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대 변화에 따른 디자인 영역 변화에 대한 고찰 : 디자인 대학 학과명 변화와 디자인 직업 분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7977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5.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changes in design area over time : focusing on the changes of design department name and design profession field

      • 형태사항

        x, 136장(일부접지)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이나미
        참고문헌: 장 130-133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ter the second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many areas of society have been emerged in various forms. Those phenomena has also a great impact on the design area, but there are only a few ...

      Nowaday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ter the second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many areas of society have been emerged in various forms. Those phenomena has also a great impact on the design area, but there are only a few of data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rea and social phenomena. Also, for designers whose number increases every year, the expansion of design area in future affects their profession and livelihood, so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ow to prepare future. Design can approach to other disciplines creatively, which is called design thinking. This plays a major role in expanding the scope of design area by combining with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the need is being recognized not only for designers but also for non-designers. As a result,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place people who can perform design work in various fields.
      Therefore, in order to visually confirm the changes of the design area according to the age change, we considered the following phenomena. In the first chapter, the design history of Korea was classified into nine stages from the before 1940s to 2010s, We have extracted meaningful events to investigate changes in design roles through reliable data. In the second chapter, we extracted the change of departments related to the design area through the homepages of 102 universities in Korea. In the third chapter, design-related occupa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five occupation books including the 1969 Korean occupational dictionary publish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fourth chapter, we summarized the contents of chapters 1, 2, and 3 as a aggregate chronology, and investigated the change of the design area according to the age change.
      The phenomena derived from the aggregate chronolog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rior to the 1940s, there was a lack of environment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esign or cultivate talent. In the 1940s,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as stationed and, throughout the society, culture and arts are accommodated. Also the foundation for modern design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European Revival Plan. In the 1950s, after the liberatio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is established through active acceptance of American culture. In the 1960s, the importanc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ustrial design began to be recognized. In the name of department, the design name did not appear yet, but in the job title, the designer started to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the 1970s, the design area began to expand actively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sual and industrial fields, and the term design was actively used. In the 1980s, the advertising design emerged through issues such as the Olympics and politics. In the 1990s, with the advent of World-Wide-Web and Photoshop, the area of design has expanded explosively. In the 2000s, with the advent of smart phones, the fusion with IT field have become important, and the area are rapidly converging with the digital image field. In the 2010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fused with the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cope of various fields are expanded explosively.
      Observing the above phenomena, future technologi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rapid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ut the education is not actively reflected yet, and the occupation field is also slowly expanding. In this context, this paper wishes to be a chance to think again about the attitudes and skills that designers should have in these situations. Also we hope to utilize this paper as a reference material for designers to recognize and prepare the trends of the design field in the future. Finally, in line with the upcom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hope that designers would play a competent role with integrating their design ideas and skills with various fields, leading industrial development, presenting a vision for the future, and demonstrating their ability to solve many upcoming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시대 흐름에 따라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을 거쳐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요즘, 사회 각 분야의 다양한 영역들은 더 좋은 방향을 찾기 위해 서로 융합과 분열을 거쳐 다양한 ...

      시대 흐름에 따라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을 거쳐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요즘, 사회 각 분야의 다양한 영역들은 더 좋은 방향을 찾기 위해 서로 융합과 분열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탄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 영역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어떻게, 어디까지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가시적인 데이터가 많지 않아 확인하는데 모호한 부분이 많다. 또한, 매년 그 수가 증가하는 디자이너들에게도 미래 디자인 영역 확장은 직업과 생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떤 것들을 배우고 대비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그에 따른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디자인이란 학문은 다른 학문 분야들에 창의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가능하며 이를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라고 한다. 이는 다양한 분야와의 결합으로 디자인의 범주를 확장하고 사회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그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은 전반적으로 디자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 혹은 디자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을 다양한 영역에 포진시키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시대변화에 따라 확장된 디자인 영역 변화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현상을 고찰하였다. 제1장에서는 시기를 한국 디자인 사의 태동기라고 볼 수 있는 1940년대 이전부터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 현재까지 총 9단계로 분류하였으며, 신뢰할만한 자료(서적, 논문, 학술지 등)들을 통해 국내외 디자인 역할 변화를 알아보고자 의미 있는 사건들을 추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내 총 102개의 대학·대학교의 홈페이지 연혁을 통해 연도별 디자인 관련 학과명 변화를 추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인력개발연구소에서 공식 발간한 1969 한국직업 사전을 비롯하여 2012년 한국직업 사전-통합본 4판까지 총 5권의 직업서적을 기초로 디자인 관련 직업을 추출하였다. 마지막 제4장에서는 제 1, 2, 3장 내용을 종합 연표로 만들어 시대 흐름에 따른 디자인 영역변화 현상을 고찰하였다.
