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소형 공공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50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및 1~2인가구 증가에 따른 급격한 인구·사회구조 변화 및 가구분화 현상에 따라 주택시장이 중·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에도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것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아파트는 현재 우리나라 주택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 유형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아파트 계획사에 중요한 변곡점이었던 발코니 확장 합법화에 대한 영향 분석으로, 기존에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지만 현재, 주택시장의 중심에 있는 중·소형 공공아파트를 대상으로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2006년부터 시행된 발코니 확장 합법화는 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흘렀으나 제도 시행의 영향으로, 중·대형 규모 아파트에서 실제 사용하는 전용면적이 대폭증대 되었다는 것 이외에 면적변화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형 규모의 아파트에 대한 발코니 확장 합법화의 영향을 분석코자 하였으며, 그에 따라 발코니 확장 합법화 전·후의 전용면적 20~84㎡의 77종 평면의 각 24개 공간 면적분석을 하였고, 면적분석 결과의 상호체크 및 검증을 위해 전용면적별, 년도별, 시기별, 중·소형 규모별 분석과 증감율을 검토 및 종합하여 결과의 방향성 도출에 객관성 및 신뢰도를 담보코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중·소형 공공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형규모인 전용면적 60㎡초과~85㎡와 소형규모인 전용면적 60㎡이하 간의 면적 불균형이 더욱 심화 되었다. 초소형 규모라 할 수 있는 전용면적 20㎡~39㎡에서는 아예 발코니 확장이 일어나지 않아 실생활 면적 증가가 없었으며, 그 외 40㎡~59㎡의 소형규모에서는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8.51㎡의 실생활 면적 증가가 있었으나, 전용면적 60㎡초과~85㎡인 중형규모에서는 실생활 면적이 21.80㎡가 증가하여 중형규모가 소형규모의 2.6배가 넘는 실생활 면적을 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중·소형 규모간 실생활 면적의 불균형은 더욱 심화되었다.
      둘째, 발코니 공간이 대부분 소멸되었다. 세탁·건조 기능의 주침실 전면 발코니와 주로 대피공간과 연계된 창고기능의 주방/식당 발코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발코니는 전용공간으로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셋째, 단위세대내 거실, 주방/식당과 같은 공동생활 영역의 면적증가 현상이 뚜렷하였다. 발코니 확장으로 거실은 5.78㎡, 주방/식당은 3.99㎡ 면적이 증가 하였으며, 단위세대 공간중 두 공간이 제일 많은 면적증가가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이것의 의미는 공동생활 영역을 중시하는 LDK 공간구성 방식의 대중화로 인하여,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생긴 여유면적을 주로 거실 및 주방/식당 등에 배분하였기 때문이였다.
      넷째, 단위세대 공간의 위계 변화가 나타났다.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주방/식당 공간이 주침실 공간을 제치고 거실 다음의 큰 공간으로 변모하였다.그 이유는 앞서 언급했듯이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거실 및 주방/식당 공간이 공동생활 영역의 중심이되는 LDK 공간구성 방식의 대중화에 기인한 것 이었고, 침실3 공간도 침실2 공간보다 면적우위를 차지하며 두 공간의 물리적 경계가 허물어졌는데, 이것은 모든 침실을 전면으로 배치하는 전면배치 방식의 확산으로 두 공간의 위계가 대등해졌다. 더불어 드레스룸도 큰 면적증가가 이루어져, 발코니 확장전 단위세대내 제일 작은 규모의 부속공간 이였으나, 발코니 확장후 욕실 및 현관공간보다 더 큰 공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것은 1~2인가구 증가 및 평균가구원수 감소에따라 조그마한 개실을 늘리는 것 보다는 수납공간을 확충하고자하는 드레스룸의 대형화 및 소형규모에도 적용되는 등의 일반화 현상에 기인한 것이었다.
