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려 토광묘 연구 : 부장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omb furnishings in the Goryeo dyn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725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한지역 고려시대 묘제에서 토광묘는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조선시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묘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고려 토광묘와 그 부장유물의 시기적 양상을 검토...

      남한지역 고려시대 묘제에서 토광묘는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조선시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묘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고려 토광묘와 그 부장유물의 시기적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토광묘의 지역적인 특징과 피장자의 성격과 의미에 대해 추론해 보았다.
      고려시대 토광묘는 자연 경사면에 조성되고, 묘광의 장축 방향이나 枕向의 기준이 방위보다 자연 지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에 있어서 12세기 이후부터 외부에 묘역시설을 갖춘 토광묘가 나타나고, 묘광 내부에 요갱이 설치되고 있다.
      부장유물의 종류는 자기식기류가 가장 많이 나오고 도기식기류, 청동식기류, 화장도구류, 화폐류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자기 식기류의 다량 부장은 불교 선종의 유행과 飮茶文化의 유행에 힘입은 바 큰데, 茶具로서 자기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자기의 생산도 늘어나게 된다. 또한 제철, 제련 등 금속가공업의 발전과 함께 금속공예도 발달하고, 특히 청동기(유기)물들이 다양하게 제작되어 왕실, 사찰, 일반에게까지 보급되었다. 이에 청동식기류, 동경, 가위, 불교용품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중국과의 교역으로 인해 중국전이 활발하게 유통되면서, 토광묘의 부장유물로 중국전도 많이 출토된다. 그 외 도기류도 병, 호류 등이 부장유물로 확인되며, 철겸이나 판상철제는 묘광바닥이나 요갱에서 출토되었다.
      주요 부장유물의 형식분류를 통해 시기별로 부장유물 조합양상을 살펴보면, 고려 토광묘 Ⅰ기는 9세기말~11세기까지로 해무리굽완, 외반구연대접, 내만구연대접, 편병 등이 출토되며, 전체적으로 부장유물의 종류나 부장량이 빈약하다. 자기식기류는 고려의 신지배층들이 중앙집권 체제를 정비하면서 중국의 문물, 제도를 받아들이는 한편 불교 선종의 영향과 함께 도입된 차문화의 유행에 따라 무덤에서도 많이 부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Ⅱ기는 12세기~13세기 중엽까지로 직립구연의 청자대접과 半球形의 청자병, 도기병이 출토되며 다양한 청동기물들이 출현하는 시기이다. 또한 중국동전이 집중적으로 출토되며 바닥에 철제편을 놓는 풍습도 생기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고려왕권이 안정되면서 요, 남송 등 국제적인 교류관계가 활발해지는 시기로 그들과의 교역을 통해 화폐가 다량 유입되고, 또한 제철, 제련 등 금속가공업과 금속공예가 발달하게 된다.
      Ⅲ기는 13세기 중엽~14세기까지로 운두가 낮고 구연이 넓은 대접이 출토되고 Ⅱ기에 비해 청동 기물들은 줄고 도기류는 증가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요갱이나 묘광 바닥에 철겸�을 부장하면서 철겸�의 부장량이 증가한다. 이 시기는 수공업생산품에 대한 지방의 수요가 증가하여 지방 군현에서도 청자를 생산하게 되면서 청자의 생산이 크게 늘어난다. 그러나 청자의 대량생산은 질적 하락을 가져오면서 청자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시켰다. 그리고, 13세기 이후 몽고군의 침입과 元의 간섭, 왜구의 침입으로 사회 불안과 경제적 혼란이 야기되고, 성리학적 이데올로기로 무장한 신흥사대부가 출현함으로써 실용성과 기능성이 강조된 그릇들의 수요도 늘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 토광묘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토광묘 분포의 지역적인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기의 토광묘 중 경상도 지역의 상주 청리, 경산 임당 유적에서는 일부 시상석을 靑石으로 설치한 것이 확인되어 앞선 시기의 묘광 바닥에 시상석을 설치하는 전통이 아직도 남아 있었고, 이 시기에 확인된 토광묘는 적은 편이다. Ⅱ기의 토광묘에서는 충청도 지역에서 요갱이 설치된 토광묘가 확인되었는데, 그 안에는 석영, 도기병 및 철제편이 부장되어 있었다. 그리고 부장유물 중 중국전이 충청도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었고, 충주지역에서는 철재(slug)가 출토되었다. 충청도 지역에서 토광묘가 가장 많이 확인되고 있다. Ⅲ기에서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묘역시설이 있는 분묘가 확인되었는데, 경상도와 충청도에서도 일부 확인되었다. 이것은 고려후기로 가면서 향리 출신 사대부 세력의 중앙 진출과 함께 차츰 지배계층이 중앙에서 지방으로 확대되어져 간 사실과도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유물의 양과 질이 앞 시기에 비해 저하되며 경상도, 충청도 경기도에서 토광묘가 골고루 확인되고 있으며 확인된 것도 가장 많은 시기이다.고려 토광묘의 또 다른 특징은 고려시대 ‘계수관’에 해당되거나 주현보다 규모가 큰 대읍지역에서 많이 확인되고 있는 점이다. 계수관에 해당하는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규모도 크고 중앙지역과의 연계성, 상업의 발달 등으로 어느 정도 정치력과 경제력을 갖춘 계층이 더 많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지금까지의 토광묘에 대한 시․공간적 검토를 통해 토광묘 피장자의 성격을 추론해 보았다.
      토광묘 피장자는 최고급 양질은 아닐지라도 자기와 銅器, 그리고 중국전을 부장할 능력이 되는 사람들이었고 이런 부장품들은 고려의 모든 계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은 아니었다. 고려의 신분제도에서 볼 때 문벌귀족층과 일반양인 사이의 중간계층인 향리, 서리, 잡류, 남반, 군인, 정호층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말은 이러한 중간계층이 사회적 혼란과 함께 신분상승을 꾀하고, 백정농민, 상인, 부곡민, 천민들이 중간계층으로 새롭게 편입되는 등 신분제도의 대혼란 시기였다. 따라서 고려후기의 토광묘에 나타나는 부장유물의 단순화와 도기류의 증가, 청자 질의 하락은 고려 말의 사회변동과 신분제의 동요 속에서 양인(백정), 천인층이 토광묘 피장자로 새롭게 편입되는 것과도 연관 지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고려시대 토광묘 피장자는 초기에는 귀족과 양인, 천인 사이의 중간계층인 서리층, 향리 및 지방의 토호세력, 하급장교, 정호층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신란 이후 사회 변화와 신분질서의 문란, 변동과 함께 양인, 천인층에서 신분 상승한 자나 경제력이 확보되는 상인층도 토광묘 피장자로 새롭게 편입되면서 토광묘 피장자 층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머리말- 1
      • Ⅱ. 토광묘의 분포와 분류-4
      • 1. 중요 유적의 검토- 4
      • 2. 구조와 분류-21
      • <목 차>
      • Ⅰ. 머리말- 1
      • Ⅱ. 토광묘의 분포와 분류-4
      • 1. 중요 유적의 검토- 4
      • 2. 구조와 분류-21
      • Ⅲ. 부장유물의 종류와 편년-26
      • 1. 부장유물의 종류-26
      • 2. 형식분류와 편년-33
      • Ⅳ. 토광묘의 부장양상과 그 성격-58
      • 1. 시기별 부장양상의 추이-58
      • 2. 지역성 -67
      • 3. 피장자의 성격-72
      • Ⅴ. 맺음말- 79
      • <참고문헌>-82
      • <Abstract>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