      종합 연표에 따라 도출된 현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1940년대 이전에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디자인의 개념을 확립하거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하였다. 1940년대에는 미군정 주둔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문화, 문물 등 많은 부분을 수용하였고, 유럽부흥계획에 따라 근대 디자인 교육을 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해방 이후 미국문물의 적극적인 수용을 통해 산업디자인 분야에 기초를 다지기 시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60년대에는 국내외 산업디자인의 중요성이 인식되며 서서히 뿌리내렸고, 학과명에서는 아직 디자인이란 명칭이 등장하지 않았지만 직업명에서는 디자이너라는 직업명이 처음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에는 국내외 시각, 공업, 산업 등 폭넓은 분야로 디자인 영역이 적극적으로 확장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1980년대에는 올림픽, 정치 등의 이슈를 통해 광고 디자인이 대두되었다. 1990년대는 WWW, 포토샵의 등장과 함께 가장 많은 변화가 일어난 시기로 디자인 분야가 폭발적으로 넓어졌다. 2000년대에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전혀 새로운 IT분야와의 접목과 콘텐츠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디지털 영상 분야와 빠르게 융합되었다. 2010년대에는 제3차 산업혁명과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해 앞선 기술발달이 디자인적 특성과 융합해 다양한 분야에서 폭발적으로 그 범위가 확장되었다.
      상기에서 확인한 현상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앞으로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등의 미래 기술은 빠르게 발달하고 상용화되는 것에 비해 아직 교육은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직업 분야 또한 더디게 확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들 속에서 앞으로 디자이너들이 가져야 할 자세와 소양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이를 통해 앞으로 디자이너들이 디자인 각 분야에 대해 시대의 흐름을 읽고 대비해나갈 수 있는 참고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또한, 디자이너들은 앞으로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디자인적 사고와 스킬을 다양한 분야들과 융합하여 산업발전을 주도하고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며, 앞으로 다가오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유능한 역할을 담당하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6
      • Ⅰ. 디자인 역할 변화 고찰 8
      • 1. 시대 변화에 따른 국외 디자인 개념과 역할의 변화(사건별) 9
      •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6
      • Ⅰ. 디자인 역할 변화 고찰 8
      • 1. 시대 변화에 따른 국외 디자인 개념과 역할의 변화(사건별) 9
      • 1) 1940년대 이전 : 제2차 산업혁명 / 미국 뉴 바우하우스 9
      • 2) 1940년대 : 제2차 세계대전 종전 / 미국의 유럽부흥계획 10
      • 3) 1950년대 :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출간/ 울름조형대학 개교 11
      • 4) 1960년대 : 그래픽 디자인 전문 직종 확립 / 디자인 방법론 대두/ 필립스 미니 카세트 개발 14
      • 5) 1970년대 : 모더니즘 양식 유행 / 미국 극사실주의 운동 전개/ 『인간을 위한 디자인』출간 16
