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n the Need for Untact Communities for the Depressed Elderly in a Post-Aged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4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expects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or older to increase rapidly to 16.5% in 2021, 20.3% in 2025, and 43.9% in 2060. The life expectancy of domestic survivors is 1.8 years h...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expects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or older to increase rapidly to 16.5% in 2021, 20.3% in 2025, and 43.9% in 2060. The life expectancy of domestic survivors is 1.8 years higher for women and 0.8 years for men than the average 65-year-old survivor of the OECD, so the relatively fast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entails various problems. As we enter a super-aged society,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s increasing due to complex problems such as economic activity, social activity, and the absence of care provid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form the practical situation of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and the need for a depression-free community for the elderly, whose depression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sudden COVID-19.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elderly people who are alienated due to overlapping COVID-19 situations in a super-aged society and are depressed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or social activities, and elderly people who are unable to go out or engage in external community activities due to COVID-19. First, after examining the aging and aging depress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n examine how the global paradigm has changed due to COVID-19. Second, a current status survey is conducted on Seongnam-si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ird, it examines domestic and foreign untact communities and derives and analyzes the reasons and limitations of cases that need to be switched from face-to-face.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for the depressed elderly in the rapidly aging society is as follows. First, as the face-to-face community, which was possible due to social distancing due to Corona 19, became impossible, the elderly were only able to sit on the street. Through this, analysis can check various types of types. Second, various untact communities are provided to the depressed elderly due to social disconnection, but there seems to be an urgent need for untact human interaction rather than unilateral use and experi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face-to-face community for the better life of the elderly in need due to physical problems and COVID-19, it is hoped that support such as digital device distribution and education will be activated nationwide in the future, and many studies will be condu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애 ; 최승미 ; 박경애 ; 김연신 ; 최삼영 ; 김혜은, "코로나 팬데믹 위기 속을 살아가는 노인의 경험에 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연구 -탑골공원 이용 남성 노인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6 (6): 19-45, 2021

      2 도수관 ; 박기묵, "초고령화 사회의 고령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과 고령자 빈곤 완화의 관계: 고령자의 주관적 웰빙과 경제 상황 인식, 노후 사회보장과 객관적 소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4 (54): 311-348, 2020

      3 성은미, "지도로 보는 경기도 복지시설 현황" 경기복지재단 2019

      4 홍희수 ; 박민구 ; 진향양 ; 구유리, "언택트(Un-tact) 시대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는 온·오프라인 시니어 디지털 교육 플랫폼 ‘디지털 사랑방’ 서비스디자인 제안" 디자인연구소 20 (20): 53-70, 2021

      5 이예진 ; 노영민 ; 김진욱 ; 하영은 ; 이주현 ; 노진원, "사회적 배제와 중·고령 노인 우울의 연관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93-301, 2019

      6 김춘남 ; 박수현, "비대면시대의 허약노인을 위한 셀프케어 지원 방안"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2 (12): 189-196, 2020

      7 최정현 ; 최소연,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49-58, 2021

      8 한지나, "노인의 경제활동과 우울 증상의 관계: 노년기 경제활동에 대한 태도의 조절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4 (74): 93-116, 2019

      9 이충훈, "고령화시대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충남발전연구원 2011

      10 김형기, "고령화 과제 해결을 위한 노년학(Gerontology)의 역할"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9 (29): 53-101, 2018

      1 김지애 ; 최승미 ; 박경애 ; 김연신 ; 최삼영 ; 김혜은, "코로나 팬데믹 위기 속을 살아가는 노인의 경험에 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연구 -탑골공원 이용 남성 노인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6 (6): 19-45, 2021

      2 도수관 ; 박기묵, "초고령화 사회의 고령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과 고령자 빈곤 완화의 관계: 고령자의 주관적 웰빙과 경제 상황 인식, 노후 사회보장과 객관적 소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4 (54): 311-348, 2020

      3 성은미, "지도로 보는 경기도 복지시설 현황" 경기복지재단 2019

      4 홍희수 ; 박민구 ; 진향양 ; 구유리, "언택트(Un-tact) 시대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는 온·오프라인 시니어 디지털 교육 플랫폼 ‘디지털 사랑방’ 서비스디자인 제안" 디자인연구소 20 (20): 53-70, 2021

      5 이예진 ; 노영민 ; 김진욱 ; 하영은 ; 이주현 ; 노진원, "사회적 배제와 중·고령 노인 우울의 연관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93-301, 2019

      6 김춘남 ; 박수현, "비대면시대의 허약노인을 위한 셀프케어 지원 방안"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2 (12): 189-196, 2020

      7 최정현 ; 최소연,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49-58, 2021

      8 한지나, "노인의 경제활동과 우울 증상의 관계: 노년기 경제활동에 대한 태도의 조절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4 (74): 93-116, 2019

      9 이충훈, "고령화시대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충남발전연구원 2011

      10 김형기, "고령화 과제 해결을 위한 노년학(Gerontology)의 역할"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9 (29): 53-101, 2018

      11 박진경, "고령친화도시 조성 지원을 위한초고령사회 전북 노인복지모델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0

      12 전진영 ; 신창섭, "간접적 산림체험이 인체의 심리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420-427, 2017

      13 강유경, "2021 고령자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