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공감, 임종간호태도가 영적돌봄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hospice-palliative nursing knowledge, empathy, and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7167

      • 저자
      • 발행사항

        충주 :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 2024.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8 판사항(6)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vi, 84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미숙

      • UCI식별코드

        I804:43010-200000738105

      • 소장기관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공감, 임종간호태 도가 영적돌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3년9월 27일부터 10월 15일...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공감, 임종간호태 도가 영적돌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3년9월 27일부터 10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C도에 소재한 14개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1년 이상 임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1회 이상 임종환자를 돌봄 경험이 있는 간호사 중 편의 표집한 174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Ross 등 (1996)이 개발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 측정 도구를 김상희 등(2011)이 번역한 도구, Spreng 등(2009)이 개발한 공감에 대한 측정 도구(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TEQ)를 김환과 한수미(2016)가 한국어로 번안 한 도구, Frommelt(1991)가 개발한 임종간호태도에 대한 측정 도구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를 조혜진과 김은 심(2005)이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도구, Van Leeuwen 등(2009)이 개발한 영적돌봄역량 측정 도구(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SCCS)를 강 경아 등(2019)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연구자의 동의를 받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전체 174명 중 여성 90.8%(158명)였고, 평균 연령은 평균 44.8±11.7세였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59세로 27.6%(48 명)였으며, 결혼 여부는 기혼이 74.1%(129명)였고, 대상자가 종교를 가지 고 있는 경우가 56.9%(99명)였다. 대상자의 교육 수준은 4년제 대학 졸업 이 50.6%(88명)였으며, 대상자의 전체 간호사 경력은 평균 169.5±105.5 개월로, 120개월 이상 240개월 미만이 37.3%(65명)였다. 대상자의 근무 형태는 3교대 근무 31.0%(54명), 낮 또는 저녁 전담 근무 31.0%(54명)로 동일하였으며, 대상자 중 최근 1년 이내 가까운 가족이나 지인의 죽음 경 험 여부는 경험이 없는 경우가 66.7%(116명)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는 ‘보통이다’ 47.1%(82명)로 응답하였고, 업무 만족도는 ‘만족’ 52.9%(92명)였다.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0점~20점까지 분포하며, 총 점수 는 평균 8.56±2.24점으로 정답률은 전체 평균 47.3%이었다. 대상자의 공감 점수는 0점~4점까지 분포하며, 문항 평균 2.64±0.46 점이었다.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점수는 1점~4점까지 분포하며, 문항 평균 3.05±0.32점이었다. 대상자의 영적돌봄역량 점수는 1점~5점까지 분포하며, 문항 평균 3.10±0.62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성별 (t=-2.01, p=.046), 연령(F=2.51, p=.044), 총 임상경력(Z=3.17, p=.045), 근무형태(F=3.78, p=.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은 업무 만족도(Z=24.57, p<.001)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는 결혼상태(t=-2.07, p=.040), 교육 수준(Z=7.04,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돌봄역량은 교육 수준(Z=12.24, p=.002), 업무 만족도(Z=12.24,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영적돌봄역량은 공감(r=.43, p<.001), 임종간호태도(r=.53,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영적돌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1단계에서 업무 만족도 (매우 만족)(B=0.68, p<.001), 교육 수준(대학원 졸업)(B=0.57, p=.009)이 었으며, 설명력은 13.8%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공감과 임종간 호태도를 투입한 결과 대상자의 영적돌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업무 만족도(매우 만족)(B=0.39, p=.014), 교육 수준(대학원 졸업)(B=0.38, p=.045), 공감(B=0.27, p=.005), 임종간호태도(B=0.76, p<.001)였으며, 설 명력은 36.9%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임종간호태도(β=.39)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영적돌봄역량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는 간호사의 교육 수준을 고려하고, 업무 만족도를 높이며, 공감 능력 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임종간호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하고 체계적 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hospice·palliative nursing knowledge,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participants was 174 nurses who had w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hospice·palliative nursing knowledge,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participants was 174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one clinical years and experienced end-of-life care more than one in 14 long-term-care hospitals in C province.
      The study measurement tools were the Hospice·Palliative Care Knowledge Tool developed by Ross et al.(1996) and translated by Kim et al.(2011) and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TEQ) developed by Spreng et al.(2009) and translated into korean version by Kim and Han(2016). Also, the attitude toward end of life care was measured by tool that developed by Frommelt(1991)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Jo and Kim(2005).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Van Leeuween et al.(2009) and translated into korean version by Kang et al.(2019).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7, 2023 to October 15,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PSS) WIN 29.0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of hospice·palliative nursing was 8.56±2.24(scores ranged from 0 to 20). The mean score for empathy was 2.64±0.46(scores ranged from 0 to 4). The mean score for attitude of end-of-life care was 3.05±0.32(scores ranged from 1 to 4). The mean score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was 3.10±0.62 (scores ranged from 1 to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spice·palliative nursing knowledge and gender(t=-2.01, p=.046), age (F=2.51, p=.044), total clinical experience(Z=3.17,p= .045), and work type(F=3.78, p=.01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pathy and job satisfaction(Z=24.57,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and maritalstatus(t=-2.07, p=.040) and education level(Z=7.04, p=.03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the level of education(Z=12.24, p=.002) and job satisfaction(Z=12.24, p=.002).
      There we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empathy(r=.43, p<.001) and attitudes towardend-of-life care(r=.53, p<.001).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tep 1, the construction of a regression model revealed an adjusted R² of .138 with job satisfaction and eduction level as the predictor variables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step 2, after controlling variables that were inserted into step 1,empathy and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were entered additionally. The job satisfaction, eduction level, empathy and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explained 36.9% of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major predictor variable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was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ducation level among nurses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lso, in order to enhance their empath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it is need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systematic programs for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문헌고찰 8
      • 1. 영적돌봄역량 8
      • 2.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11
      • 3. 공감 14
      • Ⅰ. 서 론 1
      • Ⅱ. 문헌고찰 8
      • 1. 영적돌봄역량 8
      • 2.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11
      • 3. 공감 14
      • 4. 임종간호태도 16
      • 5.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공감, 임종간호태도와 영적돌봄 역량과의 관계 19
      • Ⅲ. 연구방법 21
      • 1. 연구설계 21
      • 2. 연구대상 21
      • 3. 연구도구 22
      • 4. 자료수집 방법 24
      • 5. 자료분석 방법 24
      • 6. 윤리적 고려 25
      • Ⅳ. 연구 결과 2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공감, 임종간호태도 및 영적돌봄역량 정도 28
      • 2-1.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29
      • 2-2. 대상자의 공감 31
      • 2-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33
      • 2-4. 대상자의 영적돌봄역량 36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공감, 임종간호태도, 영적돌봄역량의 차이 39
      •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의 차이 39
      •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의 차이 41
      •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의 차이 43
      • 3-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돌봄역량의 차이 45
      • 4.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 공감, 임종간호태도, 영적돌봄역량간의 상관관계 47
      • 5. 대상자의 영적돌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8
      • Ⅴ. 논의 50
      • Ⅵ. 결론 및 제언 57
      • 1. 결론 57
      • 2. 제언 59
      • 참고문헌 60
      • Abstract 70
      • 부록 72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72
      • <부록 2> 설문지 74
      • <부록 3> 연구 도구 사용 승인 관련 자료 81
      • <부록 4>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결과 통지서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