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한강 유역의 고려전기 불상 연구 = The Study of Early Goryeo's Buddha Sculpture in Namhan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1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mhan River, rises in Odaesan and runs into the Yellow Sea, is long river that passes through the central district of Korea and it has played a essential role as a traffic route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connected waterways. Because of its importance as a core traffic route, Namhan River asin became a gathering point of many resources from early times. This basin was a periphery of Unified Silla so opposing forces of Unified Silla frequently worked and struggled based on this basin. Especially In Goryeo eriod, the capital is directly connected with Namhan River basin by waterways and land routes so the basin became a strategic point.
      There were many buddhist sculptures of Goryeo in amhan River basin and those are usually made by stone or iron. but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accurate date of making because of lack of documents. Until now, studies related with buddhist sculptures of Goryeo usually focused on regional features like Won-ju or Chung-ju's buddhist sculptures.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set a new cultural area called 'Namhan River Basin'. Analyzing
      iconography and style of the basin's buddhist sculpture, finding features of 'Namhan River Basin' and its background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re are many iron sculptures in 'Namhan River Basin', and first feature appeared on this basin's buddhist sculptures is the material of sculptures. iron has difficulty of casting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like gilt-bronze or
      stone. Iron is hard material to transport so that iron mine has to be closely located to cast iron sculpture, too.
      Some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variety of documents verify the existence of iron mines in 'Namhan River Basin'. Also, historical documents shows that the shipping is very active in 'Namhan River Basin' area. the shipping is an important way not only to move materials but to delever a cultural sources, so Namhan River seems to plays a seful role to interchange iconography and style of buddhist sculptures.
      Goryeo Dynasty's intention to control the area along this basin could be founded, too. Establishment of Zen uddhist temple and activity of Zen buddhist monks were frequent through 'Namhan River Basin' in this period. Because Goryeo Dynasty want to control this basin with buddhist belief, several monks were sent from the capital or buddhist sculptures were made frequently in this area.
      Early Goryeo's buddhist sculptures appeared in 'Namhan River Basi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succeed the traditional style of Unified Silla’s buddhist sculpture. This type of sculptures seem to be affected by sculptures of 8th century like Seokgulam’s buddha and those of 9th century. Especially one of the typical
      iconography of Unified Silla’s buddha which indicate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and expose the right shoulder were continually produced until Goryeo and it represented the tradition of Unified Silla.
      Second type is variation of first type. it has iconographic similarities to first type, but the expression of buddha’s face or style of Mudra are different. For example, buddha extended left hand on the knee can be regarded as varied
      Mudra of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Also, the form of enshrining two Vairocana Buddhas as a pair can be regarded as the new style.
      Third type is huge standing buddha sculpture and it appeared from early Goryeo period. This type of sculptures has lack of detail and usually carve hand and foot bigger than a body, those features are thought as features of
      provincial sculpture. And some of those sculptures has new type of Mudra which came from the new iconography. Placing two hands on the knees or raising a right hand on the chest are those examples and Liao’s buddhist
      sculptures also have similar Mudras.
      There are some special features of buddhist sculptures in 'Namhan River Basin' area. firstly, Iron buddha are frequently produced in those area because many iron mines are located at this area. Most of those iron buddhas are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and it seems to be a succession of Unified Silla’s tradition.
      In won-ju area, There were some Vairocana Buddha of Goryeo enshrined as a pair. Those type of enshrinment were founded firstly in Haeinsa and Buseoksa temple in 9th century. Haeinsa, Buseoksa and and Won-ju area were
      the main field of disciples of a great monk Uisang(義湘) and Vairocana Buddha represents the Hwaeom(華嚴) doctrine. Those facts show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ose area and Hwaeom doctrine.
      New Mudras shown in those area seemed to be affected by Liao’s iconography. Goryeo and Liao continued cultural interchange through contacting envoys. New Mudras like placing two hands on the knees or raising a right hand on the chest were introduced into Goryeo under those circumstance.
      번역하기

      Namhan River, rises in Odaesan and runs into the Yellow Sea, is long river that passes through the central district of Korea and it has played a essential role as a traffic route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connected waterways. Because of its importa...

      Namhan River, rises in Odaesan and runs into the Yellow Sea, is long river that passes through the central district of Korea and it has played a essential role as a traffic route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connected waterways. Because of its importance as a core traffic route, Namhan River asin became a gathering point of many resources from early times. This basin was a periphery of Unified Silla so opposing forces of Unified Silla frequently worked and struggled based on this basin. Especially In Goryeo eriod, the capital is directly connected with Namhan River basin by waterways and land routes so the basin became a strategic point.
