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과 청나라 문인의 교류와 특징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A study on the ex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between Joseon Dynasty Qing Dynasty Schol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9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과 청나라 문인의 교류와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특히 교류가 중점적으로 일어난 북학파시기와 그들의 후손인 19세기 북학파 후예들의 청나라 문인과의 교류를 중점으로 고찰...

      이 논문은 조선과 청나라 문인의 교류와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특히 교류가 중점적으로 일어난 북학파시기와 그들의 후손인 19세기 북학파 후예들의 청나라 문인과의 교류를 중점으로 고찰하였다. 조선에서는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배청 사상이 팽배해졌다. 1704년(숙종30) 조정에서는 창덕궁 안에 大報壇을 설치하였고, 국왕은 임진왜란 때 도와준 明나라神宗을 기리기 위하여 참배했으며, 정조 때에도 여전히 대보단에 참배했다. 왕실은 이러한 분위기였지만 조선 문인들과 청나라 문인들은 끊임없이 교류를 하였다. 17세기 말 三藩의 난이 진압되고 나서 강희는 내치에 자신을 가지고 유화정책을 펴게 되자 조선 문인은 청나라 문인과 이전보다는 비교적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조선 문인이 청나라 문인과 폭넓게 교류할 수 있었던 것은 1770~1780년 사이에 『사고전서』가 출판되면서 전국에 있는 선비들이 유리창에 모이면서다. 이미 1680~1690년 사이에 『명사』 를 편찬하던 때와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그리고 바로 이 시기에 북학파가 출현하게 되는데, 1765년 홍대용을 이어 1776년 유득공의 숙부 柳琴이 북경에 다녀오고 이어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박지원 같은 문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한다. 인적 교류는 청나라 학술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18세기 말 조선에서는 宋學과 漢學의 논쟁이 있었다. 1781년 『四庫全書簡明目錄』이 완성 되자 조선에서는 『奎章總目』을 편찬하고, 한학 위주의 『四庫全書簡明目錄』을 비판하게 된다. 한편 조선 문인들은 송학을 주장하는 桐城派 문인들과 교류하기 시작하기도 한다. 이후 今文經學을 토대로 하는 公羊學의 실체를 알게 되었다. 아편 전쟁을 전후로 하여 만주족 정권의 취약점이 노출되자 청나라 문인들은 고염무의 經世致用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하였다. 이에 고염무사당을 수리하고 참배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기도 한다. 조선 문인은 이들과도 교류하였다. 박제가 뒤에 활동한 이상적은 12차례나 북경을 방문하여 광범위한 인맥을 구축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양국 인사들의 교류는 더욱 발전하였다. 교류 인물이 많고 연구 성과도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김영작과 이백형, 이상적과 공헌이 같은 중심인물의 특별한 인연도 살펴보았다. 조선 문인은 청나라 문인과 교류하면서 조선의 당색이나 학문에 대하여 이야기 했으며 저작물을 주고받기도 했다. 또한 조선 문인들은 조선 문화에 청나라 문화와 다른, 독특한 점이 있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청나라에서는 布衣가 王公과 함께 어울리기도 하고, 관료라도 시장에 가서 상인들과 물건을 흥정하였다. 교류 공간도 유리창 書肆를 중심으로 法源寺와 松筠庵, 衍聖公邸 같은 곳에서 주로 모였고 宣武門 남쪽의 漢人 집성 지역을 비롯하여 謝疊山祠, 報國寺, 顧炎武祠堂, 慈壽寺 같은 곳에서도 이루어졌다. 조선 후기 조선 문인과 청나라 문인의 인물 교류는 수백 명에 이를 정도로 광범위하지만 중요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 주자학 중심의 宋學을 위주로 하는 조선의 문인들은 桐城派의 費蘭지와 梅曾亮, 吳嘉賓 같은 사람들과 교류하였다. 그리고 공자의 嫡孫에게 세습되는 衍聖公과 연성공 주변에 있는 인물과도 지속적으로 만났다. 阮元을 비롯하여 王鴻, 72대 연성공 孔憲培, 73대 연성공 孔慶鎔, 孔憲彛, 공헌이 주변의 친구들을 집중적으로 만나거나 교류하였다. 청일전쟁이후 조선과 청나라는 국교가 단절되지만,망명했던 해외 지식인들은 공자의 사상을 주창하는 孔敎會 인사들이나 공자의 후손을 만났다. 李炳憲은 康有爲와 교류하면서 今文經學을 받아 들여 孔敎會활동을 하였다. 조선 문인들은 청나라 문인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성향과 학파별, 지역별 특징도 이해할 수 있었다. 주자학 중심의 조선 문인들은 초기 한학을 비판의 대상으로만 삼다가 점차 청나라 학술의 본령을 이해하면서 한학과 대립관계에 있었던 동성파 문인들과 교류했고, 지속적으로 공자 후손과 관련된 인물을 만났으며, 공자의 사상을 주창하려고했다. 이는 독특한 조선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조선과 청나라 문인의 교류에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suffered from the Manchu war of 1625 and 1636, the Joseon Dynasty have an growing exclusion of Qing Dynasty(排淸思想). After Qing Dynasty supress Sanfanzhiluan(三藩之亂) in 1680, Qian long(乾隆) have more confidence domestic affairs. A...

