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공식문자론 = A Study of Hunminjeongeum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in the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1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criticism of the various types of discourse, including those occurring in textbooks, which define Hunminjeongeum in the Joseon period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Hun minjeongeum was originally created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This paper is a criticism of the various types of discourse, including those occurring in textbooks, which define Hunminjeongeum in the Joseon period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Hun minjeongeum was originally created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It was used for writing the nation’s policies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nd it even appeared in the Gyeonggukdaejeon. Only, it was a non-mainstream official writing system which was almost never used in general administrative documents. Defining the non- mainstream aspect of Hunminjeongeum, which contrasted with the mainstream official writing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is a distortion of history. Accordingly, this paper shows that Gojong’s edict on Korean language was not a proclamation of Hunminjeongeum as the nation’s official writing system when it was previously an unofficial system, but rather a declaration to change a non-mainstream writing system into a main-stream writing system. This paper also shows that the theory which views Hunminjeongeum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stems from a deeply rooted bias and a mis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Hunminjeonge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훈민정음을 조선시대 비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교과서를 비롯한 각종 담론을 비판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식문자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여섯 가지 측면에서 ...

      이 논문은 훈민정음을 조선시대 비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교과서를 비롯한 각종 담론을 비판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식문자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여섯 가지 측면에서 훈민정음이 조선시대의 공식문자임을 입증했다. 첫째, 훈민정음은 최고의 공적 주체인 임금이 만들고 지배층에 의해 제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둘째, 조선의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서 ‘언문’을 국가 정책 문자로 규정했다. 셋째, 『경국대전』에서 국가 정책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시험 정책 문자로 언문을 설정하고 있다. 넷째, 용비어천가, 임금의 담화문인 윤음 등의 다양한 문헌이나 책자가 언문을 통해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발간되었다. 다섯째, 주요 공적 구속력을 갖는 각종 문서가 언문으로 발간되었다. 여섯째, 한자, 이두, 언문은 공적 영역에서 상보적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공식문자론을 바탕으로 기존의 비공식문자론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훈민정음을 비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것보다 비주류 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가치가 있음을 밝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두현, "훈민정음을 활용한 조선시대의 인민 통치" 진단학회 (108) : 263-297, 2009

      2 안병희,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3 안병희, "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 연세대학교 46 : 793-822, 1985

      4 김종택, "한글은 문자 구실을 어떻게 해왔나" 형설출판사 9 : 859-868, 1985

      5 최경봉,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책과함께 2008

      6 이동석, "한글에 대한 오해" 한국어문기자협회 (128) : 33-43, 2011

      7 국립중앙박물관, "한글금속활자(도록)" 국립중앙박물관 2006

      8 김민수, "한글 자모 문제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18 : 1-48, 1973

      9 홍윤표, "한글 고문서의 연구 현황과 과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10) : 185-262, 2006

      10 문화체육관광부,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한글 고문서 자료집 도록)" 문화체육관광부 2011

      1 백두현, "훈민정음을 활용한 조선시대의 인민 통치" 진단학회 (108) : 263-297, 2009

      2 안병희,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3 안병희, "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 연세대학교 46 : 793-822, 1985

      4 김종택, "한글은 문자 구실을 어떻게 해왔나" 형설출판사 9 : 859-868, 1985

      5 최경봉,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책과함께 2008

      6 이동석, "한글에 대한 오해" 한국어문기자협회 (128) : 33-43, 2011

      7 국립중앙박물관, "한글금속활자(도록)" 국립중앙박물관 2006

      8 김민수, "한글 자모 문제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18 : 1-48, 1973

      9 홍윤표, "한글 고문서의 연구 현황과 과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10) : 185-262, 2006

      10 문화체육관광부,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한글 고문서 자료집 도록)" 문화체육관광부 2011

      11 이상규, "한글 고문서 연구" 도서출판 경진 2011

      1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96

      13 송철의,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3) : 1-36, 2004

      14 김일근, "증정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6

      15 김무식, "조선조 여성의 문자생활과 한글편지 −한글편짓글에 반영된 조선조 여성의식과 문화(1)" 인문과학연구소 4 (4): 1-25, 2009

      16 "조선왕조실록"

      17 정주리, "조선언문실록" 고즈윈 2011

      18 백두현, "조선시대의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 진단학회 92 : 193-218, 2001

      19 김슬옹, "조선시대 훈민정음 브랜드 형성 과정 연구―훈민정음 공식문자론 재론과 28인의 훈민정음 발전 공로자 선정론을 통하여" 담화인지언어학회․한국사회언어학회 74-112, 2011

      20 김봉좌, "조선시대 유교의례 관련 한글문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21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진단학회 (104) : 179-208, 2007

      22 김슬옹,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5

      23 김영황, "조선민족어발전력사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8

      24 이상혁,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4

      25 이재운, "우리말 탄생과 진화"

      26 장서각, "우리 한글의 멋과 아름다움(도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 특별전 도록" 2004

      27 백두현, "안동 권씨가 남긴 한글 분재기: 안동 권씨가 짓고 9대손 최 완구가 번역한 한글 분재기" 문헌과해석사 (36) : 134-147, 2006

      28 김슬옹,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3장, 훈민정음의 명칭)" 지식산업사 102-132, 2010

      29 최준식, "세계가 높이 산 한국의 문기" 소나무 2007

      30 조효종, "사농공상의 나라 조선(도록)" 국립중앙박물관 2010

      31 "디지털한글박물관"

      32 이상규, "디지털 시대에 한글의 미래" 우리말학회 (25) : 2-62, 2009

      33 박형우, "국어교육에서의 한글 교육"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217-242, 2006

      34 권재선, "국어 해방론" 우골탑 2004

      35 조태린, "공공언어 문제에 대한 정책적 개입 방식" 한말연구학회 (27) : 379-405, 2010

      36 최현배, "고친 한글갈" 정음문화사 1982

      37 김슬옹, "고종의 국문에 관한 공문식 칙령 반포의 국어사적 의미, In 해방 60년, 한국어문과 일본" 보고사 215-255, 2006

      3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국어 하(7차)" 교육인적자원부 2002

      39 국립중앙박물관, "겨레의 글 한글(도록)" 국립중앙박물관 2000

      40 고영근, "개화기의 한국 어문운동: 국‧한문 혼용론과 한글 전용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5 : 5-21, 2000

      41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 사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5 : 65-84, 1984

      42 이근수, "朝鮮朝의 語文政策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78

      43 이유기, "“조선시대 훈민정음 관련 공적 문헌의 분류 담론(김 슬옹)”에 대한 토론문" 한민족학회 2010

      44 김주필, "19世紀 末 國漢文의 性格과 意味" 진단학회 (103) : 193-218, 2007

      45 윤세순, "17세기, 간행본 서사류의 존재양상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38) :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1.33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