      There were many buddhist sculptures of Goryeo in amhan River basin and those are usually made by stone or iron. but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accurate date of making because of lack of documents. Until now, studies related with buddhist sculptures of Goryeo usually focused on regional features like Won-ju or Chung-ju's buddhist sculptures.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set a new cultural area called 'Namhan River Basin'. Analyzing
      iconography and style of the basin's buddhist sculpture, finding features of 'Namhan River Basin' and its background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re are many iron sculptures in 'Namhan River Basin', and first feature appeared on this basin's buddhist sculptures is the material of sculptures. iron has difficulty of casting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like gilt-bronze or
      stone. Iron is hard material to transport so that iron mine has to be closely located to cast iron sculpture, too.
      Some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variety of documents verify the existence of iron mines in 'Namhan River Basin'. Also, historical documents shows that the shipping is very active in 'Namhan River Basin' area. the shipping is an important way not only to move materials but to delever a cultural sources, so Namhan River seems to plays a seful role to interchange iconography and style of buddhist sculptures.
      Goryeo Dynasty's intention to control the area along this basin could be founded, too. Establishment of Zen uddhist temple and activity of Zen buddhist monks were frequent through 'Namhan River Basin' in this period. Because Goryeo Dynasty want to control this basin with buddhist belief, several monks were sent from the capital or buddhist sculptures were made frequently in this area.
      Early Goryeo's buddhist sculptures appeared in 'Namhan River Basi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succeed the traditional style of Unified Silla’s buddhist sculpture. This type of sculptures seem to be affected by sculptures of 8th century like Seokgulam’s buddha and those of 9th century. Especially one of the typical
      iconography of Unified Silla’s buddha which indicate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and expose the right shoulder were continually produced until Goryeo and it represented the tradition of Unified Silla.
      Second type is variation of first type. it has iconographic similarities to first type, but the expression of buddha’s face or style of Mudra are different. For example, buddha extended left hand on the knee can be regarded as varied
      Mudra of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Also, the form of enshrining two Vairocana Buddhas as a pair can be regarded as the new style.
      Third type is huge standing buddha sculpture and it appeared from early Goryeo period. This type of sculptures has lack of detail and usually carve hand and foot bigger than a body, those features are thought as features of
      provincial sculpture. And some of those sculptures has new type of Mudra which came from the new iconography. Placing two hands on the knees or raising a right hand on the chest are those examples and Liao’s buddhist
      sculptures also have similar Mudras.
      There are some special features of buddhist sculptures in 'Namhan River Basin' area. firstly, Iron buddha are frequently produced in those area because many iron mines are located at this area. Most of those iron buddhas are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and it seems to be a succession of Unified Silla’s tradition.
      In won-ju area, There were some Vairocana Buddha of Goryeo enshrined as a pair. Those type of enshrinment were founded firstly in Haeinsa and Buseoksa temple in 9th century. Haeinsa, Buseoksa and and Won-ju area were
      the main field of disciples of a great monk Uisang(義湘) and Vairocana Buddha represents the Hwaeom(華嚴) doctrine. Those facts show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ose area and Hwaeom doctrine.
