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들의 실제적인 자녀 양육에의 참여정도와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해보고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부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964172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3. 8
2003
한국어
375.1 판사항(4)
서울
v, 72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어주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들의 실제적인 자녀 양육에의 참여정도와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해보고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부모...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들의 실제적인 자녀 양육에의 참여정도와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해보고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살펴봄으로써,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아버지들의 부모교육 참여 확대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의 아버지 213명이었다.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는 Crase, Clark과 Pease(1979)의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Father Form(IPBI: Father Form)을 번안한 노현미(1999)의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정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정문자와 어주경(2000)이 사용한 부모교육 요구도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첫 번째 연구문제인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에의 참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육 행동의 하위 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아버지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아버지들이 알고 있는 정도와 필요 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요구도는 필요정도와 지식정도의 차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순위를 매겼다. 아버지들의 부모교육 실시에 대한 요구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각 문항별로 빈도를 구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에의 실제 참여 정도와 부모교육 내용 요구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영역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으로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는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에 있어서 신체적인 애정 표현 및 친밀감을 표현하는 행동과 자녀가 필요로 하면 아버지 스스로 하던 일을 중지해서라도 반응해 주는 행동을 대체로 많이 보였다. 그 외 합리적인 지도, 제한 설정의 행동도 많이 보였으나, 자녀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과업을 잘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는 양육에의 참여 행동은 보통이상은 보였지만 다른 행동들에 비해 조금 낮았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자녀의 발달 수준을 파악하는 관찰 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창의성 발달', '발달의 수준에 맞는 놀이감 구비 방법', '학습을 유도하는 방법', '나쁜 습관과 행동 고치는 방법'에 대한 요구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양육에의 참여, 합리적인 지도, 제한 설정, 친밀감 등의 자녀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아버지일수록 이들 영역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양육에의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아버지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their need assessment for parent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13 kindergarteners' fathers in Seoul and Kyonggi areas. To measure fathers' involvements 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their need assessment for parent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13 kindergarteners' fathers in Seoul and Kyonggi areas. To measure fathers' involvements in child-rearing, a translated version(No, 1999) of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Father Form(IPBI: Father Form) by Crase, Clark and Pease(1979) was used. For fathers' need assessment for parent education, Chung and Eo(2000)'s Need Assessment for Parent Education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exhibited affection to their children through physical contact and withheld their works whenever their children needed them. Besides, they guided their children through reasoning and limit-setting, and offered active help for their children's better achievement.
Second, the results of need assessment revealed that fathers showed needs in order of "learning what to look for to assess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obtaining knowledge about creative development", "finding toys appropriate to children's development", "learning how to guide their children's better learning", and "learning how to modify their children's bad habits and problem behaviors".
Finally, the lower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less active in rational guide, limit-setting and expression of affection to their children, the more they had needs for parent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 good parent education program to be developed so that fath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s in child-rearing as well as promote their self-esteem.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