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발전적 과제 = Transition Pro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Assignment for Further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22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ancient countries to the ones today, in all ages and countries, education is a necessary task to raise citizens that the countries need. In that regard, South Korea, pursuing free democratic idea, is focused on raising democratic citizens, and No...

      From ancient countries to the ones today, in all ages and countries, education is a necessary task to raise citizens that the countries need. In that regard, South Korea, pursuing free democratic idea, is focused on raising democratic citizens, and North Korea, which has been seeking socialistic ideology, is aiming to produce ``communistic revolutionary talents`` or ``Juche style new person.`` This shows that, while both South and North Koreas are pursuing an education for unification, the contents and goals of their education are looking different ways. When we``re divided, the ultimate goal of our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on realizing a desirable unification. In other words, while developing objective understanding and sense of unity with North, we also need to foster healthy sense of national security when we``re still confronting each other. Also, while leading people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unification process with a sense of ownership,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to cultivate essential knowledge and improve competency to overcome possible problems after unif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행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아태평화재단 2000.09.

      2 "한국민주시민교육의 기본원리" 서울: 앰-애드 2004

      3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4

      4 "통일문화의 개념정립과 형성방향 통일문화와 민족공동체 건설 민족통일연구원" 1994

      5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과제: 통일대비 태세 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민족통일연구원한국교육개발원 1997

      6 "통일교육 개선방안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7

      7 "시민참여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제도화 방안 - 가칭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입법추진방향울 중심으로, 선거와 시민참여, 그리고 민주시민교육" 2004

      8 "사회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사회통일교육 평가와 발전방향 모색" 2002.12.13.

      9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제1차 한독국제학술회의 자료집" 2004

      10 "민주시민교육으로서 한국정치교육의 방향" 1986

      1 "현행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아태평화재단 2000.09.

      2 "한국민주시민교육의 기본원리" 서울: 앰-애드 2004

      3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4

      4 "통일문화의 개념정립과 형성방향 통일문화와 민족공동체 건설 민족통일연구원" 1994

      5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과제: 통일대비 태세 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민족통일연구원한국교육개발원 1997

      6 "통일교육 개선방안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7

      7 "시민참여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제도화 방안 - 가칭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입법추진방향울 중심으로, 선거와 시민참여, 그리고 민주시민교육" 2004

      8 "사회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사회통일교육 평가와 발전방향 모색" 2002.12.13.

      9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제1차 한독국제학술회의 자료집" 2004

      10 "민주시민교육으로서 한국정치교육의 방향" 1986

      11 "독일의 정치교육제도와 시사점" 2003

      12 "남북한 통일교육정책의 실상과 수렴방안 시론: 중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6

      13 "Geschicht, throetische Konzeption und aktuellen Herausforderung der politischen Bildung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4 "2007 통일문제의 이해" 통일교육원 2007

      15 "2007 통일교육지침서(일반용)" 통일교육원 2007

      16 "2007 통일교육 지침서(학교용)" 통일교육원 2007

      17 "2006년도 통일교육 기본계획" 통일교육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1.29 1.22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