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동산 이중매매가 과연 형사처벌의 대상인가?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the basic premise that in case there are civil disputes occurring, it is right to resolve, in principle, them, in accordance with civil codes, but that if only such a method is judged invalid, criminal codes shall be applied exceptionally, protective steps for buyers sales and purchase prices are to be taken by improving such a civil case system.
      It is possible enough to prevent antisocial behaviors of real estate double contract, in advance, by revising the practice of real estate trade.
      Nevertheless, using the nation s penal power through the means of prohibition and oppression cannot be considered a valid policy.
      Especially in the case of statute nation which cannot accept the case law, taking the established precedents as an unchanged truth is extremely dangerous. In the statute nation like South Korea, it is indisputable that
      case law does not have binding force as the laws and regulations do.
      Taking it into account, the supreme court must play a role to resolutely revise a case law and improve its contradiction if such a case law is found to have no logical consistence or involve few penalties owing to the
      complemented institutional or policy system, although such a case law has long been established. It needs to be noted that revising a case law can mean complementing such an institutional or policy system that was not
      established properly at that time the case law began to be amended.
      The criminal code association criticizes too much for the logical contradiction of the criteria to be given criminal punishment. Even the judicial body has the greater opinions in favor of such a situation. Given such a stern reality, the judicial body should never delay making a final judgment, considering whether such opinions must be limited by legally persuasive power, and possible social impacts incurred when such opinions are to be accepted. This is a matter to be overcom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he legislative body drafted the related laws and ordinances and the administrative body executes them.
      번역하기

      Considering the basic premise that in case there are civil disputes occurring, it is right to resolve, in principle, them, in accordance with civil codes, but that if only such a method is judged invalid, criminal codes shall be applied exceptionally,...

      Considering the basic premise that in case there are civil disputes occurring, it is right to resolve, in principle, them, in accordance with civil codes, but that if only such a method is judged invalid, criminal codes shall be applied exceptionally, protective steps for buyers sales and purchase prices are to be taken by improving such a civil case system.
      It is possible enough to prevent antisocial behaviors of real estate double contract, in advance, by revising the practice of real estate trade.
      Nevertheless, using the nation s penal power through the means of prohibition and oppression cannot be considered a valid policy.
      Especially in the case of statute nation which cannot accept the case law, taking the established precedents as an unchanged truth is extremely dangerous. In the statute nation like South Korea, it is indisputable that
      case law does not have binding force as the laws and regulations do.
      Taking it into account, the supreme court must play a role to resolutely revise a case law and improve its contradiction if such a case law is found to have no logical consistence or involve few penalties owing to the
      complemented institutional or policy system, although such a case law has long been established. It needs to be noted that revising a case law can mean complementing such an institutional or policy system that was not
      established properly at that time the case law began to be amended.
      The criminal code association criticizes too much for the logical contradiction of the criteria to be given criminal punishment. Even the judicial body has the greater opinions in favor of such a situation. Given such a stern reality, the judicial body should never delay making a final judgment, considering whether such opinions must be limited by legally persuasive power, and possible social impacts incurred when such opinions are to be accepted. This is a matter to be overcom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he legislative body drafted the related laws and ordinances and the administrative body executes th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동욱, "형사상 배임죄의 입법례와 주체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37 (37): 151-179, 2013

      2 박광현, "형사법의 독자성과 민사법과의 법질서 통일성 관점에서 바라 본 학제 간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 (20): 257-309, 2012

      3 구재훈, "채무불이행과 배임죄" 서울대학교 법학평론편집위원회 6 : 2016

      4 황태윤, "이중매매와 횡령죄" 부설법학연구소 39 : 125-151, 2013

      5 김덕중, "이중매매에 따른 매도인의 형사책임 -판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19 (19): 441-466, 2012

      6 주지홍, "부동산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 적용 결과 민사법질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법학연구소 51 (51): 319-347, 2010

      7 정다희, "부동산의 이중매매에 관한 형사책임" 법학연구원 29 (29): 463-484, 2017

      8 박찬걸, "부동산 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립시기" 법학연구소 48 (48): 289-322, 2013

      9 강수진, "부동산 이중매매를 배임죄로 처벌하는 것은 타당한가? - 배임죄 불성립론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대검찰청 (49) : 343-378, 2015

      10 강동욱, "부동산 이중매매 매도인에 대한 형사책임의 인정에 관한 법정책적 검토 - 민사법상 효력과 비교를 통하여" 법학연구소 19 (19): 1-31, 2016

      1 강동욱, "형사상 배임죄의 입법례와 주체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37 (37): 151-179, 2013

