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과서 발행체제와 활용 실태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30881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1.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Policies and Practices in Textbook Publication

      • 형태사항

        viii, 165 p. : 삽화, 표 ; 30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수정
        참고문헌 : p.146-152

      • UCI식별코드

        I804:11017-000000195419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과서 발행제도(국정제, 검정제, 인정제, 자유발행제)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각 발행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현장교사 및 교과서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 전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문항별 응답에 대해 기본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교사의 배경 변인별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교차분석(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일부 문항에는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실시하여 집단별로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의 설문조사는 2018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고등학교 교사 592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의 결과를 참고하여 비교하는 데 활용하였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해 한국의 초, 중등 교사 13명과 미국의 중등 교사 및 교과서 관계자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 발행제도의 주요한 차이는 심의 여부와 채택 주체, 공급 방식에 있었다. 심의절차가 있는 국·검·인정제와 해당 절차가 없는 자유발행제로 구분되었고, ‘보통’의미의 자유발행제는 개별학교 단위에서 위원회나 학교 재량에 따라 교과서를 선정하며,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는 개별교사들이 자유롭게 시장에서 교과서 및 교재를 선정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교과서 선정에 대한 교사의 재량권은 국정제, 검·인정제에 비해 자유발행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에서 교사의 재량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 공급 방식과 관련하여 개별 학생들의 직접 구매방식은 자유발행제 하에서만 나타났다. 교과서 발행제도 이외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는 학교 유형, 학교 소재지, 담당 과목, 교과서 관련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 ‘보통’의미의 자유발행제, 인정제, 국·검정제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족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대체로 현행 발행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인정제를 하의 교사들은 검·인정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자유발행제 하의 교사들의 경우 검·인정제를 선호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 발행에 대한 국가, 시·도 교육청, 주·교육구의 개입 필요성에 대해 국·검·인정제 하의 교사들은 국가, 시·도 교육청, 주·교육구의 일부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인 반면, 자유발행제 하의 교사들은 최소한의 개입만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를 적용하는 교사들의 경우 개입이 필요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교과서 발행제도 이외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학교 유형, 담당 과목, 교과서 관련 경험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교과서 선정에 대한 재량권, 담당 교과목, 학교급, 업무부담, 입시 등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미국의 교육제도 및 환경,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합리적인 개선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의 실질적인 의견과 반응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국제비교의 결과는 우리나라와 타국 간의 교육제도와 환경, 사회·문화적 배경, 기타 배경 변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사점을 얻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과서 발행제도(국정제, 검정제, 인정제, 자유발행제)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

