섯 가지 미래교육코드" 소울하우스 2017

      21 김나현,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2 박창현,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과정 성격에 부응하는 누리과정 운영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7

      23 Freinet, C., "Œuvres pédagogiques II" Seuil 1994

      24 Freinet, C., "Œuvres pédagogiques I" Seuil 1994

      25 Jacobi, J., "Votre enfant à la maternelle: Que fait-il? Comment l'accompagner?" CANOPÉ 2016

      26 Delcambre, I., "Une école Freinet: Fonctionnements et effets d'une pédagogie alternative en milieu populaire" L'Harmattan 159-184, 2007

      27 Reuter, Y., "Une école Freinet: Fonctionnements et effets d'une pédagogie alternative en milieu populaire" L'Harmattan 2007

      28 Castier C., "Pratiques Freinet en maternelle" Edition ICEM 2002

      29 Freinet, C., "Pour l'école du peuple" Fr. Maspero 1977

      30 Freinet, E., "Naissance d'une pédagogie populaire" Fr. Maspero 1976

      31 Madoun, S., "Les écoles alternatives" Grancher 2017

      32 Porquet, M., "Les techniques Freinet à l’école maternelle. Bibliothèque de l’école maternelle" ICEM 1964

      33 Freinet, C., "Les techniques Freinet de l'École moderne" A. Colin 1980

      34 Faury, C., "Les 2-3 ans à l'école" Éditons CANOPÉ 2015

      35 Auduc, J. L., "Le système éducatif français" Edition Nathan 2017

      36 Peyronie, H., "Le mouvement Freinet: du Fondateur charismatique à l'intellectuel collecif" Presses universitaires de Caen 2013

      37 Robin, I., "La pédagogie institutionnelle en maternelle" Matrice 2011

      38 Giauque, N., "La pédagogie Freinet, concepts, valeurs, pratiques de classe" Chronique sociale 2015

      39 Chalmel, L., "La petite école dans l’école: Origine piétiste-morave de l’école maternelle française" Peter Lang 2004

      40 Freinet, C., "L'éducation du travail" Delachaux & Niestlé 1978

      41 Robin, I., "L'entrée dans la réussite, évaluer en maternelle: Le Cahier de réussites" Edition RoPi 2014

      42 Le Moal, C., "Jouer et apprendre en maternelle" Éditons CANOPÉ 2015

      43 Bizieau, C., "J'ai deux, trois ou quatre ans, Et je vais à l'école Maternelle-cycle 1" Edition ICEM 2002

      44 Chabrun, C., "Entrer en pédagogie Freinet" Edition Libertalia 2015

      45 Reuter, Y., "Effets d'un mode de travail pédagogique Freinet en REP" Université Charles-de-Gaulle 2006

      46 Boncourt, M., "Dictionnaire de la pédagogie Freinet" ESF Editeur 2018

      47 Beauté, J., "Courants de la pédagogie" Chronique Sociale 2008

      48 Passerieux, Ch., "Construire le goût d'apprendre à l'école maternelle" Chronique sociale 2014

      49 Jacomo, B., "Comprendre Freinet" MaxMilo 2014

      50 Mayan, M. J.,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methods: A training module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Institute for Qualitative Methodology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