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성분은 식품의 품질을 특정짓는 관능적요소의 하나로서, 특히 우리나라에서 즐겨 이용하는 젓갈에서는 그 기여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젓갈의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식염의 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13917
차용준 (부산수사내학 식품공학과) ; 이응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김희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식품가공학과) ; CHA Yong-Jun ; LEE Eung-Ho ; KIM Hee-Yun
198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11-518(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냄새성분은 식품의 품질을 특정짓는 관능적요소의 하나로서, 특히 우리나라에서 즐겨 이용하는 젓갈에서는 그 기여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젓갈의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식염의 일...
냄새성분은 식품의 품질을 특정짓는 관능적요소의 하나로서, 특히 우리나라에서 즐겨 이용하는 젓갈에서는 그 기여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젓갈의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식염의 일부를 KCl로 대체하여 담근 저식염멸치젓 숙성중의 휘발성성분을 재래식젓($20\%$ 식염함량)과 함께 비교분석하였으며, 또한 지방산조성의 변화도 실험하였다. 원료멸치의 구성지방산은 중성지질이 $77.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지질이 $22.1\%$, 당지질은 $0.35\%$였다. 그리고 총지질의 조성은 polyene산이 $39.8\%$로 가장 높았으며 polyene 산중에서도 $C_{22:6},\;C_{20:5}$가 대부분이었다. 숙성중에는 polyene 산($C_{22:6},\;C_{20:5}$)의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에 포화산($C_{16:0},\;C_{18:0},\;C_{l4:0}$)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monoene산중에서는 $C_{16:1}$ 및 $C_{18:1}$의 증가를 제외하고는 큰 변동이 없었다. 그리고 산가와 카르보닐가 등도 숙성중 증가하였으며 알콜을 첨가한 저식염멸치젓의 경우는 재래식 젓보다 그 함량이 낮았다. 멸치젓(숙성 90일경)의 전휘발성성분에서 38종의 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는데 그 주체는 알콜류, 알데히드와 케톤류, 탄화수소류와 지방산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숙성기간중 저급휘발성산(8종), 아민(5종), 카르보닐화합물(9종)을 검출동정하였는데 완숙기(숙성 60일경)의 저식염멸치젓에서는 acetic acid, isovaleric acid, propionic acid, n-butyric acid가 휘발성산의 주류이었으며, 카르보닐에서는 ethanal, 3-methyl butanal, hexanal, 2-methyl propanal 등이고 아민에서는 TMA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재래식젓과 비교하여 볼 때 각휘발성성분조성에는 차이가 없고 함량비가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멸치젓의 냄새성분은 어느 특정성분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 여러 휘발성성분들의 상호조화에 의하여 젓갈 특유의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ne of the sensory factors for characterizing food quality, volatile compounds have been particularly contributed to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ea foods in Korea. But no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anchovy as...
As one of the sensory factors for characterizing food quality, volatile compounds have been particularly contributed to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ea foods in Korea. But no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anchovy as one of the most favored fermented sea food products has been reported. Accordinglry, for a series study of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fermented anchovy with low salt contents ($4\%$ of salt contents) were experimented fermentation comparing with conventional fermented anchovy ($20\%$ of salt contents). Total lipid of raw anchovy was composed of $77.6\%$ of neutral lipid, $22.1\%$ of phospholipid and $0.3\%$ of glycolipid. And polyenoic acid was held $39.8\%$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and the major fatty acids in those were $C_{22:6},\;C_{20:5}$.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ovy saturated fatty acid ($C_{16:0},\;C_{18:0},\;C_{l4:0}$) and monoenoic acid ($C_{16:1},\;C_{18:1}$) increased while polyenoic acid ($C_{22:6},\;C_{20:5}$) decreased greatly. Thirty-eight kinds of volatile component from the whole volatile compounds obtained from fermented anchovy after 90 days fermentation were identified, and composed of some alcohols (8 kinds), carbonyl compounds (9 kinds), hydrocarbons (8 kinds) and fatty acids (8 kinds). During fermentation 8 kinds of volatile acids, 5 kinds of amines, 9 kinds of carbonyl compounds were also detected. Those volatile acids such as acetic acid, isovaleric acid,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were the major portion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of 60 days fermented anchovy prepared with low salt contents. On the other hand, carbonyl compounds such as ethanal, 3-methyl butanal, hexanal, 2-methyl propanal were the major ones, while TMA held the most part of volatile amines in fermented anchovy with low salt contents after 60 days. Conclusivel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composition of volatile components, but merely a little difference in content of those between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conventional fermented ones.
Partial Freezing에 의한 어육의 선도유지 효과에 대하여 1. Partial Freezing에 의한 숭어의 선도 및 어묵형성능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