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심국형 <성주풀이>에 내재된 성주신의 성격과 신화적 의미 = Seongjusin’s characteristic and meaning is inherent in Seongjupur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the purpose that it analyzes Seongjupuri’s structure, so it analyzes the meaning that emphasizes in the work. It has not only to be Seongjusin because he abused his wife and abandoned his family, but also his wife was made a kind of beast by ...

      It has the purpose that it analyzes Seongjupuri’s structure, so it analyzes the meaning that emphasizes in the work. It has not only to be Seongjusin because he abused his wife and abandoned his family, but also his wife was made a kind of beast by him. He who abused his wife regarded as the beast not human because he damaged the value of family ethics that was emphasizes in Seongjupuri. However, the situation was changed in a twinkle, because he accepted his wife and tried to recover his family relationship. The hair which was covered his body fell out, he returned human’s body. The main character who protected his family’s order was given the right not be beast, but human.
      Success or failure of family order that emphasizes dual structure was emphasized again through the way to be Seongjupuri. Because Ansimguk who returned as Seocheonguk is not able to carry out the work as Seongjusin. Ansimguk tries to build the house where it has the ability as Seongjusin after he was made 5 sons, 5 daughters from Gyehwabuin. In other words, to be Seongjusin, the perfect family was made.
      The fact that family order was emphasized for being given the qualification of Seongjusin was able to check in the Seongjupuri. Hwangwuyang finally rebuild Chenhagung, so he showed as Seongjusin, but he was able to be Seongjusin soon. Hwangwuyang recovered all crisis that covered his house and recov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wangwuyang’s wife, and then, could be Seongjusin. The recover of family relationship was the important standard as Seongjusin in Seongjupuri.
      Seongjupuri is description that showed the history the way to be Seongjusin. Seongjusin builds the house and has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order. It emphasized that the family order protection and completion’s importance from Seongjupur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성주풀이>의 구조를 분석하여, 작품에서 강조하고 있는 의미 지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주풀이>에서는 부인을 소박하여 가족을 저버린 주인공을 성주신이 될...

      본고는 <성주풀이>의 구조를 분석하여, 작품에서 강조하고 있는 의미 지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주풀이>에서는 부인을 소박하여 가족을 저버린 주인공을 성주신이 될 수 없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짐승의 형상으로 변화시켜 버린다. 부인을 소박한 주인공은 <성주풀이>에서 강조하는 가족 윤리의 가치를 훼손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이 아닌 짐승으로 치부하는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이 다시 부인을 받아들이고, 가족 관계를 회복하고자 노력하면서 상황은 일순간에 바뀌게 된다. 그의 몸을 뒤덮었던 털은 다시 빠지고, 인간의 형상으로 돌아오게 된 것이다. 가족 질서를 수호하고자 하는 주인공에게는 짐승이 아닌 인간으로서의 자격을 다시 부여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이원적 구조를 통해 강조된 가족 질서의 수호 여부는 성주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 번 강조된다. 서천국으로 돌아온 안심국이 바로 성주신으로서의 직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안심국은 계화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 다섯, 딸 다섯을 낳은 후에야 비로소 성주신으로서의 직능이라고 할 수 있는 집짓기를 시행한다. 즉, 완전한 가족의 완성이 전제되어야 성주신으로 좌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성주풀이>에서 성주신으로의 자격을 부여함에 있어서 가족 질서를 중요시한다는 점은 황우양형 <성주풀이>에서도 확인되는 바이다. 황우양형 <성주풀이>에서 황우양은 천하궁을 재건함으로써 성주신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내지만, 바로 성주신으로 좌정하지 못한다. 황우양은 자신의 집에 처해진 악인의 습격이라는 위기를 모두 극복하고, 황우양부인과 다시 부부관계를 정상으로 돌려놓은 후에야 비로소 성주신으로 좌정하게 된다. 황우양형 <성주풀이>에서도 가족 관계의 회복이 성주신으로의 좌정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는 것이다.
      <성주풀이>는 성주신의 좌정하게 된 내력을 드러내는 서사이다. 성주신은 집을 짓고, 지키는 신으로서 가족 질서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이에 <성주풀이>를 통해 가족 질서의 수호와 완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역설하고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89-322, 2001

