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능력에 미치는 효과 = Influence of singing activity based on integrative musicapproach on child's musical concept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0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inging activity based on integrative music approach on child's music concept abil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irty two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B city. Seventeen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and fifteen as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sixteen weeks from March through July, 2009. The steps for this study were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tegrative music activity including singing, listening to music, moving to music, playing instrument, and improvising music according to daily theme during sixteen weeks.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variance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al concept ability. According to this study, musical concept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significantly differ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Specif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areas of musical concept ability such as rhythm, melody, tempo, dytamic, tone color, and for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mon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inging activity based on integrative music approach on child's music concept abil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irty two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B city. Seventeen were assig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inging activity based on integrative music approach on child's music concept abil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irty two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B city. Seventeen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and fifteen as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sixteen weeks from March through July, 2009. The steps for this study were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tegrative music activity including singing, listening to music, moving to music, playing instrument, and improvising music according to daily theme during sixteen weeks.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variance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al concept ability. According to this study, musical concept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significantly differ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Specif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areas of musical concept ability such as rhythm, melody, tempo, dytamic, tone color, and for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mon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유치원 32명이며,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7월 까지 16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16주 동안 활동주제에 따라 음악 제영역의 노래 부르기, 감상․소리탐색, 악기연주, 음악에 따른 신체 표현활동, 창작활동 등에 통합적으로 참여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통합적 음악활동의 실험처치 후 집단 간 음악개념 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음악개념 능력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음악개념 능력의 하위요인 중 리듬, 선율, 빠르기, 셈여림, 음색, 형식 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음악개념의 하위 요인 중 화성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유치원 32명이며,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5명...

      본 연구는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유치원 32명이며,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7월 까지 16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16주 동안 활동주제에 따라 음악 제영역의 노래 부르기, 감상․소리탐색, 악기연주, 음악에 따른 신체 표현활동, 창작활동 등에 통합적으로 참여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통합적 음악활동의 실험처치 후 집단 간 음악개념 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음악개념 능력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음악개념 능력의 하위요인 중 리듬, 선율, 빠르기, 셈여림, 음색, 형식 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음악개념의 하위 요인 중 화성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금희, "포괄적 음악감상활동을 통한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송수현, "통합적 접근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3 박명숙,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색,음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4 이유영, "음악활동이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강은덕,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행동․동작․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6 이강숙, "음악의 이해" 민음사 2009

      7 박미정,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청음능력과 음의 구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02

      8 이민정, "음악 감상활동을 통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9 윤선희,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미치는 가정의 음악적 환경요인"

      10 김순선, "유아 음악곡 분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 문금희, "포괄적 음악감상활동을 통한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송수현, "통합적 접근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3 박명숙,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색,음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4 이유영, "음악활동이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강은덕,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행동․동작․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6 이강숙, "음악의 이해" 민음사 2009

      7 박미정,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청음능력과 음의 구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02

      8 이민정, "음악 감상활동을 통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9 윤선희,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미치는 가정의 음악적 환경요인"

      10 김순선, "유아 음악곡 분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이순례, "유아 음률 교육 활동자료"

      12 이민정, "다감적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23-50, 2004

      13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세광음악출판사 1992

      14 최덕순, "놀이 중심 프로그램을 통한 음악 개념 학습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Dunne-Sousa,D, "The effect of speech rhythm,melody,and movement on the song identification and performance of preschool children" Ohio State University 1998

      16 Gembris,H,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ies,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7 Bressler,R.A, "Music and cognitive abilities:A look at the Mozart effect" Chicago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2004

      18 Costa-Giomi,E, "Model discrimination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24 : 184-198, 1996

      19 Adachi,M, "Children's expression of emotion in song" 26 : 133-153, 1998

      20 Reynolds,A.M, "An investigation of the movement responses performed by children 18 months to three years of age and their care-givers to rhythm chants in duple and triple meters(audiation,eighteen-month-olds,three-year-old)" Temple University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