      다섯째, 수납공간의 면적이 대부분 증가하였다. 욕실수납을 제외한 모든 수납공간의 면적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발코니가 담당하였던 수납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수납공간 중에서도 주방/식당 수납이 1.34㎡ 증가하여 제일 큰 면적증가를 나타냈으며, 드레스룸 수납이 1.01㎡ 증가하여 그 뒤를 이었다. 이것은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맞추어진 공동생활 영역의 중심화 및 드레스룸의 대형화·일반화 현상의 결과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발코니 확장 합법화 전·후의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의 결과가 현재 진행중인 급격한 인구·사회구조 및 주택시장의 변화에 맞추어 중·소형 아파트 단위계획 방향 설정시 의미있는 자료로서 제 역할을 다 할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
      번역하기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및 1~2인가구 증가에 따른 급격한 인구·사회구조 변화 및 가구분화 현상에 따라 주택시장이 중·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에도 ...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및 1~2인가구 증가에 따른 급격한 인구·사회구조 변화 및 가구분화 현상에 따라 주택시장이 중·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에도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것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아파트는 현재 우리나라 주택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 유형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아파트 계획사에 중요한 변곡점이었던 발코니 확장 합법화에 대한 영향 분석으로, 기존에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지만 현재, 주택시장의 중심에 있는 중·소형 공공아파트를 대상으로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2006년부터 시행된 발코니 확장 합법화는 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흘렀으나 제도 시행의 영향으로, 중·대형 규모 아파트에서 실제 사용하는 전용면적이 대폭증대 되었다는 것 이외에 면적변화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형 규모의 아파트에 대한 발코니 확장 합법화의 영향을 분석코자 하였으며, 그에 따라 발코니 확장 합법화 전·후의 전용면적 20~84㎡의 77종 평면의 각 24개 공간 면적분석을 하였고, 면적분석 결과의 상호체크 및 검증을 위해 전용면적별, 년도별, 시기별, 중·소형 규모별 분석과 증감율을 검토 및 종합하여 결과의 방향성 도출에 객관성 및 신뢰도를 담보코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중·소형 공공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형규모인 전용면적 60㎡초과~85㎡와 소형규모인 전용면적 60㎡이하 간의 면적 불균형이 더욱 심화 되었다. 초소형 규모라 할 수 있는 전용면적 20㎡~39㎡에서는 아예 발코니 확장이 일어나지 않아 실생활 면적 증가가 없었으며, 그 외 40㎡~59㎡의 소형규모에서는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8.51㎡의 실생활 면적 증가가 있었으나, 전용면적 60㎡초과~85㎡인 중형규모에서는 실생활 면적이 21.80㎡가 증가하여 중형규모가 소형규모의 2.6배가 넘는 실생활 면적을 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중·소형 규모간 실생활 면적의 불균형은 더욱 심화되었다.
      둘째, 발코니 공간이 대부분 소멸되었다. 세탁·건조 기능의 주침실 전면 발코니와 주로 대피공간과 연계된 창고기능의 주방/식당 발코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발코니는 전용공간으로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셋째, 단위세대내 거실, 주방/식당과 같은 공동생활 영역의 면적증가 현상이 뚜렷하였다. 발코니 확장으로 거실은 5.78㎡, 주방/식당은 3.99㎡ 면적이 증가 하였으며, 단위세대 공간중 두 공간이 제일 많은 면적증가가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이것의 의미는 공동생활 영역을 중시하는 LDK 공간구성 방식의 대중화로 인하여,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생긴 여유면적을 주로 거실 및 주방/식당 등에 배분하였기 때문이였다.
      넷째, 단위세대 공간의 위계 변화가 나타났다.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주방/식당 공간이 주침실 공간을 제치고 거실 다음의 큰 공간으로 변모하였다.그 이유는 앞서 언급했듯이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거실 및 주방/식당 공간이 공동생활 영역의 중심이되는 LDK 공간구성 방식의 대중화에 기인한 것 이었고, 침실3 공간도 침실2 공간보다 면적우위를 차지하며 두 공간의 물리적 경계가 허물어졌는데, 이것은 모든 침실을 전면으로 배치하는 전면배치 방식의 확산으로 두 공간의 위계가 대등해졌다. 더불어 드레스룸도 큰 면적증가가 이루어져, 발코니 확장전 단위세대내 제일 작은 규모의 부속공간 이였으나, 발코니 확장후 욕실 및 현관공간보다 더 큰 공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것은 1~2인가구 증가 및 평균가구원수 감소에따라 조그마한 개실을 늘리는 것 보다는 수납공간을 확충하고자하는 드레스룸의 대형화 및 소형규모에도 적용되는 등의 일반화 현상에 기인한 것이었다.
