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과 청소년의 인권의식과 시민권적 경험이 아동·청소년의 다양한 삶의 지표들과 갖는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아동·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91857
2015
Korean
334
학술저널
1-82(8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과 청소년의 인권의식과 시민권적 경험이 아동·청소년의 다양한 삶의 지표들과 갖는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아동·청...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과 청소년의 인권의식과 시민권적 경험이 아동·청소년의 다양한 삶의 지표들과 갖는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아동·청소년의 인권의식과 관련 있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둘째, 아동·청소년의 시민권 행사와 관련한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 다양한 성과지표들과 이들의 시민권적 경험과 인권의식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5년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중에서 중·고등학교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 활용된 주요변수로 아동·청소년 인권의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권이 존중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인권현황에 대한 의식, 그리고 사상의 자유 행사와 관련한 인권 효능감 등의 변수들이 있다. 또한 시민권적 권리 행사의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결사와 집회의 권리행사 경험, 청소년 자치활동 관여 정도 등의 변수를 활용하였다. 기존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이들 인권의식 및 시민권적 권리 행사의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폭력 및 학대 경험, 인권 및 시민권적 활동과 관련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보여주는 지지적인 태도 및 환경의 경험 정도, 그리고 인권관련 인식 변수들을 활용하였다. 또한 인권의식과 시민권적 권리행사가 아동과 청소년의 주요한 결과지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기 위하여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생각, 학교폭력피해 경험 등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주요한 분석방법으로는 선형 및 로짓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tata MP 13.0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청소년이 경험한 학대 및 폭력의 경험과 부모와 학교가 이들의 인권과 관련하여 보여주는 태도는 아동과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인권 및 시민권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한 분석에서 인권의식 관련 변수들도 의미 있는 변수들이었지만 더욱 중요하게는 부모의 아동 인권 존중 정도, 학교정책에 대한 학생 참여 보장정도 등 아동과 청소년의 일상적인 경험과 관련한 변수들이 더욱 의미있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과 청소년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성과지표와 인권의식, 인권관련 경험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아동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인권 관련 의식과 더불어 본인의 인권과 관련하여 아동과 청소년이 가정과 학교 를 통해 경험하는 주변 환경적인 요인들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제언은 첫째, 청소년에 대해 인권교육 등을 통해 인권의식을 신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일상적인 경험으로서 인권의식과 시민권적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아동과 청소년의 시민권적 권리 행사에 대해 가정과 학교에서 보여주는 지지와 존중의 경험은 이들이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이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셋째, 주관적 행복감, 자살 생각, 학교폭력 피해 경험 등 아동과 청소년이 현재 발달단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개입을 위해 이들의 인권 및 시민권적 의식과 경험적 측면이 고려되어야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ir civic activity experiences, and various outcom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ir civic activity experiences, and various outcom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 2015, we first analyzed factors associated with human rights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n, we analyzed factors associated with civic activity experienc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Lastly, we conducted a series of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outcom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ir human rights perception and civic activity experienc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perception of human rights was associated with their parents’ and schools’ attitude toward human rights of their children and adolescents. Also, it appeared that, even though human rights perception related factors were relevant contributors in the mode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ivic activity experiences, level of respect that parents and schools showed toward their children’s human rights and level of invol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schools allocate in school related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even more meaningful contributors. Lastly, myriad of experiences related to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rather than human rights perception were meaningfully associated with various outcomes such as suicidal ideation, subjective happiness, and experiences of violence and abus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목차 (Table of Contents)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워크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