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임시의정원·임시정부의 권위가 제헌헌법· 정부수립에 미친 정치적 영향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Author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1919 on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in 194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5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s the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 spirit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been preserv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establish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liberation? To what extent was it kept? the reason for asking such a question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camps where the so-called “Foundation Day debate” came out. in the background of this 'Foundation Day debate', the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 spirit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nec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were consistently esta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t seems that it is because they cannot properly convince them that they are continuing, or they cannot share their perceptions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ccept the spirit of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ism based on Hannah Arendt's view of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an Revolution and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power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the view of its realization in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mpact of the 1948 Constitutional Constitution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by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linked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provisional legislature and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established in 1919 on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번역하기

      Was the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 spirit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been preserv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

      Was the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 spirit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been preserv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establish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liberation? To what extent was it kept? the reason for asking such a question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camps where the so-called “Foundation Day debate” came out. in the background of this 'Foundation Day debate', the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 spirit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nec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were consistently esta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t seems that it is because they cannot properly convince them that they are continuing, or they cannot share their perceptions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ccept the spirit of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ism based on Hannah Arendt's view of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an Revolution and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power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the view of its realization in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mpact of the 1948 Constitutional Constitution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by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linked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provisional legislature and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established in 1919 on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19년 3·1운동과 연결되는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은 해방이후 1948년 제헌헌법을 만들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도 지켜졌을까? 어느 정도로 지켜졌을까? 이런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이른바, ‘건국절 논쟁’이 나온 진영간의 인식차이와 갈등 때문이다. 이런 ‘건국절 논쟁’이 나오게 되는 배경에는 1919년 3·1운동과 연결되는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이 해방이후 1948년 제헌헌법을 만들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까지 일관되게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제대로 설득하지 못하거나 서로 인식을 공유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글의 목적은 미국의 공화주의 혁명과 건국모델의 헌법적 토대인 ‘헌법제정권력의 권위’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시각을 기초로 하는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의 관점을 수용하여 1919년 3·1운동과 연결된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가 1948년 제헌헌법과 정부수립에 미친 정치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즉 1919년 탄생한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정치적 권위가 1948년 제헌헌법과 그에 따라 탄생한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미친 영향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1919년 3·1운동과 연결되는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은 해방이후 1948년 제헌헌법을 만들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도 지켜졌을까? 어느 정도로 지...

      1919년 3·1운동과 연결되는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은 해방이후 1948년 제헌헌법을 만들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도 지켜졌을까? 어느 정도로 지켜졌을까? 이런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이른바, ‘건국절 논쟁’이 나온 진영간의 인식차이와 갈등 때문이다. 이런 ‘건국절 논쟁’이 나오게 되는 배경에는 1919년 3·1운동과 연결되는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이 해방이후 1948년 제헌헌법을 만들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까지 일관되게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제대로 설득하지 못하거나 서로 인식을 공유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글의 목적은 미국의 공화주의 혁명과 건국모델의 헌법적 토대인 ‘헌법제정권력의 권위’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시각을 기초로 하는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의 관점을 수용하여 1919년 3·1운동과 연결된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가 1948년 제헌헌법과 정부수립에 미친 정치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즉 1919년 탄생한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정치적 권위가 1948년 제헌헌법과 그에 따라 탄생한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미친 영향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렌트, 한나, "혁명론" 한길사 2004

      2 강경선, "헌법전문주해" 에피스테메 2017

      3 조지형, "헌법에 비친 역사" 푸른역사 2009

      4 유진오, "헌법기초회고록" 일조각 1989

      5 아렌트, 한나, "한나 아렌트의 말 : 정치적인 것에 대한 마지막" 마음산책 2016

      6 이영록, "한국에서의 ‘민주공화국’의 개념사 -특히 ‘공화’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법사학회 (42) : 49-83, 2010

      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임정편Ⅱ)" 1968

      8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일조각 1993

      9 Arendt, Hannah,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10 황묘희, "중경시기 임시의정원" 6 : 55-56, 2003

      1 아렌트, 한나, "혁명론" 한길사 2004

      2 강경선, "헌법전문주해" 에피스테메 2017

      3 조지형, "헌법에 비친 역사" 푸른역사 2009

      4 유진오, "헌법기초회고록" 일조각 1989

      5 아렌트, 한나, "한나 아렌트의 말 : 정치적인 것에 대한 마지막" 마음산책 2016

      6 이영록, "한국에서의 ‘민주공화국’의 개념사 -특히 ‘공화’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법사학회 (42) : 49-83, 2010

      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임정편Ⅱ)" 1968

      8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일조각 1993

      9 Arendt, Hannah,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10 황묘희, "중경시기 임시의정원" 6 : 55-56, 2003

      11 이동수, "정부의 재발견: 공공성과 공동성 사이에서" 인간사랑 2015

      12 이영록, "임시의정원과 제헌국회의 관계"

      13 한시준, "일본의 역사왜곡보다 더 심각한 ‘건국 60년.’"

      14 한시준, "의회정치의 기틀을 마련한 홍진" 탐구당 2006

      15 이영훈, "우리도 건국절을 만들자"

      16 신우철, "비교헌법사 : 대한민국 입헌주의의 연원" 법문사 2008

      17 조지형, "미국헌법의 탄생" 서해문집 2012

      18 장정애, "미국의 정치문화, 기독교, 그리고 영화" 집문당 2008

      19 토크빌, 알렉시스 드, "미국의 민주주의" 한길사 1997

      20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4권: 임시정부사" 원호처 1969

      21 서희경, "대한민국헌법과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민주공화제의 주체와 기원을 중심으로"

      22 오향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입헌주의: ‘헌법국가’로서의 정당성 확보와 딜레마"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277-304, 2009

      23 이현희,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전시실 개관의 의미 : 국회 개원 55주년에" 6 : 46-50, 2003

      24 김광재,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과 기원: 대한민국 임시정부헌법과 제헌헌법의 연속성" 윌비스 2017

      25 서희경,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 한국 헌정사 만민공동회에서 제헌까지" 창비 2008

      26 박찬승, "대한민국 헌법의 임시정부 계승성"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3) : 373-430, 2012

      27 이재호,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28 서희경,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역사적 기원 (1898-1919):만민공동회?3.1운동?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의‘민주공화’정체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0 (40): 139-163, 2006

      29 이동수, "공화와 민주의 나라" 인간사랑 2013

      30 김수용, "건국과 헌법: 헌법논의를 통해 본 대한민국 건국사" 경인문화사 2008

      31 김세형, "건국100주년논쟁 누가 옳은가"

      32 유정인, "강만길 고려대 명예교수, 임시정부의 정신은 좌우합작…그 의미가 통일운동으로 이어 져야"

      33 전광석, "兪鎭午와 大韓民國 憲法" 법학연구원 (48) : 437-488, 2007

      34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의정’과 ‘대한민국국회’" 6 : 51-54, 2003

      35 Arendt, Hannah, "The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36 Arendt, Hannah, "On Revolution" Penguin 1977

      37 정상우, "3.1운동과 민주공화국의 탄생"

      38 신상미, "3.1운동 믿기 어려운 숫자 제시한 것은 오히려 일본"

      39 김상웅, "3.1 혁명과 임시정부 대한민국의 뿌리" 두레 2019

      40 김성호, "1948년 건국헌법 전문(前文)에 나타난 “우리들 大韓國民”의 정체성과 정당성" 한국정치학회 42 (42): 87-11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부산발전연구소 -> 지방분권발전연구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