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산 임당지역과 김해 예안리 고분 출토 인골의 평균수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2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우리나라 고고학에서는 삼국시대 유적·유구·유물 등은 많이 연구되었으나 당시 살았던 사람들 의 평균수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이에 인골이 많이 출토된 영남지역의 �...

      지금까지 우리나라 고고학에서는 삼국시대 유적·유구·유물 등은 많이 연구되었으나 당시 살았던 사람들 의 평균수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이에 인골이 많이 출토된 영남지역의 경산 임당지역 고분과 김해 예안리 고분을 통해 당시 유적에 살았던 사람들의 평균수명을 찾고자 한다. 본고는 경산 임당지역 고분과 김해 예안리 고분의 인골 감정 보고서의 연령 감정 결과(성인·어린이 등 정 확한 연령이 아닌 경우는 제외)를 기초로 최소 연령과 최대 연령 그리고 평균 연령을 도출하여 4세기에서 7세기까지 시기별 평균수명과 이 시기에 만들어진 유구의 묘제별 평균수명을 알아보았다. 경산 임당지역 고분에서 출토된 인골을 통한 시기별 전체 평균수명은 30.4세이며, 유구의 묘제별 전체 평 균수명은 29세이다. 김해 예안리 고분에서 출토된 인골의 시기별 전체 평균연령은 26.6세이고, 유구의 묘 제별 전체 평균수명은 19.5세이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수가 언급한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성년(약년-성년)으로 본 결과와 거의 비슷하 지만, 김두철의 예안리 고분으로 본 사망평균연령 25-(34)세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또 신라촌락문서를 이용한 兼若逸之의 평균수명은 20-25세 사이이며, 30세를 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견해와 예안리 고분의 평균수명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은 兼若逸之의 최대치와 비슷하다. 이들 두 유적을 비교하였을 때 삼국시대 사람의 평균수명은 고분이 지닌 위상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콜라겐 분석 등을 이용한 유적의 식생활 분석을 통해 추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옹관묘는 이들 두 고분에서 평균연령이 낮은 것으로 보아 어린이를 위한 묘제임을 다시 밝힐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average lifespan of those people who lived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 is insignificant. So we are trying to find the average lifespan of the people by the human skeletons which were found from Yimdang site and Yeanri site. Though t...

      A study on the average lifespan of those people who lived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 is insignificant. So we are trying to find the average lifespan of the people by the human skeletons which were found from Yimdang site and Yeanri site. Though the appraisal result from the appraisal report of human skeletons, we has analyzed the minimum age, maximum age and the average age. After that, with the average age, we have studied the average age between 4 century and 7 century and average lifespan of the people which were found from the tombs found similar times from that period. The skeletons from the Yimdang site shows that the average lifespan is totally 30.4 years old, and the lifespan from the type of tombs were 29 years old. But at the skeletons form the Yeanri site were 26.6 years old and others were 19.5 years old.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opinion of Jung’s the average lifespan by Yimdang site but there is small difference on the view of Kim’s the average of death time age by Yeanri site. Kanewaka Tosiuki(兼若逸 之)’s the average life span by the reports of village in Silla(新羅村落文書) is 20-25 years, and hard to believe that they were over 30 years. This shows that the age is almost similar with Yeanri and the maxium age from Yimdang. In conclusion it can notice that the average lifespan have deep connection with the status of site. In the future a assignment by isotopic evidence of diet will try on. And this shows that the jar coffin is for children’s tomb.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경산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 1. 경산 임당지역 고분과 출토 인골
      • 2. 경산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경산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 1. 경산 임당지역 고분과 출토 인골
      • 2. 경산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 Ⅲ. 김해 예안리 고분의 평균수명
      • 1. 김해 예안리 고분과 출토 인골
      • 2. 김해 예안리 고분의 평균수명
      • Ⅳ. 평균수명의 비교·검토
      • 1. 경산 임당지역과 김해 예안리 고분 평균수명의 비교·검토
      • 2. 『신라촌락문서』 의 평균수명과 비교·검토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영남대학교 박물관, "林堂遺蹟 試掘調査報告書" 1993

      2 정영화, "林堂古墳의 一考察" 嶺南大學校 文化人類學硏究會 6 : 1-20, 1991

      3 김승옥, "金海 禮安里古墳群 築造集團의 社會構造와 性格" 嶺南考古學會 29 : 43-70, 2001

      4 부산대학교 박물관, "金海 禮安里 古墳群 Ⅱ" 1993

      5 부산대학교 박물관, "金海 禮安里 古墳群 Ⅰ" 1985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44-747, 1991

      7 김대욱, "임당 고총의 축조와 그 장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8 신지영, "인골 추출 콜라겐의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한국고고학회 (70) : 84-109, 2009

      9 영남대학교 박물관,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경산 임당유적 출토 인골연구자료집" 2013

      10 경산시립박물관, "압독국의 왕 ‘干’, 영원불멸을 꿈꾸다" 2011

      1 영남대학교 박물관, "林堂遺蹟 試掘調査報告書" 1993

      2 정영화, "林堂古墳의 一考察" 嶺南大學校 文化人類學硏究會 6 : 1-20, 1991

      3 김승옥, "金海 禮安里古墳群 築造集團의 社會構造와 性格" 嶺南考古學會 29 : 43-70, 2001

      4 부산대학교 박물관, "金海 禮安里 古墳群 Ⅱ" 1993

      5 부산대학교 박물관, "金海 禮安里 古墳群 Ⅰ" 1985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44-747, 1991