      After suffered from the Manchu war of 1625 and 1636, the Joseon Dynasty have an growing exclusion of Qing Dynasty(排淸思想). After Qing Dynasty supress Sanfanzhiluan(三藩之亂) in 1680, Qian long(乾隆) have more confidence domestic affairs. As Qing Dynasty adopt more appeasement policy, so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literary man have more opportunity to communicate. King Jeong-jo(1752~1800)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installed altar temple in the Changdeok Palace which is dedicated to MingDynasty shenzong(神宗) who send troop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Even though the Joseon Dynasty had bad feeling for Qing Dynasty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literary man still commicate as personally. As Bukakpa shool(北學派) which emerge in Joseon Dynasty to overcome an exclusion of Qing Dynasty(排淸思想) by learning Qing Dynasty. Qing Dynasty published Sikuqianshijianmingmulu(四庫全書簡明目錄) in 1781. But Joseon Dynasty criticized Sikuqianshijianmingmulu because it deals important about HanXue(漢學) through publishing Kuizhangzongmu(奎章 總目). At that time Joseon Dynasty``study baised on Songxue(宋學). At the start of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schoar could compromise HanXue, Songxue. And Joseon Dynasty schoar could associate with Tongchengpai (桐城派). After the Opium War, Manchu political power came loose about its ruling. and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literary man have more opportunity to communicate. At the center of this communicating, there are two important persons whose name is Parkjeka (朴齊家) Leesangjuk (李尙迪). Leesangjuk to Beijing 12times. And with his help many Joseon Dynasty could meet Qing Dynasty literary man. And many Bukakpa shool(北學派) descendant also could communicate Qing Dynasty literary man. As they close each other, there are happening some cultural gap. And through these communicate, they could understand Qing Dynasty scholarship. During 19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literary man have more closely communicate than before. Even though after the Sino- Japanese War of(1894~5), diplomatic relations was ended two countries literary man personlly associate. For example Leebeonhun(李炳憲) frequently visited Liangqichao(梁啓超) and studied jinwenjingxue(今文經學) and established Konfjiaoxue(孔敎會).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振忠, "琉璃廠安徽商程嘉賢與朝鮮燕行使者的交往" 2005

      2 翁方綱撰, "復初齋文集"

      3 천금매, "金永爵과 한중 척독교류의 새 자료 『中朝學士書翰錄』" 동양고전학회 (34) : 167-206, 2009

      4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서울] 2008

      5 "해린척소"

      6 정후수, "해린척소" 혜민원 2011

      7 "한국문집총간 해제" 민족문화추진위원회 2005

      8 금장태, "한국 근대유교와 종교운동" 대동문화연구원 37 : 2000

      9 정후수, "추사김정희논고" 한성대학교 출판부 2008

      10 안대회,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9) : 87-121, 2010

      1 王振忠, "琉璃廠安徽商程嘉賢與朝鮮燕行使者的交往" 2005

      2 翁方綱撰, "復初齋文集"

      3 천금매, "金永爵과 한중 척독교류의 새 자료 『中朝學士書翰錄』" 동양고전학회 (34) : 167-206, 2009

      4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서울] 2008

      5 "해린척소"

