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L.v. Beethoven의 Piano Sonata Op.31 No.2 in d minor에 관한 분석 연구 = A Study on L.V. Beethoven`s Piano Sonata Op.31, No.2 in d min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2366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 음악학과(피아노)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86.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71 p. ; 30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포함, p.67-69

      • 소장기관
        • 서울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한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베토벤의 수작중 하나인 피아노 소나타 Op.31 No.2를 중심으로 음악인들이 연주전에 악곡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잊은채, 개인의 성향데로 연주하는 것을 막고 작곡자의 의도데로 표현하여 보다 완성도 있는 연주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분석 하였다.
      연구의 순으로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여 서론으로 다루었고, 제 Ⅱ장에서는 악곡분석에 앞서 베토벤의 생애, 소나타의 기원과 변천과정, 베토벤에 의해 한층 더 확립된 소나타 형식을 토대로 시기별 특징과 작품을 정리하였으며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곡의 개요 및 구조를 분석, 특징들을 각 악장별로 분석 하였다.
      그리고 제 Ⅲ장에서 전체적으로 연구한 내용을 중심으로 형식․ 주제․화성․ 리듬 등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요약하여 결론을 맺었다.
      본 논문에서 다룰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31 No.2 ,(폭풍(Tempest))」은 그가 불치의 귓병을 알고 괴로워하며 정신적으로 위축되었던 1801-1802년 사이에 작곡되었다. 이 시기는 베토벤의 작품 세계를 세 부분으로 요약할 때 중기에 제 2기에 해당되는데, 그가 고전주의 음악 형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작곡 기법을 시도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3악장으로 이루어진 곡으로 제 1악장은 d단조의 극적이며 어둡고 긴박한 느낌을 주고, 제 2악장은 Bb장조의 풍부한 서정성을 띄며, 제 3악장은 d단조의 환상적이며, 무궁동 형식의 전형적 소나타 형식의 곡이다.
      제 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서주부를 지니고 있으며, 이 서주에서 나타나는 a,b,c 소재는 전 악장에 걸쳐 강한 통일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어진다. 제2악장의 제1주제와 제2주제는 딸림화음 관계이며 반음계적 전조의 사용과 감7화음, 나폴리6화음을 부분적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적이다.
      제 2악장은 발전부가 생략된 소나타 형식으로 제 1악장 재현부의 레치타티보에서 사용되었던 겹점음표가 중요한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경과부에 나타나는 32분음표의 타악기적인 리듬도 특징적이다.
      이와 같이 op.31의 No.2 라단조는 형식적으로 중기 피아노 소나타의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진 곡으로 고정된 특징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내용면에 있어서도 감정의 표현을 위한 요소들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낭만주의적 서정성 및 베토벤만의 독창적인 어법을 느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베토벤의 수작중 하나인 피아노 소나타 Op.31 No.2를 중심으로 음악인들이 연주전에 악곡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잊은채, 개인의 성향데로 연주하는 것을 막고 작곡자의 의도데...

      본 논문은 베토벤의 수작중 하나인 피아노 소나타 Op.31 No.2를 중심으로 음악인들이 연주전에 악곡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잊은채, 개인의 성향데로 연주하는 것을 막고 작곡자의 의도데로 표현하여 보다 완성도 있는 연주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분석 하였다.
      연구의 순으로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여 서론으로 다루었고, 제 Ⅱ장에서는 악곡분석에 앞서 베토벤의 생애, 소나타의 기원과 변천과정, 베토벤에 의해 한층 더 확립된 소나타 형식을 토대로 시기별 특징과 작품을 정리하였으며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곡의 개요 및 구조를 분석, 특징들을 각 악장별로 분석 하였다.
      그리고 제 Ⅲ장에서 전체적으로 연구한 내용을 중심으로 형식․ 주제․화성․ 리듬 등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요약하여 결론을 맺었다.
      본 논문에서 다룰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31 No.2 ,(폭풍(Tempest))」은 그가 불치의 귓병을 알고 괴로워하며 정신적으로 위축되었던 1801-1802년 사이에 작곡되었다. 이 시기는 베토벤의 작품 세계를 세 부분으로 요약할 때 중기에 제 2기에 해당되는데, 그가 고전주의 음악 형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작곡 기법을 시도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3악장으로 이루어진 곡으로 제 1악장은 d단조의 극적이며 어둡고 긴박한 느낌을 주고, 제 2악장은 Bb장조의 풍부한 서정성을 띄며, 제 3악장은 d단조의 환상적이며, 무궁동 형식의 전형적 소나타 형식의 곡이다.
      제 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서주부를 지니고 있으며, 이 서주에서 나타나는 a,b,c 소재는 전 악장에 걸쳐 강한 통일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어진다. 제2악장의 제1주제와 제2주제는 딸림화음 관계이며 반음계적 전조의 사용과 감7화음, 나폴리6화음을 부분적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적이다.
      제 2악장은 발전부가 생략된 소나타 형식으로 제 1악장 재현부의 레치타티보에서 사용되었던 겹점음표가 중요한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경과부에 나타나는 32분음표의 타악기적인 리듬도 특징적이다.