      다섯째, 수납공간의 면적이 대부분 증가하였다. 욕실수납을 제외한 모든 수납공간의 면적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발코니가 담당하였던 수납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수납공간 중에서도 주방/식당 수납이 1.34㎡ 증가하여 제일 큰 면적증가를 나타냈으며, 드레스룸 수납이 1.01㎡ 증가하여 그 뒤를 이었다. 이것은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맞추어진 공동생활 영역의 중심화 및 드레스룸의 대형화·일반화 현상의 결과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발코니 확장 합법화 전·후의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의 결과가 현재 진행중인 급격한 인구·사회구조 및 주택시장의 변화에 맞추어 중·소형 아파트 단위계획 방향 설정시 의미있는 자료로서 제 역할을 다 할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radical population and society changes and family differentiation phenomenon because of low birth rate, aging society, and growth of 1~2 person households, current condition in Korea has been revised into a new housing market that focus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and it could be predicted that needs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would be being increased. It means that it is time to research in-depth studies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than any other time. Also, apartment is a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housing that accounts for about 60%. Depending on these reasons, as an impact analysis on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that was an important inflection point of apartment planning,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unit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balcony extension,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that has not been researched until now but becomes the center of housing market.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enforced in 2006, has been operated for 10 years, but rarely there are in-depth studies on area changes except that the exclusive area, actually used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was increased hugely due to the system’s enforcem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so this study conducted area analysis for each 24 spaces of 77 flat types of 20~84㎡ exclusive area before and after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In order to operate mutual check and verification of results from the area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secure objectivity and credibility to deduce direction of the results by reviewing and synthesizing analysis and a percentage change about each exclusive area’s size, each year, each season, and each small size and medium size.
      As researches of the results, characteristics of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balcony extension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are as same as follows.
      First, area imbalance became more serious between medium-sized exclusive area from over 60㎡ to 85㎡ and small-sized exclusive area under 60㎡. In a very small-sized exclusive area from 20㎡ to 39㎡, balcony extension did not happen at all, so real area did not be increased. Actual area of other small-sized housing from 40㎡ to 59㎡ was increased up to 8.51㎡ due to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but actual area of medium-sized housing from over 60㎡ to 85㎡ was increased up to 21.80㎡, so that the medium-sized housing has over 2.6 times larger actual area than the small-sized housing. In conclusion the area imbalance between small and medium-sized housing becomes more severe.
      Second, balcony area mostly disappeared. Most of balcony is incorporated into exclusive area except for a balcony in front of a main bedroom in charge of laundry and dry and for a kitchen/dining room balcony related to emergency shelter in charge of storage.
      Third, community living area such as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in the housing unit was increased distinctly. From the balcony extension, living room area becomes bigger as 5.78㎡ and kitchen/dining room area becomes bigger as 3.99㎡, and the two are the most increased areas among the areas of unit housing. It is because, due to a popularized LDK space configuration method, which considers community living areas as important, extra areas that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could produce were distributed into mainly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Fourth, hierarchical changes in housing unit areas happened.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kitchen/dining room became the second largest area following living room to surpass a main bedroom. It is because, as it mentioned, LDK space configuration method that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are center of community living areas became popular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and area of bedroom 3 took the larger area than bedroom 2, so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two spaces disappeared. It drove a front placement method that every bedroom is arranged in front of a house, so the two spaces have equal hierarchy. In addition, area of a dress room was increased hugely, so that it had been the smallest appendix space in a housing unit but after balcony extension the room became the larger space than a bathroom or entrance space. According to increasing 1~2 person households and decreasing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t depended on a general phenomenon that a dress room becomes bigger to expand storage space and it is applied into a small-sized housing rather than expanding each small room.
