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전기 墨竹圖 題畵詩의 상징방식과 그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9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전기 묵죽도 제화시의 상징의미와 그 표현방식을 분석한 것이 다. 묵죽도 제화시는 대나무 그림을 대상으로 한다. 이 시에는 대나무 그림의 상징 이 내포되어 있다. 그 상징...

      이 논문은 조선 전기 묵죽도 제화시의 상징의미와 그 표현방식을 분석한 것이 다. 묵죽도 제화시는 대나무 그림을 대상으로 한다. 이 시에는 대나무 그림의 상징 이 내포되어 있다. 그 상징의미는 당대 ‘대나무’라는 사물 자체에 함축된 ‘物’과 ‘事’ 의 의미가 복합적으로 얽혀 형성된다. 묵죽도 제화시는 대나무와 관계된 물상과 사건의 의미가 각각 관념화, 실재화되어 시로 표현된 것이다. 물상으로서 대나무 는 神龍과 君子의 관념적 존재로 인격화되었다. 사건으로서 대나무는 二妃와 屈 原의 고사가 얽힌 가상적 공간이 悲哀와 脫俗의 이미지로 실재화되었다. 이는 대 나무라는 象徵 圖象이 시의 언어로 형상화된 결과이다. 대나무를 둘러싼 조선 전 기 문인들의 의식과 소통은 묵죽도 제화시에 반영되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symbols and expressions, focusing on the painting poetry about a bamboo painting[Mukjookdo]. The poem contains a symbol of bamboo painting. This symbolic meaning is formed by a complex intertwining of the meanings of an 'object...

      This paper analyzes the symbols and expressions, focusing on the painting poetry about a bamboo painting[Mukjookdo]. The poem contains a symbol of bamboo painting. This symbolic meaning is formed by a complex intertwining of the meanings of an 'object[物]' and 'event[事]' implied in the thing itself of the contemporary ‘bamboo’. The meanings of objects and events related to bamboo are expressed as poetry by idealization[觀念化] and realization[實在化], respectively. As an object, a bamboo was personified as the ideal existence of a god dragon[神龍] and a Junzi(君子). As an event, the virtual space of bamboo about the bamboo of Two queens[二妃] and Qu Yuan[屈原] was realized as the sorrowful and unworldly image. This is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of symbol-icons about bamboo in the language of poetry. The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of literary person[文人] in the former Joseon Dynasty surrounding bamboo are reflected in the painting poetry about a bamboo pain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대나무의 관념화 - 神龍과 君子
      • 3. 죽림의 실재화 - 悲哀와 脫俗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대나무의 관념화 - 神龍과 君子
      • 3. 죽림의 실재화 - 悲哀와 脫俗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유박, "화암수록" 휴머니스트 2019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

      5 손오규, "퇴계 墨竹題畵詩의 전통성과 意境" 한국시조학회 (41) : 63-92, 2014

      6 김남이, "집현전 학사의 문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7 백인산, "조선의 묵죽" 대원사 2007

      8 이주현, "쓰러진 군자(君子) ― 서위(徐渭) 그림과 시에 나타난 매화와 대나무" 한국중국어문학회 82 : 125-153, 2015

      9 서은숙,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 「聲畵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35) : 471-498, 2009

      10 양진조, "대나무 題畵詩에 대한 一考察" 중앙어문학회 55 : 149-171, 2013

      1 "論語"

      2 유박, "화암수록" 휴머니스트 2019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

      5 손오규, "퇴계 墨竹題畵詩의 전통성과 意境" 한국시조학회 (41) : 63-92, 2014

      6 김남이, "집현전 학사의 문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7 백인산, "조선의 묵죽" 대원사 2007

      8 이주현, "쓰러진 군자(君子) ― 서위(徐渭) 그림과 시에 나타난 매화와 대나무" 한국중국어문학회 82 : 125-153, 2015

      9 서은숙,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 「聲畵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35) : 471-498, 2009

      10 양진조, "대나무 題畵詩에 대한 一考察" 중앙어문학회 55 : 149-171, 2013

      11 이어령, "대나무" 종이나라 2006

      12 홍언필, "默齋先生文集"

      13 崔敬桓, "韓國 題畵詩의 陳述樣相 연구"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1

      14 소세양, "陽谷先生集"

      15 신두환, "退溪의 漢詩나타난 대나무의 美의식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57-594, 2010

      16 "詩經"

      17 박상, "訥齋先生集"

      18 성현, "虛白堂補集"

      19 宗白華, "美學散步" 上海人民出版社 2005

      20 "經國大典"

      21 양회석, "竹의 예술화와 그 함의 ― 詠竹과 畵竹을 중심으로" 한국중국어문학회 50 : 21-50, 2007

      22 강희맹, "私淑齋集"

      23 임억령, "石川先生詩集"

      24 이색, "牧隱詩藁"

      25 정사룡, "湖陰雜稿"

      26 이석형, "樗軒集"

      27 "東文選"

      28 蘇軾, "東坡詩集"

      29 이규보, "東國李相國全集"

      30 신두환, "朝鮮士人들의 ‘楚辭’ 受容과 그 美意識" 근역한문학회 30 : 55-82, 2010

      31 정수강, "月軒集"

      32 "新增東國輿地勝覽"

      33 김수온, "拭疣集"

      34 성삼문, "成謹甫先生集"

      35 "後漢書"

      36 김안로, "希樂堂文稿"

      37 이행, "容齋先生集"

      38 심의, "大觀齋亂稿"

      39 서거정, "四佳詩集"

      40 黃堅, "古文眞寶"

      41 김종직, "佔畢齋集"

      42 신광한, "企齋集"

      43 이승소, "三灘先生集"

      44 "三國遺事"

      45 "三國史記"

      46 高蓮姬, "「夢遊桃源圖 題讚」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47 이은주, "15세기 제화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