      본 연구는 교과서 발행제도(국정제, 검정제, 인정제, 자유발행제)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각 발행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현장교사 및 교과서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 전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문항별 응답에 대해 기본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교사의 배경 변인별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교차분석(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일부 문항에는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실시하여 집단별로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의 설문조사는 2018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고등학교 교사 592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의 결과를 참고하여 비교하는 데 활용하였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해 한국의 초, 중등 교사 13명과 미국의 중등 교사 및 교과서 관계자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 발행제도의 주요한 차이는 심의 여부와 채택 주체, 공급 방식에 있었다. 심의절차가 있는 국·검·인정제와 해당 절차가 없는 자유발행제로 구분되었고, ‘보통’의미의 자유발행제는 개별학교 단위에서 위원회나 학교 재량에 따라 교과서를 선정하며,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는 개별교사들이 자유롭게 시장에서 교과서 및 교재를 선정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교과서 선정에 대한 교사의 재량권은 국정제, 검·인정제에 비해 자유발행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에서 교사의 재량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 공급 방식과 관련하여 개별 학생들의 직접 구매방식은 자유발행제 하에서만 나타났다. 교과서 발행제도 이외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는 학교 유형, 학교 소재지, 담당 과목, 교과서 관련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 ‘보통’의미의 자유발행제, 인정제, 국·검정제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족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대체로 현행 발행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인정제를 하의 교사들은 검·인정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자유발행제 하의 교사들의 경우 검·인정제를 선호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 발행에 대한 국가, 시·도 교육청, 주·교육구의 개입 필요성에 대해 국·검·인정제 하의 교사들은 국가, 시·도 교육청, 주·교육구의 일부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인 반면, 자유발행제 하의 교사들은 최소한의 개입만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를 적용하는 교사들의 경우 개입이 필요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교과서 발행제도 이외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학교 유형, 담당 과목, 교과서 관련 경험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교과서 선정에 대한 재량권, 담당 교과목, 학교급, 업무부담, 입시 등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미국의 교육제도 및 환경,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합리적인 개선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의 실질적인 의견과 반응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국제비교의 결과는 우리나라와 타국 간의 교육제도와 환경, 사회·문화적 배경, 기타 배경 변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사점을 얻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es and satisfaction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and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and to examine the impact factors from surveys conducted among teachers and textbook experts.
      A survey is conducted among 123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under different policies by states or by schools, across the United States to understand the practices and the satisfactions of corresponding policies. Then the result of the survey is compared with the data collected on the 'Perception on the policies in the textbook publication' among 592 Korean high school teachers,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2018. The primary fundamental frequency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n the cross-analysis (x2 test) i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For some selected questions, the one way ANOVA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by groups.
      Additionally, the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13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15 American secondary teachers and textbook experts to explore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es and satisfaction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This paper discusses the consequences and satisfaction of practicing various textbook policies. Then we address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between practice and satisfaction.
      The textbook polic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requires government approval procedures, including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policy, and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and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which does not require the government approval procedure.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consists of two meaning types: 'median' meaning and 'strong' meaning. Under the 'median' meaning, the school committee has the authority to choose textbooks at the school level. Individual teachers have the authority to choose their textbooks under the 'strong' meaning. As a consequence, teachers have more discretion power under the 'strong' meaning over the 'median' meaning. Meanwhile, the direct textbook purchase behavior of individual students is observed only under the freely-published policy practice.
      The 'strong' meaning type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is the most satisfactory policy among all others follow by the 'median' meaning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uthorized and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ies. Most of the teachers tend to prefer the current system apart from their satisfaction. Teachers under the government-approved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policy responded positively about their current policy and some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in textbook publication. In contrast, teachers under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responded oppositely with little government involvement. Notably, the teachers under the 'strong' meaning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system express no need for government intervention in any form.
      Moreover, we obtain a significant result of differences in practices and satisfaction for teacher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 school types, subjects, school location and their experience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in practices and satisfaction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are teacher's discretion power on the textbook selection, teaching subjects, school level, work burden, entrance examination and others. Th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S are also the crucial impact factor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consensus of teachers in response to the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and their suggestions to improve the outcome. Furthermore,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must account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all other background variables to bring to an agre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es and satisfaction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and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es and satisfaction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and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and to examine the impact factors from surveys conducted among teachers and textbook experts.
      A survey is conducted among 123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under different policies by states or by schools, across the United States to understand the practices and the satisfactions of corresponding policies. Then the result of the survey is compared with the data collected on the 'Perception on the policies in the textbook publication' among 592 Korean high school teachers,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2018. The primary fundamental frequency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n the cross-analysis (x2 test) i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For some selected questions, the one way ANOVA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by groups.
      Additionally, the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13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15 American secondary teachers and textbook experts to explore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es and satisfaction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This paper discusses the consequences and satisfaction of practicing various textbook policies. Then we address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between practice and satisfaction.
      The textbook polic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requires government approval procedures, including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policy, and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and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which does not require the government approval procedure.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consists of two meaning types: 'median' meaning and 'strong' meaning. Under the 'median' meaning, the school committee has the authority to choose textbooks at the school level. Individual teachers have the authority to choose their textbooks under the 'strong' meaning. As a consequence, teachers have more discretion power under the 'strong' meaning over the 'median' meaning. Meanwhile, the direct textbook purchase behavior of individual students is observed only under the freely-published policy practice.
      The 'strong' meaning type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is the most satisfactory policy among all others follow by the 'median' meaning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uthorized and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ies. Most of the teachers tend to prefer the current system apart from their satisfaction. Teachers under the government-approved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policy responded positively about their current policy and some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in textbook publication. In contrast, teachers under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responded oppositely with little government involvement. Notably, the teachers under the 'strong' meaning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system express no need for government intervention in any form.
      Moreover, we obtain a significant result of differences in practices and satisfaction for teacher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 school types, subjects, school location and their experience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in practices and satisfaction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are teacher's discretion power on the textbook selection, teaching subjects, school level, work burden, entrance examination and others. Th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S are also the crucial impact factor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consensus of teachers in response to the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and their suggestions to improve the outcome. Furthermore,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must account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all other background variables to bring to an agre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의 제한점 5
      • 4. 용어의 정의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의 제한점 5
      • 4. 용어의 정의 5
      • II. 이론적 배경 8
      • 1. 교과서 발행제도의 구성요소와 유형 8
      • 2. 교과서 발행제도의 국내·외 역사적 변천과 현황 13
      • 3. 선행연구 분석 30
      • 3.1 교과서 발행제도의 특징 비교 30
      • 3.2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비교연구의 한계 40
      • 4.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 43
      • III. 연구방법 46
      • 1. 양적 연구 47
      • 1.1 활용 실태와 만족도에 대한 교사대상 설문조사 47
      • 1.2 설문조사 대상 48
      • 1.3 연구도구 50
      • 1.4 분석방법 53
      • 2. 질적 연구 53
      • 2.1 영향요인 탐구를 위한 심층면담 53
      • 2.2 면담조사 대상 54
      • 2.3 자료의 수집 58
      • 2.4 분석방법 60
      • Ⅳ. 연구결과 61
      • 1.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 비교 61
      • 2.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 비교 92
      • 3.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105
      • Ⅴ. 결론 138
      • 1. 연구의 요약 138
      • 2. 논의 및 시사점 142
      • 참고문헌 146
      • 부 록 153
      • Abstract 16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2 홍후조, "알기 쉬운 교육과정", 서울:학지사, 2017

