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 = Study on the History Class of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Utilizing Witness Commenta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61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ing methods using witness commentaries in teaching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and to verify usefulness of using this material in the history class. At first,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witness commentaries were clarified and teaching element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history class were suggested.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witness commentaries in the light of teaching material was attempted to be 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m in the history class.
      Following evidences were used in the history clas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oral testimony, trial records, protocol of a suspect-examination, statement of appeal, interview with media. As for the learning elements, local historical background of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subjects and characters of the movement, and inner state of demonstrators were set up.
      Witness commentaries as one of the historical material used to grasp the historical events tend to be subjective. In addition, because of the emotional elements within them, carefu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when analyzing thoughts and intention of the witness.
      In the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the application procedure of witness commentaries synthesizing the Quellenkritik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of history was presented in this study. In the clas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effectiveness of witness commentaries in teaching the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could be verified.
      This material seems to be useful in the respect of providing students with the circumstance of at that time vividly and specifically. The specific description by witnesses of atmosphere of the city of the time, the confrontation situation between demonstrators and police, the scene unreleased in the media, and arrest and torture experienced by some demonstrators helped students to feel as if they were in the historical moments of the time. The fact that the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was democratic movements by people against 'Yushin regime'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Although at that time the reports of the media and announcement of government said that the movement was riot provoked by impure elements, evidences that the Pusan-Masan democratic movement was a prodemocratic movement initiated by common people could be found in this study. This history class applying witness commentaries seems to enable students to recognize themselves as a historical being by identifying their feeling with that of witnesses and having empathy for the witnesses. This application seems to be effective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the students and witnesses in that the students are the contemporaries of the witnesses. In addition, name of the place, dialects etc. helped students to feel familiarity and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local people about the movement. Also, interviews of witnesses who showed affection toward the local communities seem to help students cultivate the local identity.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history class of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using witness commentaries excavated the modern history reflecting local specialty and helped to cultivate the local identities of students. This study could prove the possibilities of witness commentaries to be meaningful mode of teaching in achieving the objectives of history learning.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ing methods using witness commentaries in teaching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and to verify usefulness of using this material in the history class. At first,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witness commentari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ing methods using witness commentaries in teaching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and to verify usefulness of using this material in the history class. At first,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witness commentaries were clarified and teaching element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history class were suggested.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witness commentaries in the light of teaching material was attempted to be 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m in the history class.
      Following evidences were used in the history clas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oral testimony, trial records, protocol of a suspect-examination, statement of appeal, interview with media. As for the learning elements, local historical background of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subjects and characters of the movement, and inner state of demonstrators were set up.
      Witness commentaries as one of the historical material used to grasp the historical events tend to be subjective. In addition, because of the emotional elements within them, carefu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when analyzing thoughts and intention of the witness.
      In the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the application procedure of witness commentaries synthesizing the Quellenkritik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of history was presented in this study. In the clas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effectiveness of witness commentaries in teaching the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could be verified.
      This material seems to be useful in the respect of providing students with the circumstance of at that time vividly and specifically. The specific description by witnesses of atmosphere of the city of the time, the confrontation situation between demonstrators and police, the scene unreleased in the media, and arrest and torture experienced by some demonstrators helped students to feel as if they were in the historical moments of the time. The fact that the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was democratic movements by people against 'Yushin regime'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Although at that time the reports of the media and announcement of government said that the movement was riot provoked by impure elements, evidences that the Pusan-Masan democratic movement was a prodemocratic movement initiated by common people could be found in this study. This history class applying witness commentaries seems to enable students to recognize themselves as a historical being by identifying their feeling with that of witnesses and having empathy for the witnesses. This application seems to be effective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the students and witnesses in that the students are the contemporaries of the witnesses. In addition, name of the place, dialects etc. helped students to feel familiarity and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local people about the movement. Also, interviews of witnesses who showed affection toward the local communities seem to help students cultivate the local identity.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history class of Pusan-Masan democratic uprising using witness commentaries excavated the modern history reflecting local specialty and helped to cultivate the local identities of students. This study could prove the possibilities of witness commentaries to be meaningful mode of teaching in achieving the objectives of history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부·마 항쟁과 같이 자료가 부족하거나 왜곡된 역사적 사건을 다룰 경우 증언 자료가 어떤 유용함이 있는지 검토해보고자하였다. 역사적 증언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고, 부·마 항쟁 수업에서 학습할 수 있는 요소들이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통해 증언 자료의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부·마 항쟁 수업에서는 참여자들의 구술증언, 재판상의 공판조서 및 피의자 조서, 항소이유서, 언론 인터뷰 등을 증언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습 요소로는 부·마 항쟁의 지방사적 배경, 부· 마 항쟁의 주체와 성격, 부·마 항쟁 참여자들의 내면’을 설정하였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증언 자료는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는 하나의 사료로 주관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인간의 감정이 드러나며 구체적이고 생생한 목소리로 사건을 전달하기 때문에 행위자의 생각과 의도를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사료비판과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의 과정을 종합한증언 자료 활용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 절차에 따라 실연된 부·마 항쟁 수업에서 증언 자료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증언 자료는 부·마 항쟁 당시 상황을 학습자들에게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부·마항쟁 당시의 마산의 분위기, 시위대와 경찰들의 대치 모습, 언론보도에 나타나지 않은 시위 장면, 참여자 일부가 겪은 체포와 고문 등의 증언은 학습자가 실제 사건의 현장에 있는 효과를 주었다.
      증언 자료는 부·마 항쟁이 민중들에 의한 유신체제에 저항한 민주화 운동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당시의 언론보도와 정부 발표에는 부·마 항쟁을 불순분자들의 소요사태로간주하고 있었지만, 참여자들은 부·마 항쟁이 일반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었다고 증언하고 있었다. 증언 자료를 활용한 역사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부·마 항쟁 증언자들의 감정을 자신의 감정으로 끌고 와서 역사적 존재로서의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부·마 항쟁 참여자들이 우리 지역의인물이며, 현재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살아간다는 점이 학습자와 역사적 인물과의 거리를 좁히는데 효과적이었다. 부·마 항쟁 증언 자료에는 지방색이 드러나는 인물, 지명, 사투리 등이 드러나기 때문에 친숙함을 느낌과 동시에 지방민들의 시각을 접할 수 있다. 지역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고스란히 표현되는 내용에서 자연스럽게 지역정체성을 함양하는 기회를 만들 수 있었다.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은 지방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현대사를 발굴하게 하였고, 지역정체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증언자료 활용이 유의미한 작업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부·마 항쟁과 같이 자료가 부족하거나 왜곡된 역사적 사건을 다룰 경우 증언 자료가 어떤 유용함이 있는지 검토해보고...

