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기능의 박물관 공간계획 : 수원 화성박물관 계획을 중심으로 = (The) Museum Plan of Complex Cultural Function for Activation Local-Culture : The Design for the Suwon Hwa-Sung Mus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139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의 박물관은 고정된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과 역할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전시와 수장의 개념이 주를 이루면서 권위적인 모습으로 인식되던 박물관들은 현대에 들어와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대중과 접촉하고자 시도하며 그 개념 또한 다양하고 전문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사람들의 문화에 대한 욕구가 심화되어 가고 문화에 대한 경험이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박물관의 역할 또한 단순히 전시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대중과 함께 커뮤니케이션 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흥미로운 장소로의 변화를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방화, 세계화의 물결로 인하여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각 지역에서는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최대한 살려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었으며 이러한 것은 지역문화시설과 연계되면서 더욱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현대의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을 가지는 박물관은 지역사회의 환경을 활용하여 그 지역의 특성과 연계되어 독특성과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형태로 계획되어져야 한다. 기능적으로 획일화된 지역문화시설로서의 박물관이기 보다는 개개 지역의 역사, 환경과 연계되고 각 지역의 이미지를 살려 자부심을 살릴 수 있도록 일상 공간 내에서 생산적이고 특화된 삶의 공간으로서의 박물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나아가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며 재생시키는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계획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는 수원화성을 배경으로 수원화성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지역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문화시설로서의 박물관을 계획하고자 하며, 그 공간구성에 있어서도 수원화성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침체된 지역문화를 지원하는 공간이 되고자 계획하였다.
      현재 수원화성은 지역문화유산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과 낙후로 인해 지역사회가 점차 침체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들을 보호, 육성하여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살리고 내외적 교류를 촉진시켜 줄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되어지므로 공간구성에 있어 교육시설의 기능을 강화하여 인근 학교와 연계, 낙후되어가는 주변 환경을 교육과 함께 재정비하는 계기가 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화성과 지역문화유산의 자연전시로 인한 전시공간의 축소와 함께 외부와 내부가 시각적인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순회동선을 두어 공간의 전체를 순회하면서 외부의 문화유산과 내부의 전시 및 교육자료 들을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등 수원화성 지역에 맞게 특화되고 전문성 있게 계획하였다.
      이상의 계획은 개개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응용될 수 있으나 수원화성지역을 모델로 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복합문화공간의 박물관을 계획함으로써 지역박물관의 공간계획에 있어 보다 다양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의 박물관은 고정된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과 역할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전시와 수장의 개념이 주를 이루면서 권위적인 모습으로 인식되던 박물관들은 현대에 들어와서...

      현대의 박물관은 고정된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과 역할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전시와 수장의 개념이 주를 이루면서 권위적인 모습으로 인식되던 박물관들은 현대에 들어와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대중과 접촉하고자 시도하며 그 개념 또한 다양하고 전문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사람들의 문화에 대한 욕구가 심화되어 가고 문화에 대한 경험이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박물관의 역할 또한 단순히 전시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대중과 함께 커뮤니케이션 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흥미로운 장소로의 변화를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방화, 세계화의 물결로 인하여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각 지역에서는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최대한 살려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었으며 이러한 것은 지역문화시설과 연계되면서 더욱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현대의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을 가지는 박물관은 지역사회의 환경을 활용하여 그 지역의 특성과 연계되어 독특성과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형태로 계획되어져야 한다. 기능적으로 획일화된 지역문화시설로서의 박물관이기 보다는 개개 지역의 역사, 환경과 연계되고 각 지역의 이미지를 살려 자부심을 살릴 수 있도록 일상 공간 내에서 생산적이고 특화된 삶의 공간으로서의 박물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나아가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며 재생시키는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계획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는 수원화성을 배경으로 수원화성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지역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문화시설로서의 박물관을 계획하고자 하며, 그 공간구성에 있어서도 수원화성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침체된 지역문화를 지원하는 공간이 되고자 계획하였다.
      현재 수원화성은 지역문화유산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과 낙후로 인해 지역사회가 점차 침체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들을 보호, 육성하여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살리고 내외적 교류를 촉진시켜 줄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되어지므로 공간구성에 있어 교육시설의 기능을 강화하여 인근 학교와 연계, 낙후되어가는 주변 환경을 교육과 함께 재정비하는 계기가 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화성과 지역문화유산의 자연전시로 인한 전시공간의 축소와 함께 외부와 내부가 시각적인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순회동선을 두어 공간의 전체를 순회하면서 외부의 문화유산과 내부의 전시 및 교육자료 들을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등 수원화성 지역에 맞게 특화되고 전문성 있게 계획하였다.
      이상의 계획은 개개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응용될 수 있으나 수원화성지역을 모델로 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복합문화공간의 박물관을 계획함으로써 지역박물관의 공간계획에 있어 보다 다양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museum is changed against fixed concept.
      It is getting specialized and diversed. In other words, it doesn't have any authority. It approaches closer to people.
      According to our living environment, people need to experience cultures and have an interesting place for communication.
      People want to fill up their conditions from the modern museum.
      And also each region startes to develope the regional property through culture facilities.
      The modern museum which has a function of complex culture is planned to connect with a regional special quality
      Instead of region - culture facilities, museum should be a place that has regional history and images.
      This plan is focused on Suwon Hwa Sung appointed the UNESCO culture heritage.
      To preserve the culture heritage of Suwon Hwa Sung and use regional facilities from museum, it is planned.
      Nowadays Suwon Hwa Sung is getting worse because of indiscreeted development and regional backwardness.
      To make better, the reinforcement of space is demanded for region-culture development. It will be repreparated about education facilities and region-culture identity.
      According to the natural exhibition of region-culture heritage and Hwa Sung, it'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side and outside.
      People can recognize the outside's cultural heritage and inside's exhibition or educational references without difficulties.
      A plan shows basic materials of regional museum through Suwon Hwa Sung region.
      번역하기

      The modern museum is changed against fixed concept. It is getting specialized and diversed. In other words, it doesn't have any authority. It approaches closer to people. According to our living environment, people need to experience cultures and ha...

