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국부인긔 녹」 연구 - 「이왜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An Analysis of <연국부인긔 녹> -By Comparision with <LiWazhu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6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국부인기행록> is an integrity Korean fiction. This fiction is based on Tang's biography fiction <LiWazhuan>. however, compare to <LiWazhuan> it is showing quite different aspect in detail. Which means <연국부인기행록> accepted <LiWazhuan>and gave it its own change. At this point, <연국부인기행록> is an important reference of how Tang Dynasty biography fiction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Korean classical novel tradition.
      In this study, the object will be closely compare this two novels and to define the content feature and its meaning. <연국부인기행록> and <LiWazhuan> are correspond closely in basic epic paragraph. At this point, <연국부인기행록> is faithful to the original novel, but also created to fit the Korean fiction and the sole purpose was at unconditional love. Again, by setting up precognitive dream, growth process, hardship and saviour for the main character, made main character life structure to be district feature of Korean fictional biography.
      By eliminating the beginning and behind-the-scene story, it took away pursue the fact of building <연국부인기행록> independent. It makes this made up story exist as an individual novel.
      번역하기

      <연국부인기행록> is an integrity Korean fiction. This fiction is based on Tang's biography fiction <LiWazhuan>. however, compare to <LiWazhuan> it is showing quite different aspect in detail. Which means <연국부인기행...

      <연국부인기행록> is an integrity Korean fiction. This fiction is based on Tang's biography fiction <LiWazhuan>. however, compare to <LiWazhuan> it is showing quite different aspect in detail. Which means <연국부인기행록> accepted <LiWazhuan>and gave it its own change. At this point, <연국부인기행록> is an important reference of how Tang Dynasty biography fiction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Korean classical novel tradition.
      In this study, the object will be closely compare this two novels and to define the content feature and its meaning. <연국부인기행록> and <LiWazhuan> are correspond closely in basic epic paragraph. At this point, <연국부인기행록> is faithful to the original novel, but also created to fit the Korean fiction and the sole purpose was at unconditional love. Again, by setting up precognitive dream, growth process, hardship and saviour for the main character, made main character life structure to be district feature of Korean fictional biography.
      By eliminating the beginning and behind-the-scene story, it took away pursue the fact of building <연국부인기행록> independent. It makes this made up story exist as an individual no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사본 국문소설인 「연국부인기행록」은 唐傳奇 소설 「李娃傳」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이왜전」과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연국부인기행록」이 「이왜전」을 수용하면서도 나름의 변용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국부인기행록」은 당나라 전기가 한국 고전소설 전통 속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변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작품의 내용을 면밀하게 비교한 후 이를 통하여 「연국부인기행록」만이 가지고 있는 내용적 특징을 밝히고 그것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국부인기행록」의 기본 서사단락이 「이왜전」과 거의 일치한 점을 볼 때 「연국부인기행록」은 원작에 충실하면서 또한 한국 고전소설특징에 맞게 창작되면서 지향점을 조건 없는 사랑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 남주인공의 태몽과 성장과정, 고난과 구원자를 설정하여 한국고전소설의 특징인 주인공 일대기 구조를 만들었다.
      번역하기

      필사본 국문소설인 「연국부인기행록」은 唐傳奇 소설 「李娃傳」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이왜전」과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연국부인기행록」이 ...

      필사본 국문소설인 「연국부인기행록」은 唐傳奇 소설 「李娃傳」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이왜전」과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연국부인기행록」이 「이왜전」을 수용하면서도 나름의 변용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국부인기행록」은 당나라 전기가 한국 고전소설 전통 속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변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작품의 내용을 면밀하게 비교한 후 이를 통하여 「연국부인기행록」만이 가지고 있는 내용적 특징을 밝히고 그것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국부인기행록」의 기본 서사단락이 「이왜전」과 거의 일치한 점을 볼 때 「연국부인기행록」은 원작에 충실하면서 또한 한국 고전소설특징에 맞게 창작되면서 지향점을 조건 없는 사랑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 남주인공의 태몽과 성장과정, 고난과 구원자를 설정하여 한국고전소설의 특징인 주인공 일대기 구조를 만들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아, "환상․욕망․이데올로기-당대 애정류 전기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8

      2 조광국, "한국 문화와 기녀" 월인 2006

      3 박일용, "조선후기 애정소설의 서술시각과 서사세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4 배병균, "이왜(李娃)인물형상의 변천에 관한 소고(小考)" 44 (44): 95-113, 2012

      5 조광국, "기녀담 기녀등장소설 연구" 월인 2002

      6 최진아, "기녀,연國夫人이 되다 -唐 傳奇 <李娃傳>에 대한 또다른 독해-" 영남중국어문학회 (45) : 283-298, 2005

      7 최진아, "근간으로서의 唐帝國 문화와 동아시아적 변용" 중국어문학회 (42) : 103-129, 2013

      8 金起東, "筆寫本 古典小說全集 卷二十一" 亞細亞文化社 423-458, 1980

      9 兪炳甲, "白行簡의 <李娃傳> 硏究" (7) : 141-161, 2006

      10 李 昉, "太平廣記 20" 學古房 225-249, 2004

      1 최진아, "환상․욕망․이데올로기-당대 애정류 전기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8

      2 조광국, "한국 문화와 기녀" 월인 2006

      3 박일용, "조선후기 애정소설의 서술시각과 서사세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4 배병균, "이왜(李娃)인물형상의 변천에 관한 소고(小考)" 44 (44): 95-113, 2012

      5 조광국, "기녀담 기녀등장소설 연구" 월인 2002

      6 최진아, "기녀,연國夫人이 되다 -唐 傳奇 <李娃傳>에 대한 또다른 독해-" 영남중국어문학회 (45) : 283-298, 2005

      7 최진아, "근간으로서의 唐帝國 문화와 동아시아적 변용" 중국어문학회 (42) : 103-129, 2013

      8 金起東, "筆寫本 古典小說全集 卷二十一" 亞細亞文化社 423-458, 1980

      9 兪炳甲, "白行簡의 <李娃傳> 硏究" (7) : 141-161, 2006

      10 李 昉, "太平廣記 20" 學古房 225-249, 2004

      11 李 昉, "太平廣記" 啓明文化社 3985-3991, 1982

      12 朴亭順, "唐传奇浅论-以 <李娃传> 为中心" (22) : 209-230, 2004

      13 司豔華, "≪李娃傳≫ 與 ≪玉堂春落難逢夫≫ 比較分析" (15) : 1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