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 자유학기제 ‘과정 중심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rocess-focused Evaluation’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31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discussed characteristic and meanings of process-focused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who were involv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a policy emphasizing process-focused evalu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implemented with teachers who had clear understandings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Finding/Result: Teachers described the planning step as ‘planning based not on test items but on instruction activities’ and ‘process-focused evaluation either on performance or on paper-and-pencil test score’. For the evaluation tool developing step, teachers emphasized that ‘development of rubric which shows instruction process’, ‘pre-notice of rubric to students’, ‘development of rubric directly linked to writing the School Life Records’ were important. When they implemented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y focused on instruction itself while performance evaluation led their eyes only on the products of students. They also told that they completed evaluation within the classroom and not produced any homework under implementing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Teachers often utilized ‘observation notes’ or ‘checklists’ to summarize individual evaluation for every student. Regarding the School Life Records, teachers described it as ‘records with no uniqueness and so with no significance’, or ‘incomplete records only with strength’.
      Value: Based on the findings, some issues were discussed. First, types of student evaluation were categorized as process-focused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focused paper-and-pencil evaluation, outcome-centered performance evaluation, outcome-centered paper-and-pencil evaluation and compared each other. Second, with comparison of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to formative evaluati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iscussed. Thir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discussed characteristic and meanings of process-focused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who were involv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a policy emphasizing process-focused evalu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Purpose: This study discussed characteristic and meanings of process-focused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who were involv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a policy emphasizing process-focused evalu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implemented with teachers who had clear understandings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Finding/Result: Teachers described the planning step as ‘planning based not on test items but on instruction activities’ and ‘process-focused evaluation either on performance or on paper-and-pencil test score’. For the evaluation tool developing step, teachers emphasized that ‘development of rubric which shows instruction process’, ‘pre-notice of rubric to students’, ‘development of rubric directly linked to writing the School Life Records’ were important. When they implemented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y focused on instruction itself while performance evaluation led their eyes only on the products of students. They also told that they completed evaluation within the classroom and not produced any homework under implementing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Teachers often utilized ‘observation notes’ or ‘checklists’ to summarize individual evaluation for every student. Regarding the School Life Records, teachers described it as ‘records with no uniqueness and so with no significance’, or ‘incomplete records only with strength’.
      Value: Based on the findings, some issues were discussed. First, types of student evaluation were categorized as process-focused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focused paper-and-pencil evaluation, outcome-centered performance evaluation, outcome-centered paper-and-pencil evaluation and compared each other. Second, with comparison of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to formative evaluati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iscussed. Thir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통해 중학교 전반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학문적, 실제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자유학기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평가 계획 단계에서 ‘시험문제가 아니라 수업 활동을 생각하며 계획하기’, ‘수행으로 계획해도 되고 지필로 계획해도 되는 과정 중심 평가’ 현상이 나타났고,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 ‘수업 과정을 들여다보는 루브릭 개발’, ‘미리 학생들에게 루브릭 알려주기’,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 연결되는 루브릭’ 현상 등이 나타났다. 평가 실행 단계에서는 ‘일반학기의 수행평가는 산출물에 집중, 자유학기 과정 중심 평가는 수업 장면에 집중’, ‘시작부터 끝까지 수업 시간에 담기’ 현상 등이 나타났고, 평가 정리 단계에서는 ‘교사의 관찰 노트 활용하기’, ‘체크리스트 활용하기’ 현상 등이 나타났으며, 학교생활기록부 입력 부분에서는 ‘의미를 찾기 힘든 비슷비슷한 기록’, ‘학생의 장점만 담겨 있는 반쪽짜리 기록’ 현상 등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을 논의하였다. 첫째, 학교 평가의 개념영역을 과정 중심 수행평가, 과정 중심 지필평가, 결과 중심 수행평가, 결과 중심 지필평가로 세분화 하였다. 둘째, 과정 중심 평가와 형성평가의 개념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과정 중심 평가를 “국가 수준의 성취기준을 참조하여 평가 계획을 수립하며, 수업 과정에서 실행 및 완료되고, 결과물의 수월성보다 수업 과정에서의 학생 성장에 집중함으로써 수업과의 일체화를 추구하는 평가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 교사 관찰평가 등과 같은 다면 평가를 통해 수업 과정에 대한 피드백과 성찰을 제공하는 일련의 평가 활동이며,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로 모두 실행이 가능한 평가”라고 개념화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통해 중학교 전반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학문적, 실제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자유학기에 참여하고 있...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통해 중학교 전반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학문적, 실제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자유학기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평가 계획 단계에서 ‘시험문제가 아니라 수업 활동을 생각하며 계획하기’, ‘수행으로 계획해도 되고 지필로 계획해도 되는 과정 중심 평가’ 현상이 나타났고,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 ‘수업 과정을 들여다보는 루브릭 개발’, ‘미리 학생들에게 루브릭 알려주기’,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 연결되는 루브릭’ 현상 등이 나타났다. 평가 실행 단계에서는 ‘일반학기의 수행평가는 산출물에 집중, 자유학기 과정 중심 평가는 수업 장면에 집중’, ‘시작부터 끝까지 수업 시간에 담기’ 현상 등이 나타났고, 평가 정리 단계에서는 ‘교사의 관찰 노트 활용하기’, ‘체크리스트 활용하기’ 현상 등이 나타났으며, 학교생활기록부 입력 부분에서는 ‘의미를 찾기 힘든 비슷비슷한 기록’, ‘학생의 장점만 담겨 있는 반쪽짜리 기록’ 현상 등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을 논의하였다. 첫째, 학교 평가의 개념영역을 과정 중심 수행평가, 과정 중심 지필평가, 결과 중심 수행평가, 결과 중심 지필평가로 세분화 하였다. 둘째, 과정 중심 평가와 형성평가의 개념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과정 중심 평가를 “국가 수준의 성취기준을 참조하여 평가 계획을 수립하며, 수업 과정에서 실행 및 완료되고, 결과물의 수월성보다 수업 과정에서의 학생 성장에 집중함으로써 수업과의 일체화를 추구하는 평가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 교사 관찰평가 등과 같은 다면 평가를 통해 수업 과정에 대한 피드백과 성찰을 제공하는 일련의 평가 활동이며,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로 모두 실행이 가능한 평가”라고 개념화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천, "현장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문음사 2007