      7 김대욱, "임당 고총의 축조와 그 장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8 신지영, "인골 추출 콜라겐의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한국고고학회 (70) : 84-109, 2009

      9 영남대학교 박물관,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경산 임당유적 출토 인골연구자료집" 2013

      10 경산시립박물관, "압독국의 왕 ‘干’, 영원불멸을 꿈꾸다" 2011

      11 최병현, "신라후기양식토기의 편년" 영남고고학회 (59) : 111-174, 2011

      12 이희준,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07

      13 정상수, "신라 고분을 통한 고대 인구 연구 : 경산 임당 및 대구 시지 유적을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4

      14 민중서림 편집국, "민중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1991

      15 정상수, "경산지역 고분 출토 인골의 분석 -조영 1A지역을 중심으로-" 韓國上古史學會 23 : 111-161, 1996

      16 김재현, "경산임당동유적 Ⅳ -G地區 墳墓-" 嶺南文化財硏究院 2001

      17 李熙濬, "경산 지역 고대 정치체의 성립과 변천" 영남고고학회 34 : 5-34, 2004

      18 장용석, "경산 임당유적의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19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산 임당유적Ⅰ~Ⅵ·附錄" 1998

      20 정상수, "경산 임당유적 G지구 고분 출토 유물의 性徵에 대하여" 대경문화재연구원 1 : 70-80, 2006

      21 서민석, "경산 임당동 및 사천 늑도 출토 인골의 유전자 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25 : 47-74, 2004

      22 이준정,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성격 연구 출토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68 : 128-155, 2008

      23 국립문화재연구소, "韓國考古學專門事典 -古墳篇" 2009

      24 국립문화재연구소, "韓國考古學事典" 2003

      25 김두철, "韓 國古代史와 考古學, 鶴山金廷鶴博士 頌壽紀念論叢" 2000

      26 旗田巍, "朝鮮中 世社會史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1976

      27 김용성, "新羅의 高塚과 地域集團-大邱·慶山의 例-" 춘추각 1998

      28 최병현,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1992

      29 兼若逸之, "新羅《均田成冊》에서 推定되는 平均壽命" 한국사연구회 30 : 315-347, 1980

      30 김창호, "新羅 村落(屯田)文書의 作成 年代와 그 性格" 韓國 史學會 62 : 37-56, 2001

      31 하대룡, "慶山 林堂遺蹟 新羅 古墳의 殉葬者 身分 硏究 -出土 人骨의 미토콘드리아 DNA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고고학회 79 : 175-204, 2011

      32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山 林堂洞遺蹟 Ⅱ~Ⅳ" 2001

      33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山 林堂洞遺蹟 Ⅰ" 1999

      34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山 林堂洞 마을遺蹟 Ⅰ~Ⅱ" 2008

      35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山 林堂洞 環濠遺蹟" 2010

      36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山 林堂洞 建物址遺蹟" 2008

      37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山 林堂洞 低濕池遺蹟 Ⅰ~Ⅲ" 2008

      38 정상수,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의 殉葬에 대한 一見解" 新羅學硏究所 6 : 233-244, 2002

      39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Ⅹ -조영EⅢ-3號墳" 2013

      40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Ⅸ -조영EⅢ-2號墳" 2012

      41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Ⅷ -林堂7號墳" 2005

      42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Ⅶ -林堂5·6號墳" 2003

      43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Ⅵ -林堂2號墳" 2002

      44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Ⅴ -造永EⅠ號墳" 2000

      45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Ⅳ -造永CⅠ·Ⅱ號墳" 1999

      46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Ⅲ -造永1B地域" 1998

      47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Ⅱ -造永EⅢ-8號墳外" 1994

      48 영남대학교 박물관,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Ⅰ -造永1A地域" 1991

      49 정영화, "慶山 地表調査 報告" 嶺南大學校 博物館 1986

      50 김용성, "大邱·慶山地域 高塚古墳의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7

      51 김용성, "土器에 의한 大邱·慶山地域 古代墳墓의 編年" 韓國考古學會 35 : 79-151, 1996

      52 이준정, "作物섭취량 변화를 통해 본 農耕의 전개 과정 –한반도 유적 출토 人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3 (73): 31-66, 2011

      53 장용석, "人類學考 古學論叢" 학연문화사 453-467, 2012

      54 장용석, "三國時代 聚落의 立地에 관한 一考察 -大邱·慶山地域을 中心으로-" 嶺南文化財硏究院 9 : 57-88, 1998

      55 Choy, Kyungcheol, "Isotopic Evidence of Dietary Variations and Weaning Practices in the Gaya Cemetery at Yeanri, Gimhae, South Korea" 142 : 74-84, 2010

      56 김대욱, "6~7세기 경산지역 석실묘의 전개양상" 영남고고학회 41 : 45-83, 2007

      57 장용석, "4世紀新羅의 土城築造背景 -達城과 林堂土城의 例를 통하여-" 영남고고학회 46 : 5-31, 2008

      58 최봉인, "4~6세기 영남권역 고분의 부장시설 연구 : 경산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59 李熙濬, "4-5세기 新羅의 考古學的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60 정상수, "(石心鄭永和敎授 停年 退任紀念)天馬考古學論叢" 석심 정영화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간 행위원회 507-51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22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