      3 임영석, "캐나다 중등교육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173-190, 2018

      4 곽병선, 이혜영, "교과서와 교과서 정책",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PR 86-6, 1986

      5 권유진, 장근주, 서지영, 김정효, 김정호, 김덕근, "교과서 정책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RRO 2011-1, 2011

      6 이범주, "‘좋은 교과서’의 조건", 교과서연구, 29, 7-10, 1997

      7 김혜숙, 최미숙, 차조일, 이영아, 서지영, "교과서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2-4, 2012

      8 이용재, "유럽의 교과서 발행 제도", 내일을 여는 역사, 35, 82-92, 2009

      9 곽병선, "교과서 문제, 교과서 정책", 한국교육개발원 교과용 도서정책의 개선을 위한 정 책 토론회 자료집, 1-15, 1992

      10 김정호, "교과서의 쟁점과 연구 전략", 교과서연구, 1(1), 3-19, 2007

      1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2 홍후조, "알기 쉬운 교육과정", 서울:학지사, 2017

      3 임영석, "캐나다 중등교육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173-190, 2018

      4 곽병선, 이혜영, "교과서와 교과서 정책",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PR 86-6, 1986

      5 권유진, 장근주, 서지영, 김정효, 김정호, 김덕근, "교과서 정책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RRO 2011-1, 2011

      6 이범주, "‘좋은 교과서’의 조건", 교과서연구, 29, 7-10, 1997

      7 김혜숙, 최미숙, 차조일, 이영아, 서지영, "교과서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2-4, 2012

      8 이용재, "유럽의 교과서 발행 제도", 내일을 여는 역사, 35, 82-92, 2009

      9 곽병선, "교과서 문제, 교과서 정책", 한국교육개발원 교과용 도서정책의 개선을 위한 정 책 토론회 자료집, 1-15, 1992

      10 김정호, "교과서의 쟁점과 연구 전략", 교과서연구, 1(1), 3-19, 2007

      11 이돈희, "좋은 교과서란 어떤 것인가", 교과서연구, 15, 5-13, 1993

      12 김덕근, "교과서 정책 국제 비교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0(1), 257-283, 2012

