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공간은 누구의 의견을 대표하는가? = Whose Opinions are Represented in the Online Wor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6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importance of online world data, the usage is rarely seen in the political science domain. The major reason is the representativeness stemming from sampling and selection bia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tensity of sampling and selec...

      Despite the importance of online world data, the usage is rarely seen in the political science domain. The major reason is the representativeness stemming from sampling and selection bia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tensity of sampling and selection bias in social media-generated data. Utilizing survey data asking the usage of social media for political expression, sampling bias is not found to be extensive, but selection bias is. That is, party loyal people, politically communicated people, and conservative people are more represented than the commons in social mediagenerated data. However, this tendency does not limit the use of social media-generated data, because representativeness is domain-specific one and selection bias is also one of the problems in survey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SNS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대표성(represenativeness)은 여론 분석을 위한 SNS 데이터 사용의내재적 한계로 지적되고 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SNS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대표성(represenativeness)은 여론 분석을 위한 SNS 데이터 사용의내재적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재적 한계는 표본 대표성과 선택 편향성으로 인한 대표성에서 비롯되는 바, SNS 데이터 활용을 주저하게 한다. 본 연구는 정치 관련 SNS 활동을 묻는 설문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SNS 데이터의 내재적 한계에 대한 경험적 답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SNS 공간에서의 대표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보면, SNS의 내재적 한계로 지적된 표본 대표성은 SNS 대표성을 크게 훼손하지 않는 반면, 선택 편향성은 SNS 공간이 일반 시민을 대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SNS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인구사회적 특성에 의한 차이 보다는 정치성향이 강한 사람, 특히 진보 보다는 보수성향 의견이 보다 대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리 말하면, 정당 지지의 정도가 높고, 정치적 소통이 강한, 그리고 이념성향이 분명한 사람 중 보수 의견이 보다 잘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SNS 데이터의 선택 편향성은 전통적인 조사방식인 여론조사에서도 지적되고 있기에, 본 연구는 SNS 공간의 여론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SNS 데이터 유용성을 지적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영, "한국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 21세기정치학회 27 (27): 1-30, 2017

      2 장우영, "트위터스피어의 선거 이슈와 동원: 19대 총선을 사례로" 21세기정치학회 23 (23): 247-268, 2013

      3 엄기홍, "정치학을 위한 파이썬"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8

      4 장우영, "정치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촛불집회 : 담론과 정책이슈 차별성의 빅데이터 분석" 한국정치학회 52 (52): 33-60, 2018

      5 금혜성, "온라인공간의 정당정치: 연구방법과 동향에 관한 시론적 연구" 21세기정치학회 21 (21): 101-132, 2011

      6 전진오, "소셜미디어 이용이 오프라인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촛불집회 SNS 읽기-쓰기의 매개 효과에 주목하며"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7 (27): 169-205, 2019

      7 김윤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분석" KISDI STAT 2013

      8 진보래, "성격특성, 오프라인 활동, 정치성향, 삶의 만족도에 따른 SNS 이용" 한국언론학회 59 (59): 239-272, 2015

      9 민정훈, "빅데이터를 이용한 외교·안보 여론 분석에 관한 논의 및 함의" IFANS 1-22, 2019

      10 Bright, Jonathan, "The Use of Social Media for Research and Analysis: Feasibility Study" DWP

      1 이소영, "한국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 21세기정치학회 27 (27): 1-30, 2017

      2 장우영, "트위터스피어의 선거 이슈와 동원: 19대 총선을 사례로" 21세기정치학회 23 (23): 247-268, 2013

      3 엄기홍, "정치학을 위한 파이썬"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8

      4 장우영, "정치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촛불집회 : 담론과 정책이슈 차별성의 빅데이터 분석" 한국정치학회 52 (52): 33-60, 2018

      5 금혜성, "온라인공간의 정당정치: 연구방법과 동향에 관한 시론적 연구" 21세기정치학회 21 (21): 101-132, 2011

      6 전진오, "소셜미디어 이용이 오프라인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촛불집회 SNS 읽기-쓰기의 매개 효과에 주목하며"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7 (27): 169-205, 2019

      7 김윤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분석" KISDI STAT 2013

      8 진보래, "성격특성, 오프라인 활동, 정치성향, 삶의 만족도에 따른 SNS 이용" 한국언론학회 59 (59): 239-272, 2015

      9 민정훈, "빅데이터를 이용한 외교·안보 여론 분석에 관한 논의 및 함의" IFANS 1-22, 2019

      10 Bright, Jonathan, "The Use of Social Media for Research and Analysis: Feasibility Study" DWP

      11 Samuels, David, "The Power of Partisanship in Brazil: Evidence from Survey Experiments" 58 (58): 212-225, 2014

      12 Vaccari, Cristian, "Social media and political communication: A survey of twitter users during the 2013 Italian general election" 43 (43): 381-410, 2013

      13 Boyd, danah. m., "Social Ne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larship" 13 (13): 210-230, 2008

      14 이원태, "Social Networking Strategies of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in South Korea: Current State and Its Implication" 한국정치학회 46 (46): 109-141, 2012

      15 Anstead, Nick, "Social Media Analysis and Public Opinion: The 2010UK General Election" 20 : 204-220, 2014

      16 Hamling, TIm, "Sentiment Analysis of Tweets to Gain Insights into the 2016 US Election" 11 : 34-42, 2017

      17 Vindohini, G.,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A Survey" 2 (2): 282-292, 2012

      18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2018

      19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2015

      20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14-, 2016

      21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2019

      22 강진숙, "SNS 이용자의 정치참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2 (62): 179-199, 2013

      23 도묘년, "SNS 이용자 특성과 선거참여 행태 분석: 18대 대선의 사례"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175-196, 2015

      24 이하나, "SNS 이용자 집단 구분과 예측 변인들의 영향에 관한 연구 : 비이용자, 소극적 이용자, 적극적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1 (31): 5-40, 2017

      25 최지향, "SNS 이용과 정치참여 : 정치적 사회자본과 정보 및 오락추구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123-144, 2016

      26 윤상혁, "SNS 온라인 리뷰를 활용한 TV프로그램 품질평가연구" 한국방송학회 (90) : 42-73, 2015

      27 이재묵, "SNS 사용과 지역주의 투표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51 (51): 47-68, 2017

      28 Long, Scott,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SAGE Publications, Inc 1997

      29 Bravo, Rosa Borge, "Opinion leadership in pariliamentary Twitter networks: A matter of layers of interaction?" 14 (14): 263-276, 2017

      30 Gayo-Avello, D., "Don’t turn social media into another ‘Literary Digest’poll" 54 (54): 121-128, 2011

      31 송경재, "Does SNS make Gender Differences in Political Participation? South Korean Case Study" 미래정치연구소 7 (7): 5-33, 2017

      32 Zhang, Lei, "Deep learing for sentiment analysis: A Survey" 8 (8): 1-25, 2018

      33 Buntain, Cody, "Comparing Social Media and Traditional Surveys Around the Boston Marathon Bombing"

      34 구본상, "ARS 조사방식과 젊은 연령대 여성 표집의 실패: 정치적 의견이 강한 유권자들 비율에서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8 (18): 31-60,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2 1.98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