      2 박광현, "형사법의 독자성과 민사법과의 법질서 통일성 관점에서 바라 본 학제 간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 (20): 257-309, 2012

      3 구재훈, "채무불이행과 배임죄" 서울대학교 법학평론편집위원회 6 : 2016

      4 황태윤, "이중매매와 횡령죄" 부설법학연구소 39 : 125-151, 2013

      5 김덕중, "이중매매에 따른 매도인의 형사책임 -판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19 (19): 441-466, 2012

      6 주지홍, "부동산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 적용 결과 민사법질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법학연구소 51 (51): 319-347, 2010

      7 정다희, "부동산의 이중매매에 관한 형사책임" 법학연구원 29 (29): 463-484, 2017

      8 박찬걸, "부동산 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립시기" 법학연구소 48 (48): 289-322, 2013

      9 강수진, "부동산 이중매매를 배임죄로 처벌하는 것은 타당한가? - 배임죄 불성립론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대검찰청 (49) : 343-378, 2015

      10 강동욱, "부동산 이중매매 매도인에 대한 형사책임의 인정에 관한 법정책적 검토 - 민사법상 효력과 비교를 통하여" 법학연구소 19 (19): 1-31, 2016

      11 김태수, "부동산 이중매도자의 형사책임" 법학연구원 32 (32): 97-122, 2008

      12 강수진, "부동산 대물변제예약의 채무자와 배임죄에서의 타인의 사무처리자 - 대법원 2014. 8. 21. 선고 2014도3363 판결" 법학연구원 (76) : 227-271, 2015

      13 김혜정, "배임죄의 행위주체인 ‘타인의 사무처리자’ 판단에 관한 소고" 한국법정책학회 12 (12): 1879-1900, 2012

      14 문채규, "배임죄의 주체에 관한 판례이론의 분석과 검토" 법학연구소 57 (57): 107-140, 2016

      15 허일태, "배임죄의 성립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 형사실무연구회 5 : 2005

      16 송희식, "배임죄의 불법과 치역(値域) -대법원 2011. 1. 20. 선고 2008도10479 전원합의체판결-" 한양법학회 (35) : 331-360, 2011

      17 이창섭, "배임죄의 본질에 관한 소고(小考)"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4 (14): 23-48, 2012

      18 장승일, "배임죄의 본질과 이중매도인의 형사책임" 동북아법연구소 9 (9): 295-318, 2015

      19 이정원, "배임죄의 구조와 문제점" 부설법학연구소 34 : 123-144, 2011

      20 안경옥, "배임죄의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의 의미 :동산·부동산의 이중매매·이중양도 등을 중심으로 - 대법원 2015. 3. 26. 선고 2015도1301 판결 -" 법조협회 65 (65): 574-607, 2016

      21 류전철, "배임죄에서 ‘타인의 사무’의 해석과 민사법리의 관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4 : 431-456, 2016

      22 박성민, "배임죄에 있어 임무위배행위의 제한과 실제" 법학연구원 22 (22): 119-140, 2010

      23 이승준, "배임죄 행위주체 해석의 방향 -동산 이중양도를 중심으로-" 대한변호사협회 (422) : 99-114, 2011

      24 허일태, "배임죄 해석의 나아갈 방향" 한국형사법학회 27 (27): 3-36, 2015

      25 김종덕, "배임죄 주체의 해석상 몇 가지 문제" 한국법학원 (112) : 2009

      26 김용수, "배임죄 재해석의 필요성" 한국형사법학회 27 (27): 125-147, 2015

      27 손동권, "배임죄 성립에 있어 동산과 부동산 사이의 차이문제" 한국형사법학회 25 (25): 303-324, 2013

      28 류승훈, "민 · 형사법 측면에서 살펴 본 부동산 · 동산 이중매매시의 배임죄 성립 여부" 법학연구소 10 (10): 237-259, 2016

      29 김종구, "동산이중양도의 배임죄 성립 여부 - 대법원 2011.1.20. 선고 2008도10479 전원합의체판결 -" 한국법학회 (51) : 425-442, 2013

      30 권오걸, "동산의 이중매매와 배임죄 - 부동산 이중매매와의 비교를 통해서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401-426, 2011

      31 이창온, "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대판 2011. 1. 20, 2008도10479에 대한 평석"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 : 2011

      32 백원기, "대물변제예약체결 채무자 소유 부동산의 제3자에 대한 처분행위는 배임죄에 해당하는가"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4 : 457-497, 2016

      33 이용식, "대물변제예약 부동산의 이중매매와 배임죄의 형사불법적 구조"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3 : 223-259, 2015

      34 "債務不履行과 背任罪(再論)" 법학연구소 27 (27): 317-34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3 1.21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