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급되고 이를 통한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 활발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장소나 시간을 가리지 않고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실생활공간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63410
고양 :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박사) --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 정보통신공학과 정보공학 , 2021. 2
2021
한국어
경기도
130 ; 26 cm
지도교수: 권용진
I804:41048-2000003760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급되고 이를 통한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 활발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장소나 시간을 가리지 않고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실생활공간에 ...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급되고 이를 통한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 활발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장소나 시간을 가리지 않고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실생활공간에 관련된 정보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주변의 정보를 검색하여 카메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는 Augmented Reality 기반의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카메라 영상 위에 POI 등의 정보를 중첩 표시하여 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한편 실생활공간 객체(object)의 위치관계와 형상을 기반으로 실생활공간 객체와 잘 정합되는 정보 제공이 가능한 Mixed Reality가 있다. 하지만 검색 대상의 객체를 특정짓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맵의 실생활공간 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바라보는 방향을 이용하여 검색대상 객체를 특정짓는 방법을 고안하며, 이를 기반으로 객체의 실제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실공간 위치기반의 다층 Mixed Reality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Mixed Reality 서비스의 구현 예를 제안 모델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smart devices and the active access to the mobile Internet, users are demanding information regardless of location or time. In response to the demands, augmented reality service has emerged. It utilizes user's location inf...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smart devices and the active access to the mobile Internet, users are demanding information regardless of location or time. In response to the demands, augmented reality service has emerged. It utilizes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search for surrounding information and overlay it on the display which shows real-time camera imag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easily recognize POIs and other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real space location relationship and shape of objects, there is mixed reality service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that is well-matched with real-life objects. However, there are technical difficulties in specifying objects to search.
This thesis proposes a multi-layer mixed reality service model based on the actual real space location of objects. Also this illustrates the implementation examples of mixed reality services based on the proposed mode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