      2 김선풍, "한국시가의 민속학적 연구" 형성출판사 1-441, 1977

      3 홍태한, "한국서사무가연구" 민속원 67-82, 2002

      4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 경상남도 편" 문화재관리국 1-913, 1972

      5 김태곤, "한국민속연구논문선 3" 일조각 390-408, 1986

      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 가정신앙 1" 국립민속박물관 1-409, 2011

      7 김태곤, "한국무가집 4" 집문당 1-277, 1980

      8 김태곤, "한국무가집 2" 집문당 1-343, 1979

      9 김태곤, "한국무가집 1" 집문당 1-391, 1979

      10 김선풍, "한국구비문학대계 2-9" 한국학중앙연구원 1-915, 1981

      1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89-322, 2001

      2 김선풍, "한국시가의 민속학적 연구" 형성출판사 1-441, 1977

      3 홍태한, "한국서사무가연구" 민속원 67-82, 2002

      4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 경상남도 편" 문화재관리국 1-913, 1972

      5 김태곤, "한국민속연구논문선 3" 일조각 390-408, 1986

      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 가정신앙 1" 국립민속박물관 1-409, 2011

      7 김태곤, "한국무가집 4" 집문당 1-277, 1980

      8 김태곤, "한국무가집 2" 집문당 1-343, 1979

      9 김태곤, "한국무가집 1" 집문당 1-391, 1979

      10 김선풍, "한국구비문학대계 2-9" 한국학중앙연구원 1-915, 1981

      11 김선풍, "한국구비문학대계 2-1" 한국학중앙연구원 1-938, 1981

      12 최원오, "한국 구비서사시에 나타난 민속적 사실, 그 상상력의 층위와 지향점" 한국구비문학회 (19) : 415-450, 2004

      13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향토연구사 1-227, 1930

      14 赤松智城, "조선무속의 연구 上" 동문선 1-394, 1991

      15 박경신, "울산지방무가자료집 3"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626, 1993

      16 최길성, "영동지방무악 및 구포호랑이굿 :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221, 1971

      17 김난주, "성주풀이의 창조신화적 성격 연구" 동아시아고대학회 6 : 4-112, 2002

      18 서대석, "성주풀이와 춘향가의 비교연구" 판소리학회 1 : 8-25, 1989

      19 김태곤, "성주신의 본향고 : ‘제비원’ 본향계통의 성주무가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21 : 427-436, 1969

      20 배성순, "성주무가의 유형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1

      21 김정원, "성주巫歌의 유형과 표현구조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5

      22 나경수, "성조무가 연구(1) –서사구조와 신화적 성격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어문학연구회 7-8 : 123-153, 1985

      23 신동흔, "살아 있는 우리 신화 : 우리 신들의 귀환을 위한 이야기 열두 마당" 한겨레신문사 1-334, 2004

      24 김영호, "동해안 ‘성주무가’에 나타난 성주의 신적(神的) 면모" 한국어문학회 (131) : 75-103, 2016

      25 기헌손낙범선생회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기헌손낙범선생회갑기념논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604, 1972

      26 신동흔, "경기지역 성주풀이무가의 신화적 성격"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5-6 : 583-605, 1995

      27 유보경, "가신신화에 나타난 인물형상과 신격의 상관관계 : 성주풀이와 문전본풀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5

      28 成吉濟, "城主巫歌의 연구"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7

      29 정제호, "『삼국사기』소재 「도미설화」의 구비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 - 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2 (72): 271-303, 2015

      30 정충권, "<흥부전>과 성조신앙・<성조가>의 관련성과 그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1 : 275-302, 1994

      31 신호림, "<줌치 노래>의 신화적 성격과 민요적 향유 양상" 한국구비문학회 (35) : 335-369, 2012

      32 류정월, "<성주풀이>와 <문전본풀이>에 나타난 가정관" 시학과언어학회 (29) : 31-59,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6-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민속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39 1.04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