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의 청각 인지 반응 -중국인 학습자의 자음 발음을 중심으로- = Korean Native Speakers Auditory Cognitive Reactions to Chinese Korean-learners’ Pronunciation: Centered on the utterance of consonants in the Korea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5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Ji-hyung. 2017. Korean Native Speakers Auditory Cognitive Reactions to Chinese Korean-learners’ Pronunciation: Centered on the utterance of consonants in the Korean Languag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8-2: 37-60. This research has i...

      Kim, Ji-hyung. 2017. Korean Native Speakers Auditory Cognitive Reactions to Chinese Korean-learners’ Pronunciation: Centered on the utterance of consonants in the Korean Languag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8-2: 37-60. This research has its basis with focus on the way Korean native speakers recognize Chinese Korean-learners’ pronunciation.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lay the cornerstone for establishing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the education of the Korean phonetic system.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presented which shows how native speakers of Korean identify Chinese Korean-learners’ pronunciation of consonants. In the first place, stimulation tones were created from the original utterances of Chinese Korean-learners and seven scripts were made through the Pratt program.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what the phonetic materials sounded lik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represented as the ratio of frequency of Korean native speakers’ response to each utterance to the total frequency. In addition, the paired t-test was taken in order to explore any relatedness to the changes in the level of proficiency of the Korean phonetic system, ranging from beginners to advanced learners. The outcome shows that the mistakes which Chinese Korean-learners make in pronouncing the consonants of Korean are relatively well-reflected in Korean native speakers’ auditory cognitive reactions. To put it concretely, there is some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lax consonants from aspirates in the cases of plosives and affricates, but relatively little trouble with fortes.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also a slight difference in relation to articulatory positions in detailed aspects. To provid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Korean phonetic system, it is essential to comprehend learners’ phonetic mistakes through the precise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production.’ Also, a more meticulous observation of ‘phenomena’ must be made through verification from the view of ‘reception,’ as attempted in this study. A more thorough diagnosis by applying methodology makes it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the instruction of the Korean phonetic system.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making such attempts. (Kyung Hee Cyber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남민,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어중 자음군 폐쇄지속시간에 관한 조사와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357-400, 2007

      2 정명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략적 발음 교육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8 : 345-369, 2008

      3 김소야, "한국어 평음/경음/기음에 대한 중국인의 지각적 범주 연구" 이중언어학회 (32) : 57-79, 2006

      4 박성현, "한국어 어두파열음 삼중대립 지각학습 효과 -일본인과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39-160, 2011

      5 박진원, "한·중 여성화자의 한국어 발음의 실험음성학적 대조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6 김지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발달 단계 연구 -단모음의 발음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5, 2012

      7 안미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인식 양상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70) : 33-64, 2016

      8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어/와 /오/에 대한 산출과 지각 상관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8 (28): 1-21, 2017

      9 오재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성 유형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변별 지각 양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57-73, 2013

      10 김부영,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유음 습득 양상 연구" 우리어문학회 (45) : 57-77, 2013

      1 조남민,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어중 자음군 폐쇄지속시간에 관한 조사와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357-400, 2007

      2 정명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략적 발음 교육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8 : 345-369, 2008

      3 김소야, "한국어 평음/경음/기음에 대한 중국인의 지각적 범주 연구" 이중언어학회 (32) : 57-79, 2006

      4 박성현, "한국어 어두파열음 삼중대립 지각학습 효과 -일본인과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39-160, 2011

      5 박진원, "한·중 여성화자의 한국어 발음의 실험음성학적 대조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6 김지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발달 단계 연구 -단모음의 발음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5, 2012

      7 안미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인식 양상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70) : 33-64, 2016

      8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어/와 /오/에 대한 산출과 지각 상관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8 (28): 1-21, 2017

      9 오재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성 유형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변별 지각 양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57-73, 2013

      10 김부영,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유음 습득 양상 연구" 우리어문학회 (45) : 57-77, 2013

      11 백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지각 실제와 효과적인 지도 방안 : 산둥 성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10) : 225-244, 2015

      12 범류,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ㄴ’ 발음의 길이와 F1값에 대한 연구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8 : 57-81, 2008

      13 이석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음성 코퍼스 구축 방안 연구 - 중국어권 화자를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연구회 (33) : 35-53, 2005

      14 장혜진,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한국어 어두 폐쇄음 지각" 언어과학회 (68) : 335-358, 2014

      15 장혜진, "국어 어두 장애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6 孟柱億, "韓中 中間言語의 연구 : 音韻論을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2

      17 김지형,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의 韓國語 子音의 발달 단계 연구 -‘平音:硬音 : 有氣音’의 대립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4 : 433-454, 2013

      18 윤은경, "L1과 L2의 음절구조 차이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지각 실험" 동악어문학회 (64) : 409-43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