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진건의 문학적 후견인과 개인적 재능 - 「희생화」, 「지새는 안개」를 중심으로 - = Hyeon Jin-Geon's Literary Patrons and Personal Talent - With a focus on his Sacrificial Flowers and Overnight Fo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8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현진건의 어린 시절을 보냈던 대구와 작가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인물[후견인]들에 대해 자전적 소설을 토대로 논의했다. 주 논의 대상으로는 단편소설 「희생화」와 「지새는 안개...

      이 글은 현진건의 어린 시절을 보냈던 대구와 작가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인물[후견인]들에 대해 자전적 소설을 토대로 논의했다. 주 논의 대상으로는 단편소설 「희생화」와 「지새는 안개」이다. 현진건의 첫 소설 「희생화」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가족사적 비극을 내포한 작품이다. 「희생화」는 <개벽사> 문예부장이던 당숙 현희운의 주선으로 <개벽>지에 발표되었다. 이 소설에서 독립운동가였던 셋째 형 현정건의 결혼 파탄의 시초와 해외 망명의 동기를 추정케 한다. 「지새는 안개」에서는 현진건이 기자로서 취업하게 되는 과정에서의 후원자를 얘기하고 있다. 「지새는 안개」를 통해 그간 알려져 있지 않았던 현진건과 숙부 현영운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희생화」, 「지새는 안개」는 현진건 형제와 서울 친척들 간의 긴밀한 유대가 드러난 작품으로 논의한다. 이 두 소설의 등장인물에게는 대구가 고향이라는 의미와 함께 가족사의 위기를 내포한 공간이다. 하지만 현진건이 개인적 재능과 성공한 작가로서 뒤돌아 본 대구는 빼앗긴 땅, 빈곤의 땅으로서 민족사의 비극을 담아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현진건의 수필 「여름과 맨발」을 통해 현진건의 빈곤 소재 작품에 나타는 빈곤층에 대한 체험적 통찰과 연민을 살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Daegu, where Hyeon Jin-geon spent his childhood, and the contributors patrons who contributed to his growth as a writer based on his short stories “Sacrificial Flowers” and “Overnight Fog.” . His first short story, “Sacr...

      This study discusses Daegu, where Hyeon Jin-geon spent his childhood, and the contributors patrons who contributed to his growth as a writer based on his short stories “Sacrificial Flowers” and “Overnight Fog.” . His first short story, “Sacrificial Flowers,” involves a mysterious tragedy in the history of his family. It was published in Gaebyeok thanks to the arrangement made by Hyeon Hee-woon, his uncle and the head of the literature department at Gaebyeoksa. This story hints at the beginning of the failed marriage of his third brother, Hyeon Jeong-geon, who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his motivation for going into exile overseas. “Overnight Fog” depicts Hyeon Jin-geon's employment as a reporter. This story also reveals the whereabouts of Hyeon Yeong-woon, another uncle of his, who had been unknown to the public. Both the stories show the close relationships and solidarity among his brothers and relatives in Seoul. Daegu is not only the author's the home town, but it also symbolizes the crisis of their family history to the characters of the stories. Looking back on the city as a successful writer , however, Hyeon Jin-geon saw Daegu as a land that had been taken away, a town of poverty, and a placeholder for the tragedy of Korea's national history. He expresses his experiential insight into and compassion for the poor in his essay “Summer and Bare Feet” as well as in other wo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 두산 동아 2005

      2 현진건, "현진건 전집 6" 국학자료원 175-177, 2004

      3 현진건, "현진건 전집 1" 국학자료원 2004

      4 현길언, "현진건 소설 연구" 이우출판사 1989

      5 김구중, "현진건 "고향"의 배경 연구" 한국문학과이론비평학회 1 : 1997

      6 현진건, "첫 기고의 회고, 『開闢』 時代를 追憶하며, 當時에 執筆하든 諸氏의 紀念執筆" 30 : 1930

      7 김우종, "집약의 상황도" 1 (1): 1964

      8 현진건, "지새는 안개" 38 : 1923

      9 손숙경, "조선후기 중인 역관의 동래 파견과 川寧 玄氏 현덕윤 역관 家系의 분화, 그리고 중인 金範禹 후손들의 밀양 이주" 부산경남사학회 (100) : 1-37, 2016

      10 李尙奎, "조선후기 川寧玄氏家의 譯官活動" 한일관계사학회 (20) : 2004

      1 국사편찬위원회,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 두산 동아 2005

      2 현진건, "현진건 전집 6" 국학자료원 175-177, 2004

      3 현진건, "현진건 전집 1" 국학자료원 2004

      4 현길언, "현진건 소설 연구" 이우출판사 1989

      5 김구중, "현진건 "고향"의 배경 연구" 한국문학과이론비평학회 1 : 1997

      6 현진건, "첫 기고의 회고, 『開闢』 時代를 追憶하며, 當時에 執筆하든 諸氏의 紀念執筆" 30 : 1930

      7 김우종, "집약의 상황도" 1 (1): 1964

      8 현진건, "지새는 안개" 38 : 1923

      9 손숙경, "조선후기 중인 역관의 동래 파견과 川寧 玄氏 현덕윤 역관 家系의 분화, 그리고 중인 金範禹 후손들의 밀양 이주" 부산경남사학회 (100) : 1-37, 2016

      10 李尙奎, "조선후기 川寧玄氏家의 譯官活動" 한일관계사학회 (20) : 2004

      11 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적 상상" 대구대학교 2008

      12 최차호, "조선 후기 왜어 역관 현덕윤 연구" 18 : 2014

      13 윤치호, "윤치호영문일기(번역)"

      14 김형목, "우산 윤현진 일가(一家)의 민족운동" 한국민족사상학회 13 (13): 93-130, 2019

      15 "영조실록 107, 영조 42년 8월 5일, <기사>"

      16 현인채, "연주현씨 세보, 연활자본"

      17 백기만, "씨뿌리는 사람들" 문화서점 1959

      18 "신여성, 1933.3"

      19 "신가정, 1933.3"

      20 "별건곤 제4호, 1927.2.1"

      21 이광수, "무정" 문학사상사 1989

      22 "매일신보, 1916.5.5"

      23 "대한협회회보 제12호"

      24 "대한매일신보, 1908.1.1"

      25 현진건, "녀름情趣, 녀름情緖" (14) : 1928

      26 현길언, "가난에 대한 소설적 인식-현진건의 경우"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1986

      27 草士, "現代女流思想家들(3), 붉은 戀愛의 主人公들" 삼천리사 17 : 1931

      28 황석우, "犧牲花와 新詩를 읽고" 6 : 1920

      29 이상화, "文壇側面觀, 創作意義缺乏에 대한 考察과 企待" 58 : 1925

      30 현철, "批評을 알고 批評을 하라, 時事新聞의 微蛻君과 **잇는 黃君에게 答" 6 : 1920

      31 이익상, "憑虛君의 <貧妻>와 牧星君의 <그날밤>을 읽은 印像" 11 : 1921

      32 백두산인, "己未春變裝出境昔日은 花柳名聲-六年間消息업는玄桂玉來歷(1)"

      33 백두산인, "己未春變裝出境昔日은 花柳名聲-六年間消息업는玄桂玉來歷(1)"

      34 현진건, "<開闢>時代를 追憶하며, 當時에 執筆하든 諸氏의 紀念執筆" 30 : 1930

      35 최수일, "1920년대 문학과 『개벽』의 위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