      Fifth, most of storage space has been increased. Except for bathroom’s storage space, every storage space is increased. It means that this phenomenon is a kind of effort to compensate storage function, which balcony was responsible for in the past. Among storage spaces, storage space in kitchen/dining room was increased as 1.34㎡ so that it is the biggest increase, and a dress room was increased as 1.01㎡ as following it. This would be a result from centralized community living area and enlargement and generalization phenomenon of a dress room, fitting to the changing lifestyle.
      This study expects that derived results in this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unit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would be a role of significant data by fitting ongoing radical changes of population and social structure and housing market when planning a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housing unit.
      번역하기

      According to radical population and society changes and family differentiation phenomenon because of low birth rate, aging society, and growth of 1~2 person households, current condition in Korea has been revised into a new housing market that focus...

      According to radical population and society changes and family differentiation phenomenon because of low birth rate, aging society, and growth of 1~2 person households, current condition in Korea has been revised into a new housing market that focus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and it could be predicted that needs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would be being increased. It means that it is time to research in-depth studies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than any other time. Also, apartment is a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housing that accounts for about 60%. Depending on these reasons, as an impact analysis on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that was an important inflection point of apartment planning,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unit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balcony extension,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that has not been researched until now but becomes the center of housing market.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enforced in 2006, has been operated for 10 years, but rarely there are in-depth studies on area changes except that the exclusive area, actually used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was increased hugely due to the system’s enforcem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so this study conducted area analysis for each 24 spaces of 77 flat types of 20~84㎡ exclusive area before and after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In order to operate mutual check and verification of results from the area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secure objectivity and credibility to deduce direction of the results by reviewing and synthesizing analysis and a percentage change about each exclusive area’s size, each year, each season, and each small size and medium size.
      As researches of the results, characteristics of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balcony extension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are as same as follows.
      First, area imbalance became more serious between medium-sized exclusive area from over 60㎡ to 85㎡ and small-sized exclusive area under 60㎡. In a very small-sized exclusive area from 20㎡ to 39㎡, balcony extension did not happen at all, so real area did not be increased. Actual area of other small-sized housing from 40㎡ to 59㎡ was increased up to 8.51㎡ due to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but actual area of medium-sized housing from over 60㎡ to 85㎡ was increased up to 21.80㎡, so that the medium-sized housing has over 2.6 times larger actual area than the small-sized housing. In conclusion the area imbalance between small and medium-sized housing becomes more severe.
      Second, balcony area mostly disappeared. Most of balcony is incorporated into exclusive area except for a balcony in front of a main bedroom in charge of laundry and dry and for a kitchen/dining room balcony related to emergency shelter in charge of storage.
      Third, community living area such as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in the housing unit was increased distinctly. From the balcony extension, living room area becomes bigger as 5.78㎡ and kitchen/dining room area becomes bigger as 3.99㎡, and the two are the most increased areas among the areas of unit housing. It is because, due to a popularized LDK space configuration method, which considers community living areas as important, extra areas that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could produce were distributed into mainly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Fourth, hierarchical changes in housing unit areas happened.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kitchen/dining room became the second largest area following living room to surpass a main bedroom. It is because, as it mentioned, LDK space configuration method that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are center of community living areas became popular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and area of bedroom 3 took the larger area than bedroom 2, so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two spaces disappeared. It drove a front placement method that every bedroom is arranged in front of a house, so the two spaces have equal hierarchy. In addition, area of a dress room was increased hugely, so that it had been the smallest appendix space in a housing unit but after balcony extension the room became the larger space than a bathroom or entrance space. According to increasing 1~2 person households and decreasing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t depended on a general phenomenon that a dress room becomes bigger to expand storage space and it is applied into a small-sized housing rather than expanding each small room.
      Fifth, most of storage space has been increased. Except for bathroom’s storage space, every storage space is increased. It means that this phenomenon is a kind of effort to compensate storage function, which balcony was responsible for in the past. Among storage spaces, storage space in kitchen/dining room was increased as 1.34㎡ so that it is the biggest increase, and a dress room was increased as 1.01㎡ as following it. This would be a result from centralized community living area and enlargement and generalization phenomenon of a dress room, fitting to the changing lifestyle.
      This study expects that derived results in this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unit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would be a role of significant data by fitting ongoing radical changes of population and social structure and housing market when planning a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housing uni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