      6 정후수, "해린척소" 혜민원 2011

      7 "한국문집총간 해제" 민족문화추진위원회 2005

      8 금장태, "한국 근대유교와 종교운동" 대동문화연구원 37 : 2000

      9 정후수, "추사김정희논고" 한성대학교 출판부 2008

      10 안대회,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9) : 87-121, 2010

      11 박현규, "조선 사신과 청조 문사의 참된 우정과 필담록:?菊壺筆話?" 동방한문학회 (28) : 329-350, 2005

      12 엄경흠, "정몽주와 권근의 사행시에 표현된 국제관계" 한국중세사학회 (16) : 181-215, 2004

      13 김동석, "일제강점기 때 소개된 연암저술" 한국고전번역학회 4 : 2013

      14 이춘희, "우선 이상적과 만청 문인의 문학교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5 박지원, "열하일기" 문예원 2012

      16 이현주, "연행사절 下隷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2014

      17 후마 스스무, "연행사와 통신사" 新書苑 2008

      18 박우훈, "연행록전집 4권" 학고방 49-79, 2006

      19 진재교, "연행록연구총서 6권" 학고방 89-118, 2006

      20 조규익, "연행록연구총서 6" 학고방 2006

      21 임기중, "연행록 연구" 일지사 2002

      22 조규익, "연행노정-그 고난과 깨달음의 길" 박이정 2004

      23 김새미오, "연천 홍석주의 연행과 그 의미" 동방한문학회 (30) : 317-340, 2006

      24 박종채, "역주 과정록" 태학사 1997

      25 벤저민 엘먼,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예문서원 2004

      26 김동석, "서울과 燕京學人의 神交와 그 양상 -18세기 말에서 19세기 까지-" 우리한문학회 19 : 935-965, 2008

      27 박성순, "북경유리창" 민속원 2013

      28 정 민, "북경유리창" 민속원 2013

      29 김명호, "동문환의 『한객시존』과 한중문학교류" 한국한문학회 26 : 2000

      30 홍대용, "국역담헌서"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4

      31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완당전집" 솔출판사 1998

      32 이승수, "고려말 對明 使行의 遼東半島 경로 고찰" 우리한문학회 20 : 5-35, 2009

      33 李豫, "韓客詩存" 書目文獻出版社 1966

      34 李豫, "韓客詩存" 中國書目文獻出版社, 산서대학교 1996

      35 金柄珉, "韓客巾衍集與淸代文人 李調元、潘庭筠的文學批評" (6) : 2001

      36 朴現圭, "韓國的四家詩與淸朝李調元<雨村詩話>" 1998

      37 "韓國文集叢刊"

      38 琴知雅, "韓國學論文集 第9集" 黑龍江朝鮮民族出版社 2002

      39 최식, "韓中 知識人 交流와 記錄 -洪大容과 嚴誠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40) : 307-331, 2015

      40 정후수, "韓中 文化交流 人名事典" 다운샘 2014

      41 李調元, "雨村詩話" 巴蜀書社 2006

      42 "藕船精華錄"

      43 "續修四庫全書"

      44 기 윤, "紀曉嵐文集 3권" 河北敎育出版社

      45 趙秀三, "秋齋集"

      46 후지츠카 치카시, "秋史 金正喜 硏究" 과천문화원 2009

      47 후지츠카 치카시, "秋史 김정희 또 다른 얼굴" 아카데미하우스 1994

      48 "秋史 김정희 學藝일치의 경지"

      49 董文渙, "硯樵山房詩稿"

      50 허권수, "眞庵 李炳憲의 生涯와 學問" 경남문화연구원 (46) : 1-42, 2015

      51 남재철, "白塔詩社 一攷" 한국한문학회 (49) : 349-396, 2012

      52 신춘호, "燕行路程 영상아카이브 구축 및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漢陽∼沈陽 구간 영상기록물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4

      53 김영진, "燕行錄의 체계적 정리 및 연구 방법에 대한 試論"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4) : 65-91, 2011

      54 이학당, "燕行錄의 연구 현황과 전망 -중국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50) : 455-493, 2012

      55 "燕行錄選集-補遺"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2008

      56 "燕行錄全集" 東國大學校出版部 2001

      57 이성형, "燕行詩에 나타난 ‘東八站 區間’ 認識樣相 考察 -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근역한문학회 35 : 121-150, 2012

