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 An Exploration of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4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스마트 교육전략에 따라 본격적으로 보급될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

      본 논문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스마트 교육전략에 따라 본격적으로 보급될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실수업개선과 학생별 맞춤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과서 발전 방안의 하나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란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디지털 교과서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수ㆍ학습을 목적으로 초ㆍ중ㆍ고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기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된 것으로, 서책형 교과서가 가지는 장점을 살리고 검색ㆍ내비게이션 등의 부가적인 편의 기능, 애니메이션ㆍ3D 등 멀티미디어 학습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학습 교재이다. 또 디지털 교과서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평면적이고 선형적인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소리,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 등의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자료 수집, 내용전달매체, 학습방법, 접근성, 재사용성과 확장성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유용성과 활용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는 디지털 교과서 본연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과의 성격과 본질에 충실하고,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내용 구성의 내적 측면과 외적 체제에서 질이 높은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고, 교사와 학생이 쉽게 활용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디지털 교과서의 유형은 온라인형과 오프라인형, 교사용과 학생용, 분과형과 통합형, 주교재와 보조 교재, 열린 교재형과 폐쇄형 교재 등 다양하다. 사회과의 본질과 특성을 고려한다면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동시에 개발되어야 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언제든지 활용이 가능하고, 교사용과 학생용을 구별하여 개발하고, 열린 교재형으로 개발되어 학생들이 지식의 구성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협의, 고민을 통하여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사회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또 교사들이 수업 주도권을 갖고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이 즐겁게 배우고 활동할 수 있고, 사고력이 신장시킬 수 있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which will be in full-scale distribution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e Smart Education Strateg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which will be in full-scale distribution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e Smart Education Strateg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igital textbooks are par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based textbooks and help to improve classroom lectures and run customized curriculums for individual students. However, education in a true sense happens through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themselves. Digital textbooks are made based on the content of a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to use as a basic material for the sake of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They are digital learning materials that highlight the advantages of paper-based textbooks and perform additional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search and navigation and multimedia learning functions such as animation and 3D. Unlike conventional paper-based textbooks that are planar and linear ones based on texts and images, digital textbooks provide a rich range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sound, video, anim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further offer a variety of usefulness and usability in terms of data gathering, content delivery media, study methods, accessibility, reusability, and scalabilit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while making utmost use of the original advantages of digital textbooks: they should be loyal to the nature and essence of social studies, allow the student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mselves, and offer high quality in the internal aspect of content organization and in the external system. They also should allow students to do individual level-based learning and enable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easily use and build them together.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digital textbooks including on- and off-line textbooks, teachers' and students' editions, separate and integrated, main and auxiliary, open and closed textbooks. Considering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paper-based ones. They should be accessible both on- and off-line anytime and separately developed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y should also be open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knowledge formation themselves.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books should be searched for through sufficient research, discussion, and agreement about them and by full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In addition, they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can allow teachers to utilize various materials with teaching initiative in their hands and in such a way that students can enjoy learning and activities and enhance their thinking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 및 유형
      • Ⅲ.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
      • Ⅳ. 맺는 말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 및 유형
      • Ⅲ.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
      • Ⅳ.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2 김대희, "초등 국어과 전자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읽기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02

      3 권숙경, "중등학교 국어 전자 교과서 개발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2003

      4 류연수,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현장 타당도 분석․평가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2

      5 조난심, "전자 교과서의 편찬 및 검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6 이승훈, "전자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

      7 김태한, "전자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경상북도생활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2004

      8 김은란, "전자 교과서 활성화를 위한 연구" 경남대학교 2002

      9 김소영, "전자 교과서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개발" 한양대학교 1998

      10 여운방, "전자 교과서 설계 지침 및 모형 개발 연구:국어, 사회,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1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2 김대희, "초등 국어과 전자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읽기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02

      3 권숙경, "중등학교 국어 전자 교과서 개발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2003

      4 류연수,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현장 타당도 분석․평가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2

      5 조난심, "전자 교과서의 편찬 및 검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6 이승훈, "전자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

      7 김태한, "전자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경상북도생활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2004

      8 김은란, "전자 교과서 활성화를 위한 연구" 경남대학교 2002

      9 김소영, "전자 교과서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개발" 한양대학교 1998

      10 여운방, "전자 교과서 설계 지침 및 모형 개발 연구:국어, 사회,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11 변호승, "전자 교과서 개발을 위한 개념 재정립 :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12 곽병선, "전자 교과서 개발 방안 연구(1)" 한국교과서연구소 1997

      13 강오한, "사회과 지역교과서 활용을 위한 전자교과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19-28, 2006

      14 강선주, "사회과 전자교과서 모형 개발 : 초등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6 : 61-84, 2005

      15 박기범, "사회과 디지털 수업론" 교육과학사 2009

      16 박기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논리와 설계 전략"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113-142, 2007

      17 강숙희, "디지털 교과서의 설계를 위한 교육공학적 접근:유형과 기능을 중심으로" 22 (22): 1-27, 1999

      18 조대연, "디지털 교과서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학교 운영방안" 서울특별시교육청 2008

      19 서유경, "국어 전자 교과서 개발의 실제와 방향" 10 : 43-72, 2000

      20 손병길, "국내외 전자 교과서 사례 조사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21 Tyson, H., "Three Portraits: TextBook Adoption Policy Changes in North Carolina, Texas, California" 1990

      22 Kawakami, Y., "The School Textbook System in Japan" 1984

      23 Winograd, P., "Textbook Adoption in Kentucky" 1986

      24 최정민, "ICT 활용 경제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교육학회 13 (13): 159-179,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DUCATIONAL RESEARCH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5 0.972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