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한국의 간화선 =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in contemporary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480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주요 수행법인 간화선과 관련된 논쟁을 검토하고, 그 논쟁의 내용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한 후, 불교 수행의 대안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제l장 머리말에 이은 제2장에서는 한국 간화선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를, 제3장에서는 승단과 학계에서 전개된 간화선에 관한 논쟁을, 제4장에서는 현대 한국에서 간화선이 가진 문제점을, 제5장에서는 기존의 불교수행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한국의 간화선은 그 목표를 포함하여 상당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승단의 주장과는 달리, 역사적으로도 철학적으로도 그것이 가장 뛰어난 수행법이란 증거도 없다. 따라서 한국 불교계는 화두 절대주의를 넘어 다양한 수행법을 수용하고, 불교수행의 정의 또한 새롭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 사성제를 포함한 붇다의 기본 가르침에 대한 바른 이해와 그것의 실천화 과정은 그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주요 수행법인 간화선과 관련된 논쟁을 검토하고, 그 논쟁의 내용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한 후, 불교 수행의 대안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제l장 머리...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주요 수행법인 간화선과 관련된 논쟁을 검토하고, 그 논쟁의 내용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한 후, 불교 수행의 대안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제l장 머리말에 이은 제2장에서는 한국 간화선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를, 제3장에서는 승단과 학계에서 전개된 간화선에 관한 논쟁을, 제4장에서는 현대 한국에서 간화선이 가진 문제점을, 제5장에서는 기존의 불교수행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한국의 간화선은 그 목표를 포함하여 상당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승단의 주장과는 달리, 역사적으로도 철학적으로도 그것이 가장 뛰어난 수행법이란 증거도 없다. 따라서 한국 불교계는 화두 절대주의를 넘어 다양한 수행법을 수용하고, 불교수행의 정의 또한 새롭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 사성제를 포함한 붇다의 기본 가르침에 대한 바른 이해와 그것의 실천화 과정은 그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meditation of observing the critical phrase and virtually the only type of meditation used in contemporary Korean monasteries, in contemporary Korea, analyze them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propose alternative ideas to Buddhist practic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is paper, Section Two of this article discussed the origin of ganhwa Seon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Korea. Section Three examined discourses on problems with ganhwa Seon developed, in particular, between the Buddhist community and the academic world. Section Four analyzed the issues of ganhwa Seon in contemporary Korea. Finally, Section Five proposed alternative ideas to Buddhist practice for a better future of Korean Buddhism.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Korean ganhwa Seon had a lot of problems to be resolved, including its unclear goal, and unlike Korean Seon monks have argued thus far, had no reason for being considered the best soteriology from both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I came to a conclusion that: Korean Seon circles need to redefine the notion of Buddhist practice beyond ganhwa Seon absolutism as ‘a process of one’s living up to the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including the Four Noble Truths I and accept diverse ways of practice and to fulfill the go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meditation of observing the critical phrase and virtually the only type of meditation used in contemporary Korean monasteries, in contemporary Korea, analyze them fr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meditation of observing the critical phrase and virtually the only type of meditation used in contemporary Korean monasteries, in contemporary Korea, analyze them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propose alternative ideas to Buddhist practic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is paper, Section Two of this article discussed the origin of ganhwa Seon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Korea. Section Three examined discourses on problems with ganhwa Seon developed, in particular, between the Buddhist community and the academic world. Section Four analyzed the issues of ganhwa Seon in contemporary Korea. Finally, Section Five proposed alternative ideas to Buddhist practice for a better future of Korean Buddhism.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Korean ganhwa Seon had a lot of problems to be resolved, including its unclear goal, and unlike Korean Seon monks have argued thus far, had no reason for being considered the best soteriology from both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I came to a conclusion that: Korean Seon circles need to redefine the notion of Buddhist practice beyond ganhwa Seon absolutism as ‘a process of one’s living up to the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including the Four Noble Truths I and accept diverse ways of practice and to fulfill the go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간화선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
      • Ⅲ. 한국 간화선의 문제점
      • Ⅳ. 간화선의 문제점 분석
      • Ⅴ. 불교 수행의 새 정의
      • Ⅰ. 머리말
      • Ⅱ. 간화선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
      • Ⅲ. 한국 간화선의 문제점
      • Ⅳ. 간화선의 문제점 분석
      • Ⅴ. 불교 수행의 새 정의
      • Ⅵ.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