      13 강태중, 정재정, 윤병희, 우정호, 김안중, 곽병선, "현행 교과서 제도 개선 방안", 한국 교육개발원 연구보고, 1994

      14 김재춘, 김재현,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의미 탐색", 한국교육학회, 31(2), 299-320, 2004

      15 김광민, "교과서 제도와 교육과정의 이상", 초등교육연구, 14(2), 67-88, 2001

      16 교육부, "교과용도서 개발 체제 개선방안", 보도자료(2015.7.30.), 2015

      17 허강, "한국의 교육과정 교과서사 연표", 서울: 일진사, 2010

      18 이상진, "좋은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조건", 교과서연구, 29, 18-21, 1997

      19 김주환, "교과서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20 교육부, "중 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고시", 제2015-78호(2015.11.3.), 2015

      21 김진두, "교과서 구분의 합리적인 설정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41(4). 5-40, 2015

      22 우상원, "교과서 재검정 제도의 의미와 문제점", 교과서연구, 26, 79-83, 1996

      23 김현숙, "미국의 교과서 발행제도와 그 문제점", 내일을 여는 역사, 35, 68-81, 2009

      24 김명정, "사회과 교과서 발행제도의 개선 방안", 사회과교육, 51(4), 211-225, 2012

      25 이인제, "교과서 정책의 집행 시스템 발전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46, 109-162, 2012

      26 박도순, "교과서 심의 채택 제도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01-1, 2001

      27 양미경, "미국의 교과서 정책 및 활용 방식 연구", 비교교육연구, 13(1), 21-41, 2003

      28 김한종, "한국사 교과서 검정 파동의 원인과 과제", 역사와 현실, 92, 21-51, 2014

      29 양철우, "현행 교과서 심사제도 개선에 대한 제언", 교과서연구, 16, 40-41, 1993

      30 남수경, "국정도서 편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28(4), 257-279, 2010

      31 김승훈, "한국 교과서 검정제의 구조 및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28(2), 177-204, 2010

      32 이문학, "교과서 정책 국제 비교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42(2), 111-163, 2016

      33 박창언, "인정교과서 확대정책과 국가 권한의 문제", 열린교육연구, 21(4), 147-169, 2013

      34 송규각, 윤광원, 유학영, "교과용도서 검정과 채택의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 단 연구보고 2009-01, 2009

      35 조난심, "초등학교 교과서의 검정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00

      36 김선은, 홍후조, 이림, 민부자, 김지은, "초등학교 교과용 개발 체제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연구보고 2017-12, 2017

      37 김대영, 홍후조, 하화주, 조호제, 장소영, 민부자, "교과서 개선 및 교과서 제도 개선 정책 제안", 사단법인 한국검정교과서 연구보고 2012-12, 2012

      38 교육부, "초등학교 교과용도서 국 검정도서 구분고시", 제2015-76호(2015.10.21.), 2015

      39 김재춘, 조난심, 이춘식, 박순경, 김진숙, 김정호, "2종 교과용 도서 과목별 적정 합격 종수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40 이근님, 최성욱, 이용숙, 양미경, 박순경, 김영준, "교과서 정책과 내용구성 방식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95-17, 1995

      41 김주환, "국어 교과서 선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국어교육학연구, 42(12), 347-378, 2011

      42 김지현, 홍후조, 조난심, 송현정, "초 중등학교 국정 도서의 검인정화 방안 연구", 한 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04-3, 2004

      43 소경희, 장주경, 이선영,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비교교육연구, 21(2), 51-73, 2011

      44 박소영, 이영아, 서지영, "검 인정 확대 정책에 대한 초 중학교 교사 인식", 열린교육 연구, 21(2), 279-306, 2013

      45 강현숙, 이종원, 백선희, 박창언, 난윤제, "교과용도서 발행체제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17, 2017

