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양성하였으며 그 중 항공 산업의 발전으로 국내의 외국인 승무원 집단은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대상이자 수요자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점차 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748811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 2012. 2
2012
한국어
서울
Basic research o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foreigner flight attendants : focusing on analysis on existing textbooks and needs survey
ix, 108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강승혜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 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양성하였으며 그 중 항공 산업의 발전으로 국내의 외국인 승무원 집단은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대상이자 수요자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점차 증...
한국어 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양성하였으며 그 중 항공 산업의 발전으로 국내의 외국인 승무원 집단은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대상이자 수요자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점차 증대되고 있는 외국인 승무원에 대한 한국어교육은 실질적으로 한국어교육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업무 수행을 위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외국인 승무원들이 사용하는 기존 한국어 교재의 분석과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위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의 개념과 교재 구성 원리를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업무 분석을 통해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의 특징을 정의하였다.
둘째,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을 마련하기 위한 두 번째 연구로 현재 외국인 승무원들이 사용하는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현재 시중에 출간되어 있는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재 두 권을 선정하여 현재 외국인 승무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외국인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면접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면접 및 설문조사의 대상은 K항공사에서 근무 중인 외국인 승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항목을 측정하기 위해 응답 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 절차에 기초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의 내적 구성 측면으로 의사소통상황, 언어 기능, 영어 번역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외국인 승무원의 의사소통상황으로는 2장의 업무 분석 과정에서 외국인 승무원들의 한국어 사용 환경이 다른 직업 목적의 한국어와 의사소통 주제와 차별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주제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약 20개의 의사소통상황을 선정할 수 있었다. 외국인 승무원들에게 필요한 언어 기능으로는 4가지 언어 기능 중 말하기와 듣기 기능이 읽기와 쓰기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재 단원 내의 영어 번역에 대한 도움 자료로는 단원 구성 전체에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승무원 교재의 외적 구성의 측면으로는 100페이지 분량의 B5 크기 정도로 휴대가 간편하고 교재 색채의 구성은 컬러와 단색이 적절히 조화된 것으로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실제 그림이나 자료가 함께 제시된 구성을 요구하였고 교재와 관련된 구성물로는 휴대할 수 있는 단어장과 발음을 포함한 듣기 활동을 할 수 있는 도움 자료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교재 개발을 위한 기존 교재의 분석과 외국인 승무원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마련하였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승무원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