      New Mudras shown in those area seemed to be affected by Liao’s iconography. Goryeo and Liao continued cultural interchange through contacting envoys. New Mudras like placing two hands on the knees or raising a right hand on the chest were introduced into Goryeo under those circumst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남한강은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대하천으로 한반도의 중부지방을 동서로 관통하여 흐르며, 수로뿐만 아니라 연결된 육로들과 함께 한반도 교통축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듯 남한강 유역은 경상도 지역과 중부지역을 연결해주는 교통의 핵심축이었고, 때문에 인적 ․ 물적 자원의 집결지 역할을 하면서 경제적 여건이 풍성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지역은 통일신라의 변방지역으로 822년 김헌창의 난 이후 반신라적 세력들의 활동이 강했고, 그 결과 후삼국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다. 특히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과 수로와 육로를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남한강 유역에는 현재 많은 수의 고려시대 불교조각이 산재해 있다. 여러 지역에서 작품들이 확인되고 있어, 이 지역에서 彫像활동 역시 활발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철불을 비롯해 석불까지 현존하는 고려 불교조각의 수가 80여구에 달하지만, 조성연대나 관련기록을 통해 그 조성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상은 극히 드물다. 지금까지 남한강 유역의 고려 불교조각에 관한 연구는 주로 원주나 충주 등의 특정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작품들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남한강 유역”이라는 새로운 문화권을 설정하고, 해당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고
      려전기 불교조각 작품에 관해 서술하고자 한다. 특히 이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철불과 석불에 관한 분석을 통해 고려전기 불상들의 도상적 ․ 양식적 특징을 확인하고, 이와 함께 “남한강 문화권” 의 형성과 그 배경에 관해 살펴볼 것이다. 특히 여러 구의 고려시대 철불이 조성되고 있는 점과, 조각기법이 우수한 석불들이 다수 남아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남한강 문화권의 형성과 관련해 먼저 짚어볼 것은 鐵이라는 재료와 관련한 부분이다. 금동이나 석조에 비해 그 주조가 어렵고 주원료인 철광석의 채굴과 공급이 제한된 지역에서만 이뤄졌다는 점에서 철산지는 철불조성에 있어 필수적으로확보해야 하는 요소이다. 남한강 유역에서는 충주지역에서 일찍부터 많은 양의 철이 생산되고 있음을 다인철소의 존재와 여러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고고학적인 조사를 통해서도 수십 구의 철산지 유적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역사적인 배경으로는 남한강 수운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漕運의 성립과 시행을 들 수 있다. 조운의 성립과 시행은 인적 ․ 물적 자원의 활발한 이동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자 문화교통로였고, 이는 불교도상 및 양식 교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 같은 시기에 남한강 유역에 많은 수의 선종 사원이 건립되고 禪僧들의 활동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조운과 관련해 이 지역의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한 왕실의 의도가 엿보인다. 고려왕실에서는 이 지역에 고려에 포섭된 선승들을 주지로 파견함으로써 지배권을 확보하고자 했던 것이다. 때문
      에 많은 수의 사원이 고려전기 남한강 유역에서 건립되고, 佛事를 통한 불상조성역시 활발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현존하는 남한강 유역의 고려전기 불상은 크게 통일신라 전통양식의 계승, 전통양식의 변용, 새로운 도상의 등장이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먼저 통일신라의 전통양식을 계승한 유형의 상들은, 석굴암 본존불로 대표되는 8세기 양식이나 9세기에 경상북도 지역에서 조성된 상들에서 그 영향관계를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편단우견의 착의에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는 점에서 통일신라의 전통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외에도 편단우견의 착의 위에 한 겹의 옷을 더 걸친 유형이나 통견의 착의를 한 상들 역시 전통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전통양식을 변용한 유형의 상들은 전통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상들과 착의법이나 수인 등에서는 유사하지만, 세부적으로 얼굴의 표현이나 수인의 형태 등에서 고려적인 요소가 두드러지는 상들이다. 특히 왼손을 무릎 위에서 앞으로 내민 형태의 “변형된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결하고 있거나, “두 구가 함께 조성된 지권인 불상”의 예처럼 봉안형태가 다르다는 점에서 전통양식에 변용을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전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유형으로는 2m 이상의 대형 석불입상을 꼽을 수 있다. 세부표현은 생략되고, 몸에 비해 손발이 크게 표현되는 등 지방색이 강한 점이 특징으로 전체적인 조각수법은 떨어진다. 또, 새로운 형태의 수인을 결한 불상들이 등장하는데, 새로운 도상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두 손을 무릎에 댄 수인”과 “오른손을 가슴까지 들어 올린 수인”은 11-12세기에 조성된 遼代불상에서 처음 확인되는 수인이다.
      유형분류릍 통해 남한강 유역에서 조성된 고려전기 불상의 특징을 몇 가지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이 지역에 철불의 조성이 많다는 점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철산지 분포 및 철소의 운영이라는 재료적인 측면에서 확인된다. 또, 조성된 대부분의 철불이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는 점 역시 특징으
      로, 이것은 통일신라의 전통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주 지역에서는 지권인을 결한 불상이 두 구씩 함께 조성되는 점이 흥미로운데, 이는 9세기 해인사와 부석사 지역에서 처음 확인되는 봉안형태이다. 해인사와 부석사, 원주 지역이 모두 의상의 제자들이 왕성하게 활동했던 지역이라는 점과, 지권인을 결한 비로자나불을 두 구씩 봉안했다는 점에서 화엄사상과의 연관성을추측해 볼 수 있다.
