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문해 노인의 ‘생애 첫 졸업장’ 에 대한 의미 탐색 =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 First ever Graduation Certificate’ of Illiterate Aged 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31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문해교육 초등학력 인정을 통해 ‘생애 첫 졸업장’을 받은 비문해 노인들에게 첫 졸업장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

      본 연구는 성인 문해교육 초등학력 인정을 통해 ‘생애 첫 졸업장’을 받은 비문해 노인들에게 첫 졸업장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2015년 9월부터 2016년 6월까지 10개월 동안 성인중학교 학력인정 과정에 있는 4명의 학습자들의 교실일상을 관찰하고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문해교육의 법제도화가 학습자의 환경에 영향을 주어 학습자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주목하여 졸업장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생애 첫 졸업장’은 첫째, 평생 한(恨) 풀이로서의 학교에서 공부하기: 중학입학의 행복감. 둘째, 동창생에 대한 침묵의 소리에서 자기목소리: 배움공동체의 동질감. 셋째, 초등학력 인정 확인: 성취감. 넷째, 의존에서 혼자서도 잘해요: 해방감.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성인 문해교육 학력인정서의 의미는 노인학습자들에게 학력을 중시하는 한국사회에서 동창생을 가지는 사회적 자본을 획득하게 하고, 초등학교 졸업을 인정받음으로써 비문해 노인들은 비로소 한글을 안다는 인식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first ever graduation certificate of illiterate aged people through the acknowledgement of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by adult literacy education. For this, researchers observed class lif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first ever graduation certificate of illiterate aged people through the acknowledgement of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by adult literacy education. For this, researchers observed class life of four learners who took the adult middle school qualification process after finishing adult literacy education for 10 months between Sep. 2015 and June 2016 based on phenomenal research methodology and performed in depth interviews. Additionally, the meaning of the first graduation certificate was interpreted considering that legislation of literacy education made effects on environments of learners.
      Researchers found the meaning of the first ever graduation certificate as follows; first, studying in school to realize their long time desire: to enter middle school. Second, from silence to their own voice when talking about alumni: school tied community. Third, Confirmation of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Fourth,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ce: sense of liberty.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adult literacy education certificate means in Korean society which places much importance in education that illiterate aged people now have acquired social asset such as alumni and they had changed perception that they knew Hangeul with their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is acknowledg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비문해 노인의 ‘생애 첫 졸업장’ 의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비문해 노인의 ‘생애 첫 졸업장’ 의미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reire, P., "희망의 교육학" 아침이슬 2006

      2 Crotty, M., "현상학적 연구" 현문사 2001

      3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2014

      4 이희수, "현대지식사회에서 문해교육의 의미와 전망. 한국의 문해교육" 문음사 2005

      5 김동원, "해방이후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59-982, 2016

      6 최운실, "한국의 문해 실태와 문해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990

      7 최운실, "한국의 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9

      8 이희수, "한국 성인의 비문해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9 이희수, "한국 성인의 문해실태 및 OECD 국제비교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10 노병윤, "한국 민간문해교육의 태동·활동·성과에 관한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1 Freire, P., "희망의 교육학" 아침이슬 2006

      2 Crotty, M., "현상학적 연구" 현문사 2001

      3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2014

      4 이희수, "현대지식사회에서 문해교육의 의미와 전망. 한국의 문해교육" 문음사 2005

      5 김동원, "해방이후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59-982, 2016

      6 최운실, "한국의 문해 실태와 문해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990

      7 최운실, "한국의 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9

      8 이희수, "한국 성인의 비문해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9 이희수, "한국 성인의 문해실태 및 OECD 국제비교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10 노병윤, "한국 민간문해교육의 태동·활동·성과에 관한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5

      11 황종건, "한국 문해운동의 역사와 전망: 한국의 문해교육사" 문음사 2005

      12 윤복남, "한국 문해교육의 사회사적 고찰"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13 이기홍,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회 25 (25): 1-21, 2005

      14 이지혜,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57-74, 2003

      15 허준,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57-81, 2008

      16 양병찬, "학습권 관점에서 본 성인문해교육 지원 정책 분석" 10 (10): 215-216, 2004

      17 신미식, "하나의 담론으로서 한국 문해교육의 비판적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73-294, 2010

      18 Freire. P., "프레이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2000

      19 정훈, "프레네와 프레이리에 기초한 비판적 문해교육 방법론" 안암교육학회 21 (21): 279-301, 2015

      20 최운실,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성인기초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225-251, 2006

      21 Freire, P., "페다고지" 그린비 2003

      22 최운실, "특집기사: 문해, 인권의 회복이자 발전의 초석 ‘21세기 문해’를 생각하다"

      23 박인종, "특집· 국민의 문해력. 문해력 향상을 위한 성인문해교육정책" 1 (1): 33-53, 2009

      24 김주환, "초등학력인정 문해교육 참여자의 자아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5 Van Manen, M., "체험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26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사 2004

      27 이근호,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41-64, 2007

      28 Freire, P., "제3세계 교육론" 파도 1984

      29 이화정, "인식전환 학습 이론에 근거한 은빛노인대학의 사례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30 조미경, "유네스코의 비판적 성인문해교육 변천 과정 및 동향 분석 : 세계성인교육회의(CONFINTEA)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31 Freire, P.,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다" 아침이슬 2006

      32 김종천, "성인학습자의 문해교육 참여를 통한 생애경험과 인식전환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2014

      33 이희수,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21-148, 2010

      34 박상현, "성인문해교육에 참여하는 여성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자아개념이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7 (37): 107-127, 2016

      35 이경아, "성인문해교육 지원 사업의 성과 분석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19-139, 2007

      36 조석영, "성인문해교육 기관의 학력인정제도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7 이지혜, "성인문해 학력인정제도의 가능성과 한계: 중학문해과정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59-84, 2015

      38 주명희, "성인 문해학습의 전환학습적 특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9 장시준, "사회자본의 개념과 교육적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40 이지혜, "비문해자 학습의 일상성 :그들은 어떻게 문자세계를 극복하는가"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51-78, 2013

      41 정지웅, "비문해의 문제와 문해교육의 발전방안" 1 : 51-58, 1990

      42 김신일, "비문해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1 : 51-58, 1990

      43 홍금주, "문해학습자의 배움의 구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9

      44 윤준채, "문해력의 개념과 국내외 연구동향" 19 (19): 5-16, 2009

      45 정지웅, "문해교육제도가 학습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평생교육"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46 황종건, "문해교육의 역사와 전망" 1 : 19-33, 1990

      47 윤복남, "문해교육의 개념과 기준. 한국의 문해교육" 문음사 2005

      48 이지혜, "문해교육에서 ‘문해됨’의 의미 -문해학습자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24, 2011

      49 Freire, P., "문해교육 : 파울로 프레이리의 글 읽기와 세계 읽기" 학이시습 2014

      50 최윤정, "무학력자의 성인문해학습과정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1 임미영, "노인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52 Freire, P., "교육과 의식화" 중원문화사 2012

      53 이상신, "‘되어보기’ 활동의 교육내용 분석 및 수업 실행 연구 ―‘핵심 성취기준’ 활용 수업 재구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23-549, 2016

      54 Mezirow, J., "Transformative learning : Theory of practice" 74 : 5-12, 1997

      55 Mezirow, J.,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 Jossey-Bass 1991

      56 Freire, P., "The Adult Literacy Process as Cultural Action for Freedom" 40 (40): 205-225, 1991

      57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Sage 2007

      58 Moustakas,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59 Delors. J., "Learning: The treasure within" UNESCO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