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아미노기를 도입한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를 충전제로 사용한 PU 복합체 제조 및 물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0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인 미세결정셀룰로오스(MCC) 분말 표면을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S)를 사용하여 실란화 반응으로 표면에 -NH2기를 도입하였다. 개질된 MCC(MCC-APS)를 충전제로 사용하여, p...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인 미세결정셀룰로오스(MCC) 분말 표면을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S)를 사용하여 실란화 반응으로 표면에 -NH2기를 도입하였다. 개질된 MCC(MCC-APS)를 충전제로 사용하여, poly(tetrahydrofuran) (PTHF, Mw= ~1000 g/mol)에 투입하여 분산시킨 후,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MDI)와 반응시켜 prepolymer를 제조하고, 사슬 연장제인 1,4-butanediol(1,4-BD)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PU)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MCC-APS 충전제가 PU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은 열 중량 분석기(TGA), 만능재료시험기(UTM) 및 동적기계적분석기(DMA)로 각각 분석하였다. 또한 충전제와 PU 매트릭스 계면에서의 결합 상태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CC-APS 충전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U 복합체의 탄성률은 크게 증가하고, 파단연신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MCC-APS 충전제와 PU 매트릭스 계면에서 강한 우레아 결합 생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surface of biodegradable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powder was modified with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S) to introduce -NH2 functional groups on the surface by silanization. After mixing APS modified MCC (MCC-APS) powder...

      In this study, the surface of biodegradable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powder was modified with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S) to introduce -NH2 functional groups on the surface by silanization. After mixing APS modified MCC (MCC-APS) powders in poly(tetrahydrofuran) (PTHF, Mw= ~1000 g/mol), they were reacted with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MDI) to make prepolymers, and chain-extended with 1,4-butanediol (1,4-BD) to prepare polyurethane (PU) composites. The effect of MCC-APS fillers on various properties of PU composites were studied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nd 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 The interfacial binding between MCC-APS and PU matrix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We observed significant increase in tensile moduli and significant decrease in elasticity with increasing MCC-APS contents in PU composites, due to the strong urea bond forma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CC-APS and the PU matri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 O. Ohwoavworhua, 4 : 501-, 2005

      2 Y. Yang, 55 : 60-, 2017

      3 K. Nakayama, A3 : 1005-, 1969

      4 Z. Rafiee, 86 : 190-, 2015

      5 Y. T. Park, 25 : 575-, 2015

      6 H. Deka, 95 : 1509-, 2010

      7 S. H. Park, 86 : 82-, 2013

      8 K. Benhamou, 122 : 202-, 2015

      9 C. Zhang, 69 : 52-, 2015

      10 B. J. Rashmi, 128 : 292-, 2013

      1 F. O. Ohwoavworhua, 4 : 501-, 2005

      2 Y. Yang, 55 : 60-, 2017

      3 K. Nakayama, A3 : 1005-, 1969

      4 Z. Rafiee, 86 : 190-, 2015

      5 Y. T. Park, 25 : 575-, 2015

      6 H. Deka, 95 : 1509-, 2010

      7 S. H. Park, 86 : 82-, 2013

      8 K. Benhamou, 122 : 202-, 2015

      9 C. Zhang, 69 : 52-, 2015

      10 B. J. Rashmi, 128 : 292-, 2013

      11 Y. J. Sung, 42 : 56-, 2010

      12 V. Dugas, 264 : 354-, 2003

      13 A. P. Mathew, 97 : 2014-, 2005

      14 M. Abdelmouleh, 18 : 3203-, 2002

      15 J. A. Howarter, 22 : 11142-, 2006

      16 R. M. Pasternack, 24 : 12963-, 2008

      17 M. Yamaura, 279 : 210-, 2004

      18 S. Spoljaric, 40 : 791-, 2009

      19 A. Kiziltas, 103 : 163-, 2011

      20 H. A. Stretz, 46 : 2621-, 2005

      21 박경규, "폴리우레탄폼/유기나노점토/포스페이트 복합체의 합성과 그 특성" 한국고무학회 46 (46): 343-351, 2011

      22 유선화,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처리와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의 특성" 한국고분자학회 36 (36): 721-726, 2012

      23 이상미,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된 아미노기와 Glycidyl Methacrylate의 반응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37 (37): 777-783, 2013

      24 송성규,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표면이 개질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분광학적 분석" 한국화학공학회 49 (49): 181-186, 2011

      25 이정은, "불소기 함유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물성" 한국고분자학회 29 (29): 172-176, 2005

      26 김한나,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 표면에 아미노기 도입을 위한 최적 개질 조건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40 (40): 925-932, 2016

      27 H. Dodiuk, "Handbook of thermoset plastics" Elsevier, William Andrew 270-, 2013

      28 J. Hu, "Advances in Shape Memory Polymer" Woodhead Publishing 74-, 2013

      29 D. Ganderton, "Advances in Pharmaceutical Sciences, 1st Ed., Vol. 7" Academic Press 10-,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2-06-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OLYMER(KOREA)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4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40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