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國人의 地域 間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比較 硏究 = A comparison of interregional communication styles of South Kore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6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硏究의 目的은 韓國人의 地域 간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比較하여 그 特徵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Norton(1983)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 경기․인천, 충청, 전라, 경상 5개 地域 295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結果 다섯 가지 사실을 確認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地域別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差異에서 서울 地域은 非活動的 性向이 강하고, 경상도는 活動的인 性向이 강하며, 충청도는 가장 두 스타일의 差異를 發見하기 어려운 地域이었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韓國人의 응답에서는 논쟁적인 스타일이 정확한 스타일과 지배적인 스타일과 有關하게 묶인다는 것이었다. 세 번째는 지배적인 스타일은 韓國人에게 있어서 정확한 類型이면서 활동적인 類型이었고, 활동적인 類型으로서 지배적인 스타일은 인상적인 스타일과 有關한 관련성을 갖는다는 結果를 얻었다. 이러한 硏究 結果는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地域的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實驗的으로 證明했을 뿐 아니라 地域 間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로 인한 誤解를 解消하기 위한 方法論을 硏究하는 기초자료로 活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硏究의 目的은 韓國人의 地域 간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比較하여 그 特徵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Norton(1983)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 경기․인천, 충청, 전라, 경상 5개 地域 ...

      이 硏究의 目的은 韓國人의 地域 간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比較하여 그 特徵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Norton(1983)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 경기․인천, 충청, 전라, 경상 5개 地域 295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結果 다섯 가지 사실을 確認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地域別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差異에서 서울 地域은 非活動的 性向이 강하고, 경상도는 活動的인 性向이 강하며, 충청도는 가장 두 스타일의 差異를 發見하기 어려운 地域이었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韓國人의 응답에서는 논쟁적인 스타일이 정확한 스타일과 지배적인 스타일과 有關하게 묶인다는 것이었다. 세 번째는 지배적인 스타일은 韓國人에게 있어서 정확한 類型이면서 활동적인 類型이었고, 활동적인 類型으로서 지배적인 스타일은 인상적인 스타일과 有關한 관련성을 갖는다는 結果를 얻었다. 이러한 硏究 結果는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地域的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實驗的으로 證明했을 뿐 아니라 地域 間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로 인한 誤解를 解消하기 위한 方法論을 硏究하는 기초자료로 活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gional communication styles of South Koreans. This study employed the Communication Style Measure (CSM) of Norton (1983) to conduct a survey of295 participants from five regions, who were in 20s.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regional communication styles. First, the communication style in Seoul appeared to be inact style, Gyeongsang-do demonstrated act style, and Chungcheong-do’s style showed hardly any variation from the two styles. Second,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South Korean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contentious style, precise style, and dominant style. Third, in the case of South Koreans, the dominant style appeared to be precise and act. Here, the dominant style, as the act styl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ressive style. Finally, the survey of the stable style had no significance with regard to South Korea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gional communication styles of South Koreans. This study employed the Communication Style Measure (CSM) of Norton (1983) to conduct a survey of295 participants from five regions, who were i...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gional communication styles of South Koreans. This study employed the Communication Style Measure (CSM) of Norton (1983) to conduct a survey of295 participants from five regions, who were in 20s.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regional communication styles. First, the communication style in Seoul appeared to be inact style, Gyeongsang-do demonstrated act style, and Chungcheong-do’s style showed hardly any variation from the two styles. Second,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South Korean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contentious style, precise style, and dominant style. Third, in the case of South Koreans, the dominant style appeared to be precise and act. Here, the dominant style, as the act styl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ressive style. Finally, the survey of the stable style had no significance with regard to South Korea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희, "호텔 종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라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6 (16): 179-197, 2014

      2 박혜인,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15) : 7-57, 2011

      3 이유미, "한국과 중국 20대 대학생의 수사적 민감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0 (20): 343-365, 2012

      4 김정기,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동기, 주목도, 만족감, 교육효과의 관계" 한국소통학회 (18) : 202-234, 2012

      5 이두원,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의사소통 문제의 유형과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45 (45): 232-265, 2000

      6 서판수,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환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7 (7): 57-101, 2002

      7 연광호,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레포, 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9 (19): 41-57, 2011

      8 박재현, "수사적 민감성 척도를 활용한 세대별 의사소통 양상 분석" 한국화법학회 (22) : 329-354, 2013

      9 손장윤, "선박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갈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 30 (30): 59-87, 2014

      10 권세정,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비서의 레포, 신뢰 및 상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1-24, 2014

      1 이상희, "호텔 종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라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6 (16): 179-197, 2014

      2 박혜인,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15) : 7-57, 2011

      3 이유미, "한국과 중국 20대 대학생의 수사적 민감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0 (20): 343-365, 2012

      4 김정기,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동기, 주목도, 만족감, 교육효과의 관계" 한국소통학회 (18) : 202-234, 2012

      5 이두원,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의사소통 문제의 유형과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45 (45): 232-265, 2000

      6 서판수,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환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7 (7): 57-101, 2002

      7 연광호,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레포, 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9 (19): 41-57, 2011

      8 박재현, "수사적 민감성 척도를 활용한 세대별 의사소통 양상 분석" 한국화법학회 (22) : 329-354, 2013

      9 손장윤, "선박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갈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 30 (30): 59-87, 2014

      10 권세정,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비서의 레포, 신뢰 및 상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1-24, 2014

      11 김정기, "교수자와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요인과 교육효과의 관계"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2 (22): 65-93, 2014

      12 Wanzer, M. B., "Teacher socio‐communicative style as a correlate of student affect toward teacher and course material" 47 (47): 43-52, 1998

      13 Watzlawick, Paul, "Pragmatics of Human Communication" W. W Norton & Co Inc 1967

      14 Norton, R. W., "Foundation of a communicator style construct" 4 (4): 99-112, 1978

      15 Brown, T., "Factor structure of the Communicator Styles Measure(CSM)when used with undergraduate health science students" 27 (27): 363-372, 2013

      16 Anderson, K. A.,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or style and immediacy in the college classroom" Texas Tech University 1999

      17 Bradley, G., "Doctor communication style and patient outcomes : Gender and age as moderators" 31 (31): 1749-1773, 2001

      18 Norton, R. W., "Communicator style as an effect determinant of attraction" 4 (4): 257-282, 1977

      19 Norton, R. W., "Communicator Style:Theory, Applications, and Measures" Sage Publications 1983

      20 Richmond, V. P., "Communication yearbook, 3" 359-373, 1979

      21 Allen, J. L., "Communication Style And The Managerial Effectiveness Of Male And Female Supervisors" 4 (4): 7-1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