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추출 용매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우슬의 항염증 효과 증진 =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ed by Achyranthes japonica on Extraction Solv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5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슬(Achyranthes japonica, AJ)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우슬(AJ-LP)을 5가지 용매(물, 에탄올, 헥산, 아세트산에틸, 부탄올)로 추출하여 RAW264.7 세포에서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

      본 연구에서는 우슬(Achyranthes japonica, AJ)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우슬(AJ-LP)을 5가지 용매(물, 에탄올, 헥산, 아세트산에틸, 부탄올)로 추출하여 RAW264.7 세포에서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 및 cytokine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western blot으로 cyclooxygenase-2 (COX-2)와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세포 독성은 CCK assay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독성을 가지지 않는 농도인 100 μg/mL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NO 생성 저해 활성 결과 AJ-LP를 에탄올(E)로 추출한 시료가 LPS만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약 74%로 저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염증관련 cytokine인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terleukin-1β (IL-1β)의 결과에서도 약 57, 70, 74%의 저해율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COX-2와 iNOS 발현결과 AJ군에서 대조군(20-hydroxyecdysone)의 저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J-LP군에서 COX-2 발현량은 헥산(H)으로 추출한 시료가 대조군에 비해 약 16%로 감소하였고 iNOS 발현량은 부탄올(B)으로 추출한 시료가 약 7%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서 우슬보다 L. plantarum으로 발효한 우슬이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used extracts obtained from five different solvents (water, ethanol,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of Achyranthes japonica (AJ) and also AJ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LP) to confirm effects on the anti-inflammatory act...

      In this study, we used extracts obtained from five different solvents (water, ethanol,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of Achyranthes japonica (AJ) and also AJ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LP) to confirm effect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W264.7 cells. Experiments of measuring nitric oxide (NO) and cytokine production were performed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264.7 cells, and the expression of both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as observed by a western blot method. The cytotoxicity of RAW264.7 was confirmed by the cell counting kit (CCK) assay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which has no toxicity. As a result of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inhibition rate of AJ-LP extracted with ethanol samples was about 74% higher than that of using the control group.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terleukin-1β (IL-1β), which are inflammatory cytokines, also showed an excellent efficacy with inhibition rates of about 57, 70, and 74%, respectively. Comparing to the results of COX-2 and iNOS expression in the AJ group, the inhibition rate of 20-hydroxyecdysone was the highest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COX-2 expression level of AJ-LP group decreased about 16%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iNOS expression level was also decreased about 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AJ fermented from L. plantarum can be used as an anti-inflammatory natural materi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현, "한국 및 중국 지역에서 수집된 우슬의 모니터링을 통한 지표성분의 함량기준 설정" 한국분석과학회 25 (25): 250-256, 2012

      2 강현우, "팽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072-1078, 2012

      3 김진경,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42-347, 2007

      4 이예슬,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생명과학회 24 (24): 655-663, 2014

      5 이예슬, "토우슬과 회우슬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1 (41): 416-424, 2013

      6 김수인, "젖산균 발효 천문동의 항균활성 및 발효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 (20): 278-284, 2016

      7 김현수, "유산균의 항산화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 23 (23): 186-192, 2003

      8 최우석, "유산균 발효를 통한 황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증진" 대한화장품학회 39 (39): 303-311, 2013

      9 김혜진, "운동과 활성산소" 한국생명과학회 27 (27): 1078-1085, 2017

      10 김기옥, "우슬의 뿌리로부터 Phytoecdysones의 분리와 항 아토피 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13-19, 2015

      1 김대현, "한국 및 중국 지역에서 수집된 우슬의 모니터링을 통한 지표성분의 함량기준 설정" 한국분석과학회 25 (25): 250-256, 2012

      2 강현우, "팽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072-1078, 2012

      3 김진경,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42-347, 2007

      4 이예슬,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생명과학회 24 (24): 655-663, 2014

      5 이예슬, "토우슬과 회우슬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1 (41): 416-424, 2013

      6 김수인, "젖산균 발효 천문동의 항균활성 및 발효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 (20): 278-284, 2016

      7 김현수, "유산균의 항산화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 23 (23): 186-192, 2003

      8 최우석, "유산균 발효를 통한 황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증진" 대한화장품학회 39 (39): 303-311, 2013

      9 김혜진, "운동과 활성산소" 한국생명과학회 27 (27): 1078-1085, 2017

      10 김기옥, "우슬의 뿌리로부터 Phytoecdysones의 분리와 항 아토피 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8 (58): 13-19, 2015

      11 김진성, "우슬과 인삼 열수추출 혼합물의 파골세포와 조골세포 분화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23 (23): 117-124, 2015

      12 허태련, "우슬 추출물의 Clostridium difficile에 대한 항균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64-568, 2007

      13 오태우, "우슬 물추출물의 허혈성 뇌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연구" 대한본초학회 27 (27): 77-83, 2012

      14 이대우, "우슬 다당 추출물의 항염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화장품학회 34 (34): 37-42, 2008

      15 장귀영, "열처리와 추출방법에 따른 몇 가지 약초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914-920, 2012

      16 최유란, "배양 골모세포에 있어서 골다공증의 유발물질인 카드뮴에 대한 우슬 추출물의 보호 효과" 인간식물환경학회 15 (15): 319-324, 2012

      17 김동휘, "도입 우슬의 생육특성 및 국내 적응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158-162, 2006

      18 정명근, "길경 사포닌 분획의 NO생성과 관련된 면역조절작용을 통한 대식세포의 항암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557-563, 2011

      19 임성미,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과 항산화 활성" 한국미생물학회 46 (46): 375-382, 2010

      20 우준영, "감잎 추출물의 유산균 생육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18 (18): 28-38, 2005

      21 노경희, "RAW264.7 Macrophage Cell에서 녹차씨껍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염증억제 효과 및 기전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625-634, 2011

      22 김민지, "LPS로 유도된 RAW264.7 Cell과 마우스모델에 대한 잘피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30 (30): 182-190, 2015

      23 김판길,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레몬 머틀 잎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7 (27): 986-993, 2017

      24 김예진,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대추(Zizyphus jujube) 잎 분획물의 염증매개물질 억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1 (21): 114-120, 2014

      25 H. Lee, "Effect of lactobacilli on reactive oxygen scavenging and immune stimulation" 7 (7): 290-295,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KCI등재
      2009-04-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p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3 0.45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