      2 강승호, "현대교육평가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2

      3 이종승, "현대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9

      4 김병찬, "한국 교사의 희, 노, 애, 락 : 교사의 삶에 관한 일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49-80, 2017

      5 하혜진,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

      6 교육부,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7 교육부,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안)"

      8 임종헌, "초・중학교의 지필평가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79-304, 2017

      9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15

      10 김영천, "초․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졸업 수행평가의 설계" 11 : 301-317, 2001

      1 김영천, "현장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문음사 2007

      2 강승호, "현대교육평가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2

      3 이종승, "현대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9

      4 김병찬, "한국 교사의 희, 노, 애, 락 : 교사의 삶에 관한 일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49-80, 2017

      5 하혜진,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

      6 교육부,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7 교육부,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안)"

      8 임종헌, "초・중학교의 지필평가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79-304, 2017

      9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15

      10 김영천, "초․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졸업 수행평가의 설계" 11 : 301-317, 2001

      11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12 지은림, "중학교 자유학기제 평가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13 김진규, "자유학기제 사례분석을 통한 행복교육에서 학생평가의 실천 전략"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13-132, 2016

      14 원효헌, "성취평가 시행에 따른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203-213, 2014

      15 김민정, "비구조적 과제 수행 증진 지원 동료 피드백 유형 분석 및 활용 전략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755-779, 2011

      16 김병찬, "교육행정연구법" 교육행정연구법 291-333, 2011

      17 Benjamin, S. B., "교육평가핸드북" 교육과학사 1990

      18 김진규, "교육평가의 탐구" 동문사 2013

      19 황정규, "교육평가의 이해" 학지사 2011

      20 황준성, "교육정책의 현장 실행과정및 개선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7

      21 김재춘,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17

      22 김성숙, "교수・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학지사 2015

      23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7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중등)"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17

      25 이경화,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819-834, 2016

      26 임은영,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과 의미. 교육부 웹진 행복한 교육"

      27 신혜진,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 정책적 분석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35-162, 2017

      28 전경희, "과정 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6

      29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30 Goodrich, H., "Understanding rubric" 54 (54): 14-17, 1997

      31 Crawford, C. M., "Rubrics: Models of Evaluation within a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2001

      32 Lim, J. H., "Influence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Korean Middle Schools on Lifelong Learning" 2 : 63-75, 2017

      33 임종헌,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34 교육부, "2018년 자유학년 및 연계학기 운영 가이드" 한국교육개발원 2018

      35 임종헌, "2017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및 시범학교 사례연구 종합보고서: 자유학기-일반학기 연계 운영" 한국교육개발원 2018

      36 경기도교육청, "2016 자유학기 평가 길라잡이" 경기도교육청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교육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5 2.25 2.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7 1.68 2.64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