      The modern museum is changed against fixed concept.
      It is getting specialized and diversed. In other words, it doesn't have any authority. It approaches closer to people.
      According to our living environment, people need to experience cultures and have an interesting place for communication.
      People want to fill up their conditions from the modern museum.
      And also each region startes to develope the regional property through culture facilities.
      The modern museum which has a function of complex culture is planned to connect with a regional special quality
      Instead of region - culture facilities, museum should be a place that has regional history and images.
      This plan is focused on Suwon Hwa Sung appointed the UNESCO culture heritage.
      To preserve the culture heritage of Suwon Hwa Sung and use regional facilities from museum, it is planned.
      Nowadays Suwon Hwa Sung is getting worse because of indiscreeted development and regional backwardness.
      To make better, the reinforcement of space is demanded for region-culture development. It will be repreparated about education facilities and region-culture identity.
      According to the natural exhibition of region-culture heritage and Hwa Sung, it'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side and outside.
      People can recognize the outside's cultural heritage and inside's exhibition or educational references without difficulties.
      A plan shows basic materials of regional museum through Suwon Hwa Sung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국문초록 = Ⅰ
      • 표목차 = Ⅵ
      • 그림목차 = Ⅶ
      • ■제1장 서론 = 1
      • 목차 = Ⅲ
      • 국문초록 = Ⅰ
      • 표목차 = Ⅵ
      • 그림목차 = Ⅶ
      • ■제1장 서론 = 1
      • 1-1. 계획의 배경과 목적 = 1
      • 1-2. 계획의 범위와 방법 = 2
      • ■제2장 지역문화 활성화의 개념과 의의 = 4
      • 2-1. 지역문화의 개념 = 4
      • 2-2. 지역문화 활성화의 목적과 의의 = 4
      • 2-3. 지역문화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 2-3-1. 지역문화시설의 개념 = 5
      • 2-3-2. 지역문화시설의 영역과 방향 = 7
      • 2-4. 지역사회에서 박물관의 역할 및 특성 = 8
      • ■제3장 현대 학물관의 복합문화공간화 = 11
      • 3-1. 박물관의 변화와 역할 = 11
      • 3-2. 현대 박물관의 복합문화 공간화 = 13
      • 3-2-1. 다양성 = 13
      • 3-2-2. 전문성 = 13
      • 3-2-3. 유기적 연계성 = 14
      • 3-2-4. 공공성 = 14
      • 3-3. 소결 = 15
      • 3-4.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한 복합문화기능의 박물관 사례분석 = 16
      • 3-4-1. 지역특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시도 - 빌바오 구겐하임 뮤지엄 = 16
      • 3-4-2. 지역문화에 관한 전문적인 프로그램 구성 - Rose Center = 18
      • 3-4-3. 지역문화와 박물관의 유기적 연계성 - Queens Museum of Art = 20
      • 3-4-4. 지역사회 Community 형성의 장 - 루브르 박물관 피라미드 계획 = 22
      • 3-5. 종합소결 = 24
      • 3-6. 계획박물관(수원화성박물관)의 공간구성 개념 = 25
      • ■제4장 수원화성박물관 계획개념 = 26
      • 4-1. 프로그래밍 = 26
      • 4-1-1. 수원화성의 문헌적 고찰 = 26
      • 4-1-2. 문화유산으로서의 의의 = 26
      • 4-2. 계획 개요 = 28
      • 4-2-1. 입지적 특성 = 28
      • 4-2-2. 관련법규 = 32
      • 4-2-3. 공간구성 및 프로그램 = 33
      • 4-2-4. 면적비율 = 35
      • 4-3. 디자인 개념 (Design Concept) = 36
      • 4-4. 디자인 표현 = 37
      • 4-5. 디자인 목표 = 40
      • ■제5장 수원화성박물관 계획안 = 41
      • 5-1. 계획의 전개 = 41
      • 5-1-1. 배치 개념 = 41
      • 5-1-2. 동선 및 층별 조닝계획 = 42
      • 5-2. 평면계획 = 43
      • 5-3. 천장 및 조명계획 = 45
      • 5-4. 입면 및 단면계획 = 47
      • 5-5. 공간분석 = 48
      • 5-6. 전시공간구성계획 = 49
      • 5-6-1. 전시기본방향 및 주제 = 49
      • 5-6-2. 전시 스토리라인 = 51
      • 5-6-3. 전시공간계획 = 52
      • 5-6-4. 전시연출계획 및 전시기법 = 66
      • 5-7. 세부계획 = 72
      • 5-7-1. 마감계획 = 72
      • 5-7-2. 가구 및 집기계획 = 73
      • 5-7-3. 조명계획 = 75
      • 5-8. 전시패널 -1 = 76
      • 5-9. 모형사진 = 78
      • ■제6장 결론 = 79
      • 참고문헌 = 81
      • Abstract =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