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노동법제 발전을 통해 본 북한의 노동법제 변화 전망 = Prospects for the Change in North Korea’s Labor Law System through the Chinese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7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labor law development in China since its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Based on this background, North Korea’s labor law system will be closely examined along with exploration of necessary changes for economic reform to tak...

      This paper examines the labor law development in China since its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Based on this background, North Korea’s labor law system will be closely examined along with exploration of necessary changes for economic reform to take place.
      For the transitional socialist state, legislative reform is an essential condition to establish market economy system, and labor law system are especially responsive to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mong the transitional states in Northeast Asia such as China, Russia, and Mongolia, the case of China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North Korea, for achieving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without making fundamental changes to its authoritarian and socialist model.
      Labor law system of China has evolved with the Communist Party that came into power in 1949. In 1978, the new political line, “construction of socialist modernization” was put into effect, and labor management shifted from policy to legislative restructure, incorporating the new framework of labor relations reform under the market economy system. During this process, China first began experimenting with capitalistic labor law system in its exclusive industrial zones. With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labor law system, it began to gradually expand and instituted throughout the country.
      China’s initial experience with instituting its labor law system of the exclusive industrial zones has proven to serve as an important lesson for North Korea, in its pursuit of special economic zones, such as Kaesong Industrial Complex. However, the change in labor law system of North Korea may bring about reform and opening its doors to foreign influence and ultimately,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s that will lead to normalization of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reorganization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al or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인 중국이 시장 경제체제 전환에 따라 노동법제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 이를 토대로 북한 노동법제는 경제개혁을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를 검토하는...

      이 연구는 사회주의 체제전환국인 중국이 시장 경제체제 전환에 따라 노동법제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 이를 토대로 북한 노동법제는 경제개혁을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사회주의체제전환국이 시장경제제도의 확립을 위한 법제개혁에서 사회·경제적 변화를 민감하게 수용하는 법제 중 하나가 노동법제이다. 중국, 러시아, 몽골 등 아시아지역 체제전환국들 중에서 권력지배의 구조와 사회주의의 기본모형에 근본적인 변화 없이 가장 성공적으로 경제발전의 성과를 보였다는 점 등에서 특히 중국의 체제전환 사례가 북한에게 주목된다.
      1949년 이래 중국 노동법제는 중국공산당의 정치노선의 변화에 따라 변화해 왔다. 1978년 새로운당의 정치노선, 소위 ‘사회주의 현대화건설’이 채택되면서, 노동관리 모델이 정책조정에서 법률조정으로 전환되고, 시장경제체제하의 노동관계 조정을 위한 새로운 틀이 마련되었다. 특히 1994년 중국노동법의 제정은 중국 최초로 자본주의적 의미가 있는 노동계약제를 확립한 종합성 법률이다. 입법의 핵심적 초점은 기업의 경영효율을 중시하여 경제발전에 필요한 고용의 탄력성을 요구하는데 있었다. 2000년대 진입하면서 소외된 사회적 약자인 노동자들은 경제성장의 성과에 대한 공동향유를요구하면서, 성장위주의 선부론(先富論)에서 균형성장과 분배·형평을 추구하는 균부론(均富論)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상황 변화는 중국 노동법제의 사회적 기능에 주목하는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이에중국은 2007년 노동계약법 제정을 통해 노동자의 권익보호와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있다.
      이러한 노동법제의 발전과정에서 경제특구 노동법제는 중국 노동법제의 변화를 추동했다. 특히심천경제특구는 1981년 중국 최초로 이질적인 자본주의적 노동법제를 실험적으로 시행하여 이후성공함으로써, 이를 국내 전체 노동법제의 개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북한은 1991년부터 경제특구를 지정하여 대외개방 의지를 보였다. ‘개성공업지구법’과 ‘개성공업지구 노동규정’이 노동력의 효율적 활용과 관련하여 가장 진화 발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를주요내용으로 삼고 있는 개성공업지구 노동법제는 사회주의법제를 고수하면서도 자본주의적 의미의노동법원리를 상당부분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 심천경제특구의 초기 노동법제의 경험은 개성공단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개성공업지구 노동규정’에 노동계약제와 임금직불제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어 있으나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조건이 준비되어 있지 않는것, 즉 법과 현실의 괴리가 존재하는 것이 북한의 현실이다. 그 이유는 분명 북한 체제내적 요인에서찾을 수밖에 없다. 그 외에도 북핵문제를 둘러싼 북미간의 대립으로 체제안전에 전력을 기울어야할 북한의 입장에서 대외 개방과 개혁을 추동할 수 있는 노동법제의 변화에 적극적 태도를 요구하는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張志京, "勞動法學, 第二版" 復旦大學出版社 2008