      • 6) 1980년대 : 포스트모더니즘 / 애플 매킨토시 PC 진출 / 프로슈머의 등장 19
      • 7) 1990년대 : World Wide Web의 등장 / 어도비 포토샵 개발 21
      • 8) 2000년대 : FACE BOOK 등장 / 애플 아이폰 출시 / 유튜브 등장/ 디자인 어워드 카테고리의 다양화 / 증강현실 주목 22
      • 9) 2010년대 : 3D 프린터의 보급 / 제3차 산업혁명 /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알파고 / 캄테크 28
      • 2. 시대 변화에 따른 국내 디자인 개념과 역할의 변화(사건별) 31
      • 1) 1940년대 이전 : 일제강점기 / 단순 공예 / 관광 상품화 31
      • 2) 1940년대 : 해방 이후 / made in USA /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창립/ 한국공예시범소 신설 / 제1회 미술전람회 개최 32
      • 3) 1950년대 : AFKN 라디오, 텔레비전 등장 / 6.25전쟁 / 한국공예시범소 신설 33
      • 4) 1960년대 : 산업디자인 등장 / KBS TV 개국 / 제1호 전화기 디자인/ 제1회 대한민국 상공미술전람회 개최/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개최 35
      • 5) 1970년대 : 한국디자이너협회, 한국그래픽디자인협회 창립/ 한국인더스트리얼 디자이너협회 창립 / OB맥주 CI 개발/ 한국디자인포장센터 신설 / 한국디자인학회 창립/ 『월간디자인』창간 37
      • 6) 1980년대 : 『현대 디자인연구』출간 / 국내 최초 디자인 박사학위 수여/ 굿 디자인 제도 / 정치적 디자인 대두 / 서울올림픽 개최 39
      • 7) 1990년대 : 세계화 / 디자인 경영 대두 / 대중문화발달 / IMF 43
      • 8) 2000년대 : 공공디자인 대두 / 유니버설디자인 대두 / 1인 가구의 확대 45
      • 9) 2010년대 : 1인 미디어 / 벤처 스타트업 대두 / 트랜스 브랜딩/ Smart City Smart Design Smart Life 대두 47
      • Ⅱ. 대학 대학교 디자인 학과명 고찰 50
      • 1. 시대 변화에 따른 국외 디자인 학과명 고찰 52
      • 2. 시대 변화에 따른 국내 디자인 학과명 고찰 58
      • 1) 1940년대 이전 60
      • 2) 1940년대 61
      • 3) 1950년대 62
      • 4) 1960년대 63
      • 5) 1970년대 64
      • 6) 1980년대 65
      • 7) 1990년대 67
      • 8) 2000년대 68
      • 9) 2010년대 71
      • 10) 연표 72
      • 11) 디자인 이색 학과명 고찰 78
      • Ⅲ. 디자인 직업 분야 고찰 82
      • 1. 시대 변화에 따른 국외 디자인 직업 분야 고찰 84
      • 2. 시대 변화에 따른 국내 디자인 직업 분야 고찰 87
      • 1) 1969년 이전 90
      • 2) 1969년도 91
      • 3) 1986년도 91
      • 4) 1995년도 92
      • 5) 2003년도 93
      • 6) 2012년도 94
      • 7) 연표 95
      • 8) 디자인 추가 직업명 고찰 102
      • Ⅳ. 종합 고찰 105
      • 1. 현상 고찰 105
      • 1) 디자인 영역의 단순기 (-1940-1950-) 105
      • 2) 디자인 영역의 태동기 (-1960-) 107
      • 3) 디자인 영역의 발달기 (-1970-) 108
      • 4) 디자인 영역의 발전기 (-1980-) 110
      • 5) 디자인 영역의 진화기 (-1990-) 112
      • 6) 디자인 영역의 확장기 (-2000-) 114
      • 7) 디자인 영역의 융합기 (-2010-) 118
      • 8) 디자인 영역 변화 표 122
      • 2. 종합 연표 124
      • Ⅴ. 결론 및 논의 127
      • 1.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127
      • 2.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제언 129
      • 참 고 문 헌 130
      • ABSTRACT 1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