      본고에서는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부·마 항쟁과 같이 자료가 부족하거나 왜곡된 역사적 사건을 다룰 경우 증언 자료가 어떤 유용함이 있는지 검토해보고자하였다. 역사적 증언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고, 부·마 항쟁 수업에서 학습할 수 있는 요소들이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통해 증언 자료의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부·마 항쟁 수업에서는 참여자들의 구술증언, 재판상의 공판조서 및 피의자 조서, 항소이유서, 언론 인터뷰 등을 증언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습 요소로는 부·마 항쟁의 지방사적 배경, 부· 마 항쟁의 주체와 성격, 부·마 항쟁 참여자들의 내면’을 설정하였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증언 자료는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는 하나의 사료로 주관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인간의 감정이 드러나며 구체적이고 생생한 목소리로 사건을 전달하기 때문에 행위자의 생각과 의도를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사료비판과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의 과정을 종합한증언 자료 활용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 절차에 따라 실연된 부·마 항쟁 수업에서 증언 자료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증언 자료는 부·마 항쟁 당시 상황을 학습자들에게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부·마항쟁 당시의 마산의 분위기, 시위대와 경찰들의 대치 모습, 언론보도에 나타나지 않은 시위 장면, 참여자 일부가 겪은 체포와 고문 등의 증언은 학습자가 실제 사건의 현장에 있는 효과를 주었다.
      증언 자료는 부·마 항쟁이 민중들에 의한 유신체제에 저항한 민주화 운동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당시의 언론보도와 정부 발표에는 부·마 항쟁을 불순분자들의 소요사태로간주하고 있었지만, 참여자들은 부·마 항쟁이 일반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었다고 증언하고 있었다. 증언 자료를 활용한 역사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부·마 항쟁 증언자들의 감정을 자신의 감정으로 끌고 와서 역사적 존재로서의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부·마 항쟁 참여자들이 우리 지역의인물이며, 현재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살아간다는 점이 학습자와 역사적 인물과의 거리를 좁히는데 효과적이었다. 부·마 항쟁 증언 자료에는 지방색이 드러나는 인물, 지명, 사투리 등이 드러나기 때문에 친숙함을 느낌과 동시에 지방민들의 시각을 접할 수 있다. 지역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고스란히 표현되는 내용에서 자연스럽게 지역정체성을 함양하는 기회를 만들 수 있었다.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 항쟁 수업은 지방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현대사를 발굴하게 하였고, 지역정체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증언자료 활용이 유의미한 작업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희, "향토사교육의 현황" 5 : 2002

      2 손호철, "해방60년의 한국정치 1945~2005" 이매진 2006

      3 서중석,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7

      4 한철호, "한국사" (주)미래엔 2013

      5 지수걸, "한국 근현대 향토사를 활용한 '사회과 통합교육’ 구현 방안" 8 : 2004

      6 권오현, "지역의 구체적 사례를 활용한 역사 수업 만들기의 연구 -대구 지역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지역사 수업안-"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1) : 185-211, 2004

