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근무환경을 개선 하여 보다 나은 보육서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근무환경을 개선 하여 보다 나은 보육서비...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근무환경을 개선 하여 보다 나은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어떠한가?
1-1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가?
2-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 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ncan의 사후검정을 통하여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파악을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정도는 전체적으로 3.90점의 평균점을 보여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 결과는 연령, 근무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결혼여부, 학력, 전공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기관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결과는 시설유형, 학급수, 월평균 보수, 재교육 횟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담당연령, 근무시간에 따른 전문성 인식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전체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영역에서 업무관련, 경제적인 면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결과는 연령, 결혼여부, 학력, 전공,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관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결과는 시설유형, 월평균보수, 재교육횟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