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大成, "환경친화적 행태의 결정요인과 학교 환경교육의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5
2 김민경,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지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가별 문화성향을 고려한 비교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8 (28): 73-91, 2015
3 지성애,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5-29, 2012
4 임상희,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체험과 환경적 감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497-507, 2004
5 박인준,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관 고찰" 29 : 57-108, 2006
6 조형숙,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5-26, 2010
7 최상근, "한국 초・중등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3 (3): 57-78, 1993
8 강선미,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105-124, 2011
9 박선미, "텃밭활동에서 나타난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89-416, 2007
10 박성진,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관련 변인" 13 (13): 171-187, 2000
11 김은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환경소양 관련 변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35-159, 2010
12 한종현, "초등학교 교사들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관련 변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백종송, "초등교사의 학습 경험과 환경교육 실천" 한국환경교육학회 32 (32): 160-173, 2019
14 박찬주, "초·중등 교사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197-218, 2002
15 김광룡, "채소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153-165, 2008
16 이형권, "조절분석과 조절된 매개분석 및 매개된 조절분석의 오해와 진실"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213-248, 2016
17 강민정, "정서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8 박은주, "자연친화 교사교육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25-250, 2013
19 안지성,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텃밭 가꾸기 활동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27-361, 2011
20 유선희, "유치원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33-254, 2010
21 신금호,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429-449, 2008
22 박희숙, "유아의 환경소양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 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15-237, 2010
23 정윤희, "유아교육기관의 생태환경과 융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75-197, 2014
24 박정미,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5 김정원,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가치관과 유아환경 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61-179, 2004
26 지옥정, "유아교사의 환경교육 경험, 환경지식, 환경친화적 태도가 환경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5 (15): 279-302, 2016
27 김은선, "유아교사의 환경관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8 최아연, "유아교사의 환경감수성과 환경교수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9 오유미, "유아교사의 숲교육 경험과 생태감수성, 행복감, 정서지능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8 (18): 221-240, 2019
30 조준오,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육태도가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117-141, 2018
31 조정화,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교수적극성과 과학불안"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39-158, 2013
32 박희숙,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 환경교육 인식, 환경친화적 태도에 따른 환경 교수효능감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1-68, 2008
33 박지영,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분석" 23 (23): 17-36, 2018
34 박희숙,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의 환경교육 인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99-114, 2008
35 조형숙, "유아 교사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33-50, 2004
36 김은주,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119-140, 2003
37 한미라,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체험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29-63, 2007
38 강문희, "아동의 정서기능 향상을 위한 심리학적 접근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7 (7): 1-14, 2007
39 송순옥, "실천·체험 중심의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47-64, 2018
40 김정숙, "실내정원 가꾸기 활동에 나타난 유아들의 경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95-117, 2010
41 배은주,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 유아교육 기관 교사의 환경 친화적 교육 태도 및 교사교육 요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2 곽은복, "생태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 환경교육의 전망"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83-96, 2005
43 이귀영, "생태중심적 유아환경교육 현황과 교사의 인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44 김송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 및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5 이현민, "생태 예술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극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35-49, 2010
46 조준오,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환경 친화적 교육태도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5 (15): 69-87, 2015
47 강용갑, "도시지역 중학생의 환경친화적 행동을 위한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에 관한 연구 : 학교 숲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8 남상준, "국민학교 환경교육의 발전 방향" 8 : 14-21, 1995
49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50 고인규,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97-1213, 2019
51 김병찬, "교사의 생애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77-102, 2007
52 Hancock, G. R., "The reviewer’s guide to quantitative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2010
53 Katz, L. G.,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39 (39): 3-10, 1984
54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55 Kearney, A. R., "The effects of viewer attributes on preference for forest scenes : Contributions of attitudes, knowledge, demographic factors, and stakeholder group membership" 43 (43): 147-181, 2011
56 Vaughan, C., "The effect on environmental education on schoolchildren, their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 A study of intergenerational and intercommunity learning" 34 (34): 12-21, 2003
57 Bennett K. R., "Teachers in North Carolina’s environmental education certification program" 36 (36): 15-21, 2005
58 Spiller, S. A., "Spotlights, floodlights, and the magic number zero : Simple effects tests in moderated regression" 50 (50): 277-288, 2013
59 성태제,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12
60 Wilson, R. A., "Nature and young children : A natural connection" 50 (50): 4-11, 1995
61 Flogaitis, E., "Kindergarten teachers’ concep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33 (33): 125-136, 2006
62 Sivek, D. J., "Environmental sensitivity among wisconsin high school students" 8 (8): 155-170, 2002
63 Tilbury, D.,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The priority of priorities" 11 (11): 267-280, 1992
64 Pooley, J. A.,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ttitudes : Emotion and beliefs are what is needed" 32 (32): 711-723, 2000
65 Franzen, A., "Environmental attitudes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ISSP 1993 and 2000" 26 (26): 219-234, 2010
66 Katz, L. G.,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73 (73): 50-54, 1972
67 Preacher, K. J.,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40 (40): 879-891, 2008
68 Hayes, A. F.,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The Guilford Press 2013
69 Hayes, A. F.,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50 (50): 1-22, 2015
70 Mallinckrodt, B., "Advances in test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53 (53): 372-378, 2006
71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