      2 饒艾, "勞動法學" 西南交通大學出版社 2009

      3 關懷, "勞動法學" 群衆出版社 1983

      4 한대원, "현대 중국법개론" 박영사 2002

      5 한국경연자총협회 국제협력팀, "최근 중국 노동법의 변화" (344) : 2007

      6 문무기, "최근 북한 노동법제의 변화―경제특구 노동규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16) : 147-183, 2004

      7 이희옥, "중국의 새로운 사회주의 탐색" 창비 2004

      8 이규철, "중국의 노동법제와 노동환경 고찰" 5 (5): 2007

      9 陳步雷, "중국노동법제의 역사와 최근의 변화" 5 (5): 2007

      10 민경배, "중국공산당 혁명근거지의 법제변천(1937~1949)" 한국법사학회 (24) : 135-159, 2001

      1 張志京, "勞動法學, 第二版" 復旦大學出版社 2008

      2 饒艾, "勞動法學" 西南交通大學出版社 2009

      3 關懷, "勞動法學" 群衆出版社 1983

      4 한대원, "현대 중국법개론" 박영사 2002

      5 한국경연자총협회 국제협력팀, "최근 중국 노동법의 변화" (344) : 2007

      6 문무기, "최근 북한 노동법제의 변화―경제특구 노동규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16) : 147-183, 2004

      7 이희옥, "중국의 새로운 사회주의 탐색" 창비 2004

      8 이규철, "중국의 노동법제와 노동환경 고찰" 5 (5): 2007

      9 陳步雷, "중국노동법제의 역사와 최근의 변화" 5 (5): 2007

      10 민경배, "중국공산당 혁명근거지의 법제변천(1937~1949)" 한국법사학회 (24) : 135-159, 2001

      11 경제연구본부, "중국경제특구와 개성공단의 성공 조건 비교와 시사점. in: VIP 리포트"

      12 유욱, "중국 심천경제특구 초기 노동법제 및 사회보장법의 개요와 개성공단법제에 대한 시사점. in: 개성공단 성공을 위한 법제도적 인프라구축방안" 2006

      13 문무기, "중국 노동법제 분석을 통한 북한 노동법제 변화전망" 한국노동연구원 2003

      14 임을출, "중국 경제특구와 개성공단의 초기조건 비교: 임금고용 법제(法制)와 실제(實際)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1 (11): 251-279, 2007

      15 이평복, "신노동계약법의 주요 이슈 및 대응방안" (37) : 2007

      16 선한승, "북한인력에 관한 법제·실태와 활용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4

      17 이철수, "북한의 노동법제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 한국노사관계학회 14 (14): 113-146, 2004

      18 박은정, "북한 노동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19 임을출, "북한 경제특구 법제의 변화와 발전조건" 평화문제연구소 19 (19): 219-262, 2007

      20 유현정, "북한 경제특구 노동법제의 개선방안" 2008

      21 법무부, "베트남 개혁개방법제 개관" 법무부 2005

      22 민경배, "모택동사상과 법" 한국법철학회 5 (5): 35-54, 2002

      23 방혜정, "노동법제규범화의 신호탄, 근로계약의 입법의의와 한계" 2007

      24 김형배, "노동법 제4판" 박영사 2007

      25 유욱, "개성공단법제의 현황과 과제" (8) : 2005

      26 "關于建國以來黨的若干歷史問題的決議" 人民出版社 1981

      27 王文昇, "社會主義初級段階的含義, 特徵和歷史地位" 6 : 1987

      28 毛澤東, "工人階級與資産階級的矛盾是國內主要矛盾. in: 毛澤東選集. 第五卷" 人民出版社 1977

      29 本書編寫組, "十七大黨章學習讀本" 人民出版社 2007

      30 張明奉, "北韓과 中國의 經濟特區法制 硏究-?開城工業地區法?과 ?廣東省經濟特區條例?를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25) : 127-166, 2003

      31 陳荷夫, "中國憲法類編" 1980

      32 윤진기, "中國 勞動法의 새로운 傾向" (5) : 1955

      33 鄧小平, "一切從社會主義初級段階的實際出發. in: 鄧小平文選. 第三卷" 人民出版社 1993

      34 Holand, Armin, "EU-Recht auf dem Weg nach Osten: Rechtssoziologischen Fragen. in: Recht in der Transformation" Wissenschaftsverlag 2002

      35 Min, Kyung-Bae, "Die Entwicklung des Rechts in der Volksrepublik China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Transformationen der Hauptwiderspruchs"

      36 Hainz, Bernhard, "Arbeits- und Sozialrecht in Mittell- und Osteuropa" Manz 2004

      37 林嘉, "21世纪中国劳动法范式的转变" 한국노동법학회 (28) : 21-5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