      7 박찬승, "지방사연구입문" 민속원 2008

      8 이영호, "지방사에서 지역사로 -인천을 사례로 하여-" 한국학연구소 (23) : 295-325, 2010

      9 辛珠柏, "지방사 연구방법, 실제, 역사교육 -광주·전남지방의 민족운동사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28) : 143-180, 2004

      10 유철인, "지방사 연구 입문" 민속원 2008

      1 이병희, "향토사교육의 현황" 5 : 2002

      2 손호철, "해방60년의 한국정치 1945~2005" 이매진 2006

      3 서중석,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7

      4 한철호, "한국사" (주)미래엔 2013

      5 지수걸, "한국 근현대 향토사를 활용한 '사회과 통합교육’ 구현 방안" 8 : 2004

      6 권오현, "지역의 구체적 사례를 활용한 역사 수업 만들기의 연구 -대구 지역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지역사 수업안-"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1) : 185-211, 2004

      7 박찬승, "지방사연구입문" 민속원 2008

      8 이영호, "지방사에서 지역사로 -인천을 사례로 하여-" 한국학연구소 (23) : 295-325, 2010

      9 辛珠柏, "지방사 연구방법, 실제, 역사교육 -광주·전남지방의 민족운동사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28) : 143-180, 2004

      10 유철인, "지방사 연구 입문" 민속원 2008

      11 "정성기 구술증언 2014.8.7. 경남대학교 정성기 교수 연구실에서 녹취함"

      12 임현진, "전환기 한국의 정치와사회" 집문당 2005

      13 "옥정애, 최갑순 구술증언 2014.8.9.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사무실에서 동시 녹취함"

      14 이용기,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본 구술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역사연구회 (71) : 291-319, 2009

      15 고영진, "역사교과서와 지방사 서술" 호남사학회 19 : 585-606, 2002

      16 오수창, "시론: 2011 역사 교육과정과 '자유민주주의'의 현실" 한국역사연구회 (81) : 3-15, 2011

      17 양길현, "사건으로 보는 한국의 정치변동" 살림 2004

      18 정유경, "부산지역의 부마항쟁에 관한 고찰 ―지역사회운동의 관점에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9) : 291-326, 2011

      19 김선미, "부산지역 4 · 19민주항쟁의 주도세력" 역사문화학회 13 (13): 325-357, 2010

      20 김원, "부마항쟁과 도시하층민: ‘대중독재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419-454, 2006

      21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증언집 마산편" 불휘 2011

      22 부마민주항쟁 기념사업회 학술분과, "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자료집" 부마민주항 쟁기념사업회 1989

      23 차성환, "부·마 항쟁과 지역 노동자 대중" 17 : 2010

      24 정성기, "박정희 체제하 한국 산업화·민주화의 문화적 성격 연구 :마산·창원지역 산업화와 부마항쟁-이슬람혁명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5 : 143-192, 2010

      25 "박영주 구술증언 2014.8.8.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 회 사무실에서 녹취함"

      26 신광영,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노동운동: 한국의 사례" 사회과학연구원 50 (50): 37-70, 2011

      27 역사교육연구소, "민주주의를 지키는 역사교육을 위하여" (창간) : 2009

      28 문지영, "김재준과 1960~70년대 민주화운동의 정치사상" 한국정치사상학회 16 (16): 21-46, 2010

      29 육군고등군법회의, "군법회의 재판기록 부마사건 1-7"

      30 김한종, "교육의 지역화와지방사 교육의 방향" 10 : 2009

      31 김환수, "교사의 역사 인식과 새로운 역사 체계의 생성" 한국역사교육학회 (1) : 153-199, 2005

      32 강화정, "고등학생의 한국 현대사 인식과 역사수업 방안 - 1960,70년대 한국 현대사 수업 사례 -" 효원사학회 35 : 127-170, 2009

      33 김한종,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의 원리와 학습방안" 7 : 2001

      34 조정관, "“한국 민주화에 있어서 부마항쟁의 역할”" 21세기정치학회 19 (19): 73-98, 2009

      35 유기홍, "1980년대의 민족민주운동" 20 : 1984

      36 이은진, "1979년의 부마민주항쟁 -육군고등군법회의 자료를 중심으로-" 불휘 2008

      37 이은진, "1979년 마산의 부마민주항쟁: 육군고등군법회의 자료를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8

      38 박태일, "1960년 경자마산의거가 당대시에 들앉은 모습" 현대문학이론학회 (31) : 75-115, 2007

      39 장동표, "1960년 3.4월 마산항쟁의 역사적 재조명" 7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