      고려전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수인과 관련해서는 남한강 유역에 요대 도상이 유입되고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와 요는 약100년 간 상시적인 사신왕래와 더불어 활발한 문화교류가 이루어졌는데, 대장경과 불교서적의 전래라는 측면 역시 주목된다. 이런 교류 속에서 “두 손을 무릎에 댄 수인”과 “오른손을 가슴까지 들어 올린 수인”은 고려에 유입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육로를 통해 개경까지 많은 이들이 왕래하게 되는데, 개경에 유입된 요의 도상이 남한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이다. 이처럼 통일신라의 전통적인 양식을 계승함과 동시에, 요의 새로운 도상을 받아들여 혼재되는 모습 역시 특징이다.
      번역하기

      남한강은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대하천으로 한반도의 중부지방을 동서로 관통하여 흐르며, 수로뿐만 아니라 연결된 육로들과 함께 한반도 교통축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남한강은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대하천으로 한반도의 중부지방을 동서로 관통하여 흐르며, 수로뿐만 아니라 연결된 육로들과 함께 한반도 교통축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듯 남한강 유역은 경상도 지역과 중부지역을 연결해주는 교통의 핵심축이었고, 때문에 인적 ․ 물적 자원의 집결지 역할을 하면서 경제적 여건이 풍성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지역은 통일신라의 변방지역으로 822년 김헌창의 난 이후 반신라적 세력들의 활동이 강했고, 그 결과 후삼국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다. 특히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과 수로와 육로를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남한강 유역에는 현재 많은 수의 고려시대 불교조각이 산재해 있다. 여러 지역에서 작품들이 확인되고 있어, 이 지역에서 彫像활동 역시 활발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철불을 비롯해 석불까지 현존하는 고려 불교조각의 수가 80여구에 달하지만, 조성연대나 관련기록을 통해 그 조성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상은 극히 드물다. 지금까지 남한강 유역의 고려 불교조각에 관한 연구는 주로 원주나 충주 등의 특정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작품들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남한강 유역”이라는 새로운 문화권을 설정하고, 해당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고
      려전기 불교조각 작품에 관해 서술하고자 한다. 특히 이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철불과 석불에 관한 분석을 통해 고려전기 불상들의 도상적 ․ 양식적 특징을 확인하고, 이와 함께 “남한강 문화권” 의 형성과 그 배경에 관해 살펴볼 것이다. 특히 여러 구의 고려시대 철불이 조성되고 있는 점과, 조각기법이 우수한 석불들이 다수 남아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남한강 문화권의 형성과 관련해 먼저 짚어볼 것은 鐵이라는 재료와 관련한 부분이다. 금동이나 석조에 비해 그 주조가 어렵고 주원료인 철광석의 채굴과 공급이 제한된 지역에서만 이뤄졌다는 점에서 철산지는 철불조성에 있어 필수적으로확보해야 하는 요소이다. 남한강 유역에서는 충주지역에서 일찍부터 많은 양의 철이 생산되고 있음을 다인철소의 존재와 여러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고고학적인 조사를 통해서도 수십 구의 철산지 유적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역사적인 배경으로는 남한강 수운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漕運의 성립과 시행을 들 수 있다. 조운의 성립과 시행은 인적 ․ 물적 자원의 활발한 이동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자 문화교통로였고, 이는 불교도상 및 양식 교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 같은 시기에 남한강 유역에 많은 수의 선종 사원이 건립되고 禪僧들의 활동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조운과 관련해 이 지역의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한 왕실의 의도가 엿보인다. 고려왕실에서는 이 지역에 고려에 포섭된 선승들을 주지로 파견함으로써 지배권을 확보하고자 했던 것이다. 때문
      에 많은 수의 사원이 고려전기 남한강 유역에서 건립되고, 佛事를 통한 불상조성역시 활발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현존하는 남한강 유역의 고려전기 불상은 크게 통일신라 전통양식의 계승, 전통양식의 변용, 새로운 도상의 등장이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먼저 통일신라의 전통양식을 계승한 유형의 상들은, 석굴암 본존불로 대표되는 8세기 양식이나 9세기에 경상북도 지역에서 조성된 상들에서 그 영향관계를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편단우견의 착의에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는 점에서 통일신라의 전통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외에도 편단우견의 착의 위에 한 겹의 옷을 더 걸친 유형이나 통견의 착의를 한 상들 역시 전통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전통양식을 변용한 유형의 상들은 전통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상들과 착의법이나 수인 등에서는 유사하지만, 세부적으로 얼굴의 표현이나 수인의 형태 등에서 고려적인 요소가 두드러지는 상들이다. 특히 왼손을 무릎 위에서 앞으로 내민 형태의 “변형된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결하고 있거나, “두 구가 함께 조성된 지권인 불상”의 예처럼 봉안형태가 다르다는 점에서 전통양식에 변용을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전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유형으로는 2m 이상의 대형 석불입상을 꼽을 수 있다. 세부표현은 생략되고, 몸에 비해 손발이 크게 표현되는 등 지방색이 강한 점이 특징으로 전체적인 조각수법은 떨어진다. 또, 새로운 형태의 수인을 결한 불상들이 등장하는데, 새로운 도상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두 손을 무릎에 댄 수인”과 “오른손을 가슴까지 들어 올린 수인”은 11-12세기에 조성된 遼代불상에서 처음 확인되는 수인이다.