      46 김종윤, 이미경, 양윤정, 신호재, 배주경, 김혜숙, "교과서 자유발행제 도입을 위한 국 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T 2018-1, 2018

      47 교육부, "교육부 편수 자료(Ⅰ) - 편수 일반편. 교육부(2018)", 2019년도 검 인정 교과용도서 선정 매뉴얼, 2017

      48 고원석, 정영근, 이정기, 김진규, "외국의 교과용 도서 내용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 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07-4, 2007

      49 조난심, 진재관, "교과용 도서 정책 현안 검토 및 제도화 방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10-03, 2010

      50 김재복, "우리나라 교과서 정책의 효율화 방안에 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6(2), 21-64, 2006

      51 권영락, 이동엽, 박진용, 김정효,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 발전 방 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52 강선주, 정재윤, 이림, 민병곤, 김민정, "유럽 주요국의 교과서 제도 비교 정책 동향 분석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12-02, 2012

      53 김진영, 조난심, 이혜영, 이건재, "교과용도서 국 검 인정 구분 준거 및 절차에 관한 연구", (사)한국검정교과서 연구보고서 2010-2, 2010

      54 이미미, "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 비교교육연구, 24(1). 155-180, 2014

      55 박인옥,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8(2), 91-126, 2005

      56 김만곤, 허경철, 박민정, 김재복, "교육과정 교과서 정책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06-1, 2006

      57 김정욱, "미국 역사교과서 논쟁을 통해 본 교과서 발행제도의 문제", 사총, 84, 225-260, 2015

      58 이춘식, "검인정 교과서의 선정 제도 개선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 구, 18(3), 561-578, 2014

      59 이춘식,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교과 교과서 인정제도의 개선 연구", 한국실과교육학 회지 27(2), 229-243, 2014

      60 강래형, 최혜민, 정희정, 정현일, 김현지, "중학교 미술교사들의 교과서 선정기준과 절 차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7(1), 177-204, 2013

      61 곽병선, 한명희, 이은미, 윤기옥, 문용린, 김재현, 김재춘, 김미숙, "교과서 발행제의 다양 화에 따른 자유발행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04-6, 2004

      62 김수동, 홍후조, 조난심, 김진숙, 김주훈,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2종 교과용 도서 검정 체제 개선 연구",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원, 1999

      63 이림, "자율화의 관점에서 현행 인정교과서 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문화연구, 24(6), 45-64, 2018

      64 김재춘,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부분 수시 개정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교육과정 연구, 21(3), 303-320, 2003

      65 김재춘, "미국의 교과서 인정 제도 분석-캘리포니아 주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2(5), 175-198, 2012

      66 문영주, 추병완, 주형미, 윤현진, "국가 교육과정 개정 체제 변화에 따른 교과서 정책 개 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16, 2010

      67 김만곤, 이경환, 박소영, 박상철, 김재춘,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구분(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 2011

      68 배지현, "교과용도서에 대한 연구-기반 구분고시의 의사결정 특징과 메커니즘 탐색", 교육과정연구, 34(3), 263-286, 2016

      69 권유진, 황수영, 심재호, "미국의 교과서 검정 및 선정 제도 분석 -텍사스주 & 아이오 와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10-60, 2010

      70 김소연, 조덕주, 이용숙, 이근님, 백은순, 김영준, "교수‧학습 자료 활용 실태 및 교수‧학 습 방법에 관한 인류학적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1986

      71 교육부, "초등 사회, 수학, 과학 일부 검정 전환 및 고등학교 일부 교과 자유발행제 도입 추진", 설명자료(2019.1.3.), 2019

      72 박진용, 주형미, 이미경, 변희현, "2010 교과서 선진화 방안 이후 인정교과서의 수요자 만족도 분석: 영어, 수학, 과학을 중심으로. 2015 KICE 이슈페이퍼. 연구자료 ORM 2015-50-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