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동훈, "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용법" 국어학회 (60) : 323-359, 2011
2 노대규, "한국어의 감탄문" 국학자료원 1997
3 서민정,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한글학회 (288) : 149-169, 2010
4 최선희, "학습자 오개념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개선 방향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장의 종류’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146-184, 2017
5 김근수, "중학국문법책" 문교당출판 1947
6 최현배, "중등조선말본" 정음사 1946
7 최현배, "중등조선말본" 정음사 1948
8 김윤경, "중등말본" 동명사 1948
9 장하일, "중등 새말본" 교재연구사 1947
10 김희상, "조선어전" 보급서관 1911
1 임동훈, "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용법" 국어학회 (60) : 323-359, 2011
2 노대규, "한국어의 감탄문" 국학자료원 1997
3 서민정,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한글학회 (288) : 149-169, 2010
4 최선희, "학습자 오개념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개선 방향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장의 종류’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146-184, 2017
5 김근수, "중학국문법책" 문교당출판 1947
6 최현배, "중등조선말본" 정음사 1946
7 최현배, "중등조선말본" 정음사 1948
8 김윤경, "중등말본" 동명사 1948
9 장하일, "중등 새말본" 교재연구사 1947
10 김희상, "조선어전" 보급서관 1911
11 이상춘, "조선어문법" 송남서관 1925
1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61
13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4 정렬모, "신편고등 국어문법" 한글문화사 1946
15 이석주, "신문기사의 문체" 한국언론연구원 1990
16 박창해, "쉬운 조선 말본" 계몽사 1946
17 이병규, "문장의 유형에 대한 초등 국어 문법 교육 내용의 변천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7 : 197-224, 2012
18 오현아,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한국국어교육학회 (110) : 305-345, 2017
19 이삼형, "독서와 문법" 지학사 2016
20 이도영, "독서와 문법" 창비 2016
21 이관규, "독서와 문법" 비상 2016
22 윤여탁, "독서와 문법" 미래엔 2016
23 박영목, "독서와 문법" 천재교육 2016
24 한철우, "독서와 문법" 교학사 2016
25 김규식, "대한문법" 油印 1909
26 최낙복, "김규식 문법의 문장법 연구" 동아대 국어국문학과 21 : 5-33, 2002
27 최경봉, "근대 학문 형성기, 구어(口語)의 발견과 문법학적 모색" 우리어문학회 (49) : 81-122, 2014
28 허웅, "국어학-우리말의 오늘․어제-" 샘문화사 1983
29 이상춘, "국어문법" 조선국어학회 1946
30 문교부,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1991
31 문교부,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1985
32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2002
33 교육부, "고등학교 문법" 교육부 1996
34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법" 국립국어연구원 4 : 163-234, 1999
35 Ridel, F., "Grammaire Coreenne" 1881
36 창조사, "<창조> 1호~9호"