      유형분류릍 통해 남한강 유역에서 조성된 고려전기 불상의 특징을 몇 가지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이 지역에 철불의 조성이 많다는 점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철산지 분포 및 철소의 운영이라는 재료적인 측면에서 확인된다. 또, 조성된 대부분의 철불이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는 점 역시 특징으
      로, 이것은 통일신라의 전통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주 지역에서는 지권인을 결한 불상이 두 구씩 함께 조성되는 점이 흥미로운데, 이는 9세기 해인사와 부석사 지역에서 처음 확인되는 봉안형태이다. 해인사와 부석사, 원주 지역이 모두 의상의 제자들이 왕성하게 활동했던 지역이라는 점과, 지권인을 결한 비로자나불을 두 구씩 봉안했다는 점에서 화엄사상과의 연관성을추측해 볼 수 있다.
      고려전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수인과 관련해서는 남한강 유역에 요대 도상이 유입되고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와 요는 약100년 간 상시적인 사신왕래와 더불어 활발한 문화교류가 이루어졌는데, 대장경과 불교서적의 전래라는 측면 역시 주목된다. 이런 교류 속에서 “두 손을 무릎에 댄 수인”과 “오른손을 가슴까지 들어 올린 수인”은 고려에 유입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육로를 통해 개경까지 많은 이들이 왕래하게 되는데, 개경에 유입된 요의 도상이 남한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이다. 이처럼 통일신라의 전통적인 양식을 계승함과 동시에, 요의 새로운 도상을 받아들여 혼재되는 모습 역시 특징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남한강 유역의 고려시대 불교조각 4
      • Ⅲ. 남한강 문화권의 형성 11
      • 1. 鐵産地 분포와 충주 多仁鐵所 11
      • 2. 고려시대 漕運과 남한강 14
      • Ⅰ. 머리말 1
      • Ⅱ. 남한강 유역의 고려시대 불교조각 4
      • Ⅲ. 남한강 문화권의 형성 11
      • 1. 鐵産地 분포와 충주 多仁鐵所 11
      • 2. 고려시대 漕運과 남한강 14
      • 3. 寺院의 건립과 왕실의 후원 21
      • Ⅳ. 남한강 유역의 고려전기 불상 28
      • 1. 철불의 조성 현황 28
      • 2. 석불의 조성 현황 46
      • Ⅴ. 남한강 유역 고려전기 불상의 유형분류 60
      • 1. 통일신라 전통양식의 계승 60
      • 1) 편단우견과 항마촉지인 60
      • 2) 편단우견과 편삼 62
      • 3) 통견 63
      • 2. 전통양식의 변용 64
      • 1) 편단우견과 항마촉지인 64
      • 2) 편단우견과 편삼 69
      • 3) 통견 70
      • 3. 석불조성과 新도상의 유입 72
      • 1) 대형 석불입상의 조성 72
      • 2) 새로운 도상의 유입 74
      • Ⅵ. 남한강 유역 고려전기 불상의 특징 78
      • 1. 철불의 조성 78
      • 2. 두 구씩 조성된 지권인 불상 79
      • 3. 遼代 도상의 유입과 전파 83
      • Ⅶ. 맺음말 85
      • 참고문헌 88
      • 삽도목록 94
      • 표 목록 95
      • 도판목록 96
      • 참고도판 99
      • 영문초록 1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