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장애의 발생 원인에 대해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 페어베언 등의 견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양극성 장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갖는 데 있다. 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11846
군포 :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 심리상담학과 가족치료 , 2020. 2
2020
한국어
경기도
65 ; 26 cm
지도교수: 김홍근
I804:41034-2000002845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장애의 발생 원인에 대해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 페어베언 등의 견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양극성 장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갖는 데 있다. 양...
본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장애의 발생 원인에 대해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 페어베언 등의 견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양극성 장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갖는 데 있다.
양극성장애에 대한 프로이트와 클라인, 페어베언의 견해의 공통점은 생애초기 유아가 만족스러운 경험을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면 결핍과 박탈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리고 고착된 상태로 형성된 성격과 병리는 성인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좋은 대상 경험의 박탈이 양극성 성향과 같은 병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극성장애에 대한 프로이트와 클라인, 페어베언의 견해 차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이트는 정신 병리의 궁극적 원인을 오이디푸스적 상황에서 찾았으나 페어베언은 유아가 특정한 발달 시기에 좋은 대상관계를 맺는 여부에 달려있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의 병리와 고통의 원인에 대해서도 페어베언과 클라인의 입장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어린 시절의 박탈로 성격과 병리에 영향이 미칠지라도 안정되고 촉진적인 심리적 환경 안에서 상담사를 통해 일관적으로 좋은 대상을 제공 받고 자신의 주이상스를 맞닥뜨릴 때 진정한 애도와 함께 탈동일시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