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TV사극 속 여성 주인공 연구 : 2020년대 방영된 TV사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emale Protagonists in TV Historical Dramas : Focusing on TV historical dramas aired in the 202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96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TV사극은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여러 가지 달라진 면모들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연구 대상이 아직도 2010년대에 방영되었던 TV사극에 머물러 있거나 몇몇 특정 작품에 지나치게 편중되는 등 2020년대 TV사극을 심도 있게 논의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2020년대 방영된 27편의 TV사극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가운데 수많은 연구 기준 중에서 캐릭터를 선택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퓨전사극과 픽션사극의 시대를 거치면서 비중이나 역할이 증대된 여성 주인공으로 범위를 더욱 좁혔다. 그간 TV사극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본격적인 여성 캐릭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던 실정을 반영한 것이었다.
      우선 Ⅱ장에서 연구 대상 속 여성 주인공들의 신분, 직업, 목표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반이나 왕족과 같은 상류층의 신분에 속하며 이전 시기에 비해 다양해지지는 못했으나 그래도 나름 직업을 부여했고 생계유지가 극중 중요한 목표로 자리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도출된 함의들을 Ⅲ장에서 차례로 서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여성 주인공들이 주로 로맨스 서사의 주역으로 활약했으며 둘째, 성공보다는 생계와 같은 소시민적인 목표를 꿈꾸었고 셋째, 그녀들의 직업이 로맨스와 생계의 수단으로 작동했음을 확인했다.
      이는 역사 인식이나 담론과 같은 묵직한 의미보다는 시청자의 정서와 욕망을 투영하는 것을 더 제작의 방향이나 목적으로 설정했기 때문으로 여긴다. 그럼으로써 시청률과 화제성으로 대변되는 대중성을 더욱 추구하고자 했다.
      번역하기

      TV사극은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여러 가지 달라진 면모들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연구 대상이 아직도 2010년대에 방영되었던 TV사극에 머물러 있거나 몇몇 특정 작품에 지나치게 편중되는 ...

      TV사극은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여러 가지 달라진 면모들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연구 대상이 아직도 2010년대에 방영되었던 TV사극에 머물러 있거나 몇몇 특정 작품에 지나치게 편중되는 등 2020년대 TV사극을 심도 있게 논의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2020년대 방영된 27편의 TV사극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가운데 수많은 연구 기준 중에서 캐릭터를 선택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퓨전사극과 픽션사극의 시대를 거치면서 비중이나 역할이 증대된 여성 주인공으로 범위를 더욱 좁혔다. 그간 TV사극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본격적인 여성 캐릭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던 실정을 반영한 것이었다.
      우선 Ⅱ장에서 연구 대상 속 여성 주인공들의 신분, 직업, 목표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반이나 왕족과 같은 상류층의 신분에 속하며 이전 시기에 비해 다양해지지는 못했으나 그래도 나름 직업을 부여했고 생계유지가 극중 중요한 목표로 자리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도출된 함의들을 Ⅲ장에서 차례로 서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여성 주인공들이 주로 로맨스 서사의 주역으로 활약했으며 둘째, 성공보다는 생계와 같은 소시민적인 목표를 꿈꾸었고 셋째, 그녀들의 직업이 로맨스와 생계의 수단으로 작동했음을 확인했다.
      이는 역사 인식이나 담론과 같은 묵직한 의미보다는 시청자의 정서와 욕망을 투영하는 것을 더 제작의 방향이나 목적으로 설정했기 때문으로 여긴다. 그럼으로써 시청률과 화제성으로 대변되는 대중성을 더욱 추구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V historical dramas showed many different aspec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discuss TV historical dramas in the 2020s in depth, as the research topics are still limited to TV historical dramas aired in the 2010s or are overly concentrated on a few specific works.
      Thus, this study chose characters among the numerous research criteria while using 27 TV historical dramas aired in the 2020s as the research topics. And the scope was further narrowed down to female protagonists whose proportions and roles have increased through the era of fusion historical dramas and fiction historical dramas from 2000s to present. This reflected the fact that there had been many studies on TV historical dramas, but there had not been many studies on full-scale female characters.
      First, Chapter Ⅱ examined the status, occupation, and goals of the female protagonists in the study. As a result, they belonged to the upper class, such as noblemen or royals, and they were still given jobs of their own, although not as diverse as in previous periods and maintaining a living was often an important goal in the drama. And Chapter III describes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is current situation one by on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protagonists mainly played the leading roles in romance narratives; second, they dreamed of petit bourgeois goals such as livelihood rather than success; and third, their jobs functioned as a means of romance and livelihood.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the direction or purpose of production was set to project viewers' emotions and desires, rather than heavy meanings such as historical awareness or discourse. This allowed them to further pursue popularity represented by viewer ratings and topicality.
      번역하기

      TV historical dramas showed many different aspec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discuss TV historical dramas in the 2020s in depth, as the research topics are still limited to TV historical dramas aired in ...

      TV historical dramas showed many different aspect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discuss TV historical dramas in the 2020s in depth, as the research topics are still limited to TV historical dramas aired in the 2010s or are overly concentrated on a few specific works.
      Thus, this study chose characters among the numerous research criteria while using 27 TV historical dramas aired in the 2020s as the research topics. And the scope was further narrowed down to female protagonists whose proportions and roles have increased through the era of fusion historical dramas and fiction historical dramas from 2000s to present. This reflected the fact that there had been many studies on TV historical dramas, but there had not been many studies on full-scale female characters.
      First, Chapter Ⅱ examined the status, occupation, and goals of the female protagonists in the study. As a result, they belonged to the upper class, such as noblemen or royals, and they were still given jobs of their own, although not as diverse as in previous periods and maintaining a living was often an important goal in the drama. And Chapter III describes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is current situation one by on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protagonists mainly played the leading roles in romance narratives; second, they dreamed of petit bourgeois goals such as livelihood rather than success; and third, their jobs functioned as a means of romance and livelihood.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the direction or purpose of production was set to project viewers' emotions and desires, rather than heavy meanings such as historical awareness or discourse. This allowed them to further pursue popularity represented by viewer ratings and topica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