      이와 같이 op.31의 No.2 라단조는 형식적으로 중기 피아노 소나타의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진 곡으로 고정된 특징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내용면에 있어서도 감정의 표현을 위한 요소들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낭만주의적 서정성 및 베토벤만의 독창적인 어법을 느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nalyze Beethoven’s Piano Sonata Op. 31, No.2, one of his greatest pieces, to encourage performers of his music to distance themselves from playing it as they please without analyzing movements of the music; and rather encourage them to express it as intended by Beethoven.
      Chapter 1, the introduction of this thesis described the purpose, significance, scope,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Chapter 2 gave an overview of Beethoven’s life,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sonata form. Based on sonata form consolidated by Beethoven, this chapter also presented major characteristics, musical structure, and an overview of Beethoven’s works during each of his periods, which are traditionally divided into three, by analyzing each movement of his music.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mmarized Beethoven’s works in terms of form, theme, harmony, and rhythm.
      Beethoven’s Piano Sonata Op. 31, No.2 “Tempest” was written between 1801 and 1802 when he was dispirited by his incurable ear disease. This period, the second or middle period of his career, was when Beethoven tried new compositional techniques, taking a break from Classical music forms.
      The first movement of Beethoven's Sonata in D Minor (Op. 31, No. 2), which consists of three movements, is dramatic, dark and tense. The second movement in B Major is very lyrical while the third movement is a Perpetuum Mobile, a typical sonata form. It has a Sonata form with a prelude, in which a, b, c themes are used as important elements which grant strong unity throughout all the movements. The 1st and 2nd themes of the second movement are in a dominant chord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its use of transition in chromatic scale, diminished 7th chord, and Neapolitan 6th chord in part.
      The second movement also has a Sonata form in which development is omitted and the double dot note used in the recitative of recapitulation of the first movement is utilized as an important subject matter, characterized by the percussion instrument's rhythm of thirty second note which appears in bridge passage.
      Op. 31, No.2 in D minor has various characteristics of piano sonata in its form of his middle period, in which his attempts are shown not to be bound by some fixed characteristics or forms. And some elements for expression of feelings are shown in its contents, from which we can feel Romantic lyricism and Beethoven's own originative phraseolog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nalyze Beethoven’s Piano Sonata Op. 31, No.2, one of his greatest pieces, to encourage performers of his music to distance themselves from playing it as they please without analyzing movements of the music; and rat...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nalyze Beethoven’s Piano Sonata Op. 31, No.2, one of his greatest pieces, to encourage performers of his music to distance themselves from playing it as they please without analyzing movements of the music; and rather encourage them to express it as intended by Beethoven.
      Chapter 1, the introduction of this thesis described the purpose, significance, scope,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Chapter 2 gave an overview of Beethoven’s life,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sonata form. Based on sonata form consolidated by Beethoven, this chapter also presented major characteristics, musical structure, and an overview of Beethoven’s works during each of his periods, which are traditionally divided into three, by analyzing each movement of his music.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mmarized Beethoven’s works in terms of form, theme, harmony, and rhythm.
      Beethoven’s Piano Sonata Op. 31, No.2 “Tempest” was written between 1801 and 1802 when he was dispirited by his incurable ear disease. This period, the second or middle period of his career, was when Beethoven tried new compositional techniques, taking a break from Classical music forms.
      The first movement of Beethoven's Sonata in D Minor (Op. 31, No. 2), which consists of three movements, is dramatic, dark and tense. The second movement in B Major is very lyrical while the third movement is a Perpetuum Mobile, a typical sonata form. It has a Sonata form with a prelude, in which a, b, c themes are used as important elements which grant strong unity throughout all the movements. The 1st and 2nd themes of the second movement are in a dominant chord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its use of transition in chromatic scale, diminished 7th chord, and Neapolitan 6th chord in part.
      The second movement also has a Sonata form in which development is omitted and the double dot note used in the recitative of recapitulation of the first movement is utilized as an important subject matter, characterized by the percussion instrument's rhythm of thirty second note which appears in bridge passage.
      Op. 31, No.2 in D minor has various characteristics of piano sonata in its form of his middle period, in which his attempts are shown not to be bound by some fixed characteristics or forms. And some elements for expression of feelings are shown in its contents, from which we can feel Romantic lyricism and Beethoven's own originative phrase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본 론 3
      • 1. 베토벤의 생애 3
      • I.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본 론 3
      • 1. 베토벤의 생애 3
      • 2. 소나타의 기원과 변천과정 6
      • 3. 소나타 형식 10
      • 4.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의 시기별 특징과 작품 13
      • 1) 제 1 기 피아노 소나타 14
      • 2) 제 2 기 피아노 소나타 16
      • 3) 제 3 기 피아노 소나타 18
      • 5. Beethoven Piano Sonata Op.31 No.2에 관한 고찰 20
      • 1) 시대적 배경 20
      • 2) 작품개요 21
      • 3) 구조 분석 23
      • 4) Beethoven Piano Sonata Op.31 No.2의 분석 27
      • (1) 제 1악장(Largo-Allegro d minor. 2/2박자) 27
      • (2) 제 2악장(Adagio Bb Major 3/4박자) 41
      • (3) 제 3악장(Allegretto d minor 3/8박자) 49
      • Ⅲ. 결 론 65
      • 참고문헌 67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