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인간이 지닌 감각과 감정에서 발생하여 행해지는 사진 행위가 자기창조 활동성과 내적 원리의 힘으로 작동되는 멜랑콜리 정서에 근거하여 인간학적 접근 방식으로 다큐멘터리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인간이 지닌 감각과 감정에서 발생하여 행해지는 사진 행위가 자기창조 활동성과 내적 원리의 힘으로 작동되는 멜랑콜리 정서에 근거하여 인간학적 접근 방식으로 다큐멘터리 사...
이 논문은 인간이 지닌 감각과 감정에서 발생하여 행해지는 사진 행위가 자기창조 활동성과 내적 원리의 힘으로 작동되는 멜랑콜리 정서에 근거하여 인간학적 접근 방식으로 다큐멘터리 사진을 재해석 하고자 한다. 기존의 다큐멘터리 사진은 더 나은 현재와 미래에 대한 사회 제시를 바탕으로 휴머니즘을 근간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인간이 지닌 개별적 감정과 감각에 대한 반응으로 활동하는 창조적 사진 행위는 멜랑콜리 정서에 근거한 작가의 내적 원리와 무목적성의 표현행위로 보인다. 주관적 고통의 개별적 인식에 따른 체험의 시간을 겪어낸 자의 내재된 우울과 불안을 통과한 멜랑콜리는 절망에서 생성된 미학적 힘으로 표현행위를 하는 창조적 활동으로 전환된다.
이 연구는 예술이 지닌 멜랑콜리 미학적 힘과 감정의 반응에 관한 고찰이다. 비극적 상황의 고통에서 도래한 불안을 자유로 치환하고 시간의 존재로부터 주체적 자율성으로 다시 태어나 절망스런 현실에서 자기표현으로 다큐멘터리 사진을 찍는 사진 행위가 삶을 생성시킨다. 창조적 행위의 힘은 멜랑콜리에서 기인한 미학적 힘이며 절망은 주체를 끌어가는 동력으로 변화된다. 대상에 대한 자신의 느낌이 전달되는 사진 이미지는 내적 의미의 발현이며 슬프고 괴로운 리얼리즘 이미지 안에서 절망은 사진을 찍는 작가와 사진을 보는 관객 양측 입장 모두에게 동질효과로 작용되는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한다.
절망과 우울이라는 멜랑콜리 정서의 주관적 감각과 감정에서 미학적 힘의 근거를 찾아내어 헤르더(J. G. Herder, 1744∼1803)의 인간학적 접근으로 리얼리즘 기반 다큐멘터리 사진을 재해석하여 자신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의 근본이 멜랑콜리의 미학적 힘에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동규, "멜랑콜리아", 문학동네, 2014
2 진동선, "사진기호학", 푸른세상, 2015
3 진동선, "사진 기호학", 푸른세상, 2015
4 Dubois, Philippe,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사진마실, 2005
5 진동선, 진동선, "현대사진가론", 태학원, 1998
6 김동규, "멜랑콜리 미학", 문학동네, 2010
7 안진태, "카프카 문학론", 열린책들, 2007
8 김동규, "『멜랑콜리아』", 문학동네, 2014
9 김동규, "『멜랑콜리 미학』", 문학동네, 2010
10 안진태, "『카프카 문학론』", 열린책들, 열린책들, 2007
1 김동규, "멜랑콜리아", 문학동네, 2014
2 진동선, "사진기호학", 푸른세상, 2015
3 진동선, "사진 기호학", 푸른세상, 2015
4 Dubois, Philippe,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사진마실, 2005
5 진동선, 진동선, "현대사진가론", 태학원, 1998
6 김동규, "멜랑콜리 미학", 문학동네, 2010
7 안진태, "카프카 문학론", 열린책들, 2007
8 김동규, "『멜랑콜리아』", 문학동네, 2014
9 김동규, "『멜랑콜리 미학』", 문학동네, 2010
10 안진태, "『카프카 문학론』", 열린책들, 열린책들, 2007
11 김경식, 김경식, "『게오르크 루카치』", 한울아카데미, 2000
12 Karl Theodor Jaspers, "비극적인 것에 관하여", R. Piper & Co.Verlag, 1947
13 이경률, "현대 사진미학의 이해", 사진마실, 2006
14 신준형, 신준형, "『파노프스키와 뒤러』", 사회평론, 2013
15 백승균, 백승균, "『사진 철학을 만나다』", 북길드, null
16 안진태, "『엘리아데 신화 종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17 고병권, "니체-천개의 눈 천개의 길", 소명, 소명, 2001
18 Karl Theodor Jaspers, "『비극적인 것에 관하여』", R. Piper & Co.Verlag, 1947
19 진교훈, "『오늘의 철학적 인간학』", 경문사, 경문사, 1997
20 이경률, "『현대 사진미학의 이해』", 사진마실, 2006
21 고병권, "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 소명, 2001
22 이경률, "철학으로 읽어보는 사진예술", 사진마실, 2005
23 박찬국,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그린비, 그린비, 2013
24 박찬국,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그린비, 2014
25 김동규, "“하이데거 철학의 멜랑콜리”", 한국하이데거학회, 한국하이데거학회, 존재론연구19호, 2009
26 백승균, 백승균, "『플레스너의 철학적 인간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5
27 이경률, "『철학으로 읽어보는 사진예술』", 사진마실, 2005
28 이동용, "쇼펜하우어, 돌이 별이 되는 철학", 동녘, 2014
29 이동용, "『쇼펜하우어, 돌이 별이 되는 철학』", 동녘, 2014
30 박호성, "『휴머니즘론-새로운 시대정신을 위하여』", 나남, 나남출판사, 2007
31 이재구, "예술로서 다큐멘터리사진 미학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2010
32 박영욱, "“바로크 비애극과 알레고리로서의 이미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한국철학사상연구회시대와 철학 23권 1호, 2012
33 이재구, "“예술로서 다큐멘터리사진 미학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2010
34 김민정, "“살가도 사진의 도상성과 다큐멘터리 휴머니즘”", 예술과미디어학회,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2015
35 이경률, "“으젠 앗제 사진에 나타난 기록과 창작의 딜레마”",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프랑스 문화예술연구, 2006
36 권용선, 권용선, "『세계와 역사의 몽타주, 벤야민의 아케이트 프로젝트』", 그린비, 2009
37 김현화, 김현화, "“민중미술: 원시를 꿈꾸다, 바타이유와 루카치 사상으로 접목 고찰”",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0권, 2011
38 김민정 ( Min Jeung Kim ), 윤준성 ( Jun Sung Yoon ), "멜랑콜리 미학을 통한 로버트 프랭크의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한 재해석", 한국기초조형학회, 한국기초조형학회 16권 5호 통권 71호, 2015
39 여문주, "“살가도 사진에 대한 프랑스 저널리즘의 비판적 수용과 포토저널리즘의 키치화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프랑스학회, 한국프랑스학논집 제84집,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