      58 柳得恭, "燕臺再遊錄"

      59 淸 吳家軒, "漱六山房全集"

      60 董壽平, "淸季洪洞董氏日記六種" 北京圖書館出版社 1997

      61 "淸史列傳" 中華書局出版社 1987

      62 임영길, "淸 문인 黃爵滋와 조선 문인의 교유-『仙屛書屋初集年記』를 중심으로" 2015

      63 "海鄰尺素"

      64 허경진, "洪大容 집안에서 편집한『燕杭詩牘』" 열상고전연구회 (27) : 247-298, 2008

      65 안대회, "楚亭 朴齊家의 燕行과 일상속의 국제교류" 국학연구원 (145) : 37-64, 2009

      66 張伯偉, "朝鮮時代書目總刊, 奎章總目"

      67 김지현, "敬亭 李民宬의 <癸亥朝天錄> 소고" 온지학회 (42) : 9-36, 2015

      68 錢志熙, "從 ≪韓客詩存≫ 看近代的韓國漢詩創作及中韓文學交流"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97-119, 2002

      69 "帥氏清芬集"

      70 유 정, "帥方蔚이 편찬한 『左海交游錄』과 19세기 한중문인들의 문화교류" 연민학회 15 : 2011

      71 王達敏, "姚鼐與乾嘉學波" 學苑出版社 2007

      72 "四庫全書"

      73 卞鍾運, "嘯齋集" 중립중앙도서관

      74 李君善, "冠巖 洪敬謨의 中國文人과의 交遊와 그 意義" 동방한문학회 23 : 251-272, 2002

      75 洪大容, "乾淨衕筆談" 上海古籍出版社 2010

      76 송호빈, "『華東唱酬集』 成冊과 再生의 一面: 日本 東洋文庫 所藏本 所收 海隣圖卷十種 「海客琴尊第二圖題辭」를 통해" 2014

      77 허경진, "『燕槎錄』을 통해본 鄭元容과 淸朝 文士들의 문화교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87-209, 2009

      78 "『燕杭詩牘』, 「三斯孝廉卽發」, 許藕舲"

      79 吳家軒, "『漱六山房全集』, 「朝鮮使者金永爵筆談記」"

      80 徐瀅修, "『明皐全書』 권14, 「李墨莊傳」, 「紀曉嵐傳」, 『韓國文集叢刊 261권』"

      81 馮志沂, "『微尙齋詩集初編』, 『속수사고전서』"

      82 金永爵, "『卲亭文稿』, 『卲亭詩稿』" 국립중앙도서관

      83 유 정, "‘조춘헌시초’ 전입중국고" 2009

      84 김영진, "‘華東唱酬集’ 연구-편찬자 金秉善과 자료의 梗槪 소개-" 한국학연구원 (53) : 305-338, 2013

      85 이상익, "‘儒敎의 이중성’과 ‘近代의 이중성’" 한국철학사연구회 (21) : 7-40, 2007

      86 Benjamin A, Elman, "From philosophy to philology"

      87 김영죽, "<北轅錄>의 1760년 北京기록 - 子弟軍官과 동아시아 지식인 만남의 재구성" 대동문화연구원 (90) : 69-108, 2015

      88 이은영, "20世紀初 儒敎知識人의 亡命과 漢文學 : 西間島 亡命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89 이철희, "19세기 초 한중 문학 교류와 吳嵩梁" 대동문화연구원 (73) : 101-137, 2011

      90 김명호, "19세기 韓中文學交流의 樣相" 2014

      91 이춘희, "19世紀 韓ㆍ中 文學交流-李尙迪을 중심으로" 새문사 2009

      92 유 정, "19∼20세기 초, 청대문인 편찬 조선한시문헌연구" 보고사 2013

      93 신익철, "18세기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만남" 한국한문학회 (51) : 445-486, 2013

      94 김현미, "18세기 연행록의 전개와 특성" 혜안 2007

      95 진재교, "18세기 朝鮮朝와 淸朝 學人의 학술교류-洪良浩와 紀?을 中心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3 : 11-326, 2003

      96 신영주, "18ㆍ9세기 홍양호家의 예술향유와 서예비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97 진재교, "18∼19세기 초 지식․정보의 유통 메커니즘과 중간계층